ISSN : 1225-6706
이명박 정부는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전략을 대체하는 지역발전전략으로서5+2 광역경제권을 제시하였다. 5+2 광역경제권의 추진전략은 관련 기반 구축,선도 프로젝트 추진, 추진체계 확립이며 이중 추진체계 확립을 위해서 광역경제발전위원회를 설치하고 광역경제권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를 사례로 광역경제권 거버넌스의 발전방향을 제시한 연구다. 거버넌스의 위상, 참여 주체와 의제 범위, 운영방식 측면에서 문제와 대안을 제시하고, 향후 논의사항을 제안하였다.
경기개발연구원. 2008. 「광역경제권 형성 방안 및 추진 전략」.
김두환. 2000. 「공공계획의 두 가지 이행경로: 시장 또는 협력적 통치」. ≪공간과 사회≫, 통권 제13호, 184~206쪽.
김두환. 2006. 「정책과정의 녹색화」. 문순홍 편. 녹색국가의 탐색 , 서울: 아르케, 201~230쪽.
김륜희. 2006. 「한국 지역혁신체계의 제도적 특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현호. 2008. 「광역경제권 발전의 추진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2008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박재욱. 2008. 「광역권역의 통합‧협력을 위한 광역거버넌스의 이론적 논의」. ≪지방행정연구≫, 22(3), 3~29쪽.
박재욱. 2009. 「광역경제권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지방정부 간 거버넌스 구축방안: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안의 ‘광역경제권발전위원회’ 구성방안을 중심으로」.≪지방행정연구≫, 23(1), 83~118쪽.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수도권 광역경제권 정책의 추진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인천발전연구원‧경기개발연구원. 2007. 「수도권 광역계획의 합리적 수립과 실현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인천발전연구원‧경기개발연구원. 2009. 「수도권 광역경제권발전계획(안)」.
수도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2010. 「2010년도 수도권 광역경제발전 업무계획」.
안영훈. 2008. 「광역경제권의 개념, 유형 및 거버넌스 체제」. 한국지방자치학회 2008년 춘계학술대회.
안영훈. 2009. 「광역경제권 구상과 정부 간 관계 모델: 해외사례 소개」. 한국지방자치학회 강의자료.
임혁백. 1997. 시장‧국가‧민주주의: 한국민주화와 정치경제이론 . 서울: 나남출판.
지역발전위원회. 2009. 「광역경제권발전위원회 업무편람」.
지역발전위원회. 2009. 「지역발전 5개년계획(안)」. 국무회의 의결용(2009.12).
지역발전위원회. 2010. 「2010년 지역발전정책 추진방향」.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편. 2002. 과학기술‧환경‧시민참여 .
Duncan, S & Goodwin, M. 1991. The Local State and Uneven development: Behind the local Government Crisis. Cambridge: Polity Press.
Fishkin, J. S. 1991. Democracy and Deliberation. Yale Univ. Press.
Giddens, A. 1994. Beyond Left and Right: the Future of Radical Politics. Stanford, california:Stanford Univ. Press.
Habermas, J. 1996. “Three Normative Models of Democracy.” pp.21~30, in Democracy and Difference: Contesting the Boundaries of the Political. ed. by Benhabib, S. New Jersey: Princeton Univ. Press.
Healey, P. 1997. Collaborative Planning: Shaping Places in Fragmented Societies. Canada: UBC Press.
Herrschel, T. and P. Newman. 2000. “New Regions in England and Germany : An examination of the interaction of constitutional structure, formal regions and informal institutions.” Urban Studies, Vol.37, No.7, pp.1185~1202.
Innes, J. E. & D. E. Booher. 1999. “Consensus building as role playing and brocolage:toward a theory of collaborative planni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65, i1, pp.9~26.
Jaakson, R. 2000. “Super-national spatial planning of the Baltic Sea region and competing narratives.” European Planning Studies, Vol.8, pp.565~579.
Leftwich, A. 1994. “Governance, the State and the Politics of Development.” Development and Change, Vol.25, pp.364~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