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A Preliminary Study on Minority Rights to Public Space: Focusing on 'the right to the city' for rough sleepers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1, v.21 no.2, pp.35-65

Abstract

Public space and publicness discourse are thoroughly derived from majority. Thus the social minority has been constantly excluded from public space. However, existing rights discourses such as human rights, citizenship and housing rights do not properly address this problem.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ubject of exercising the rights does not include the minority, and the narrow view of the rights overlooks the appropriation for public space. A new paradigm of the rights discourse is required, and this paper alternatively suggests 'the right to the city'. 'The right to the cit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 could product a hybrid public space, not a substitute 'wrong' for 'difference'. This paper identifies that the minority in public space can obtain 'the right to the city' more effectively by the strategic tools for 'solidarity'.

keywords
공공공간, 공공성, 소수자, 거리노숙인, 도시에 대한 권리, public space, publicness, minority, rough sleepers, the right to the city

Reference

1.

강현수. 2009. ‘도시에대한권리’ 개념 및관련실천운동의흐름 . ≪공간과 사회≫, 32호.

2.

김남주. 2000. 차이의 공간을 꿈꾸며: 공간의 생산과 실천 . ≪공간과 사회≫, 14호.

3.

김준호, 2010a, 거리노숙인이 생산하는 ‘차이의 공간’에 대한 연구: 서울역 거리노숙인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준호. 2010b. 공공공간은 입체적이어야 한다 . ≪진보복덕방≫, 26호.

5.

김하수·조태린. 2008. 한국 사회의 소수자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접근 . ≪사회언어학≫, 16권 1호.

6.

김홍수영. 2005a. 시민성을기준으로조명한사회적소수자의권리 . ≪경제와사회≫, 65호.

7.

김홍수영. 2005b. 두 도시 이야기: 노숙인을 통해 바라본 도시공간 . ≪아세아연구≫, 120호.

8.

남기철. 2009a. 늘어가는 노숙인: 가혹한 의자 뺏기 놀이 . ≪월간 복지동향≫, 124호.

9.

남기철. 2009b. 노숙인 복지론. 집문당.

10.

르페브르, 앙리. 2005. 현대세계의 일상성. 박정자 역. 기파랑.

11.

문성훈. 2005. 소수자 등장과 사회적 인정 질서의 이중성 . ≪사회와 철학≫, 9호.

12.

발렌타인, 질. 2009. 사회지리학. 박경환 역. 논형.

13.

배정희. 2009. 카프카와 혼종공간의 내러티브: ‘국도 위의 아이들’과 헤테로토피아 . ≪카프카연구≫, 22호.

14.

백완기. 2007. 한국행정과 공공성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8권 2호.

15.

윤수종. 2005. 소수자 운동의 특성과 사회운동의 방향 . ≪경제와 사회≫, 67호.

16.

윤수종. 2009. 인권과 소수자, 그리고 욕망의 정치 . ≪진보평론≫, 42호.

17.

윤인진·이진복. 2006. 소수자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통합의 과제: 북한이주민의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 7권 1호.

18.

윤해동. 2010. 식민지근대와 공공성: 변용하는 공공성의 지평 . ≪사이≫, 8호.

19.

이승훈. 2010. 공공 영역과 ‘시민됨’의 문화적 조건 . ≪사회이론≫, 37호.

20.

이주하. 2010. 민주주의의 다양성과 공공성: 레짐이론을 중심으로 . ≪행정논총≫, 48권 2호.

21.

장미경. 2005. 한국사회 소수자와 시민권의 정치 . ≪한국사회학≫, 39집 6호.

22.

전영평. 2006. 한국의 소수자 문제와 소수자 정책 연구 관점: 행정학 연구의 새로운지평 .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3.

전영평. 2009. 한국 소수자 정책의 지형: 정책상황의 유형화와 사례 . ≪한국행정논 집≫, 21권 3호.

24.

정규식. 2009. 노숙인의 정치·경제·사회적 재해석과 노숙인 운동에 관한 연구: 추방된 자들의 전복적 주체화 .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정병언. 2007. 저항적 여성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 마샤 노먼의 Getting Out . ≪현대영미드라마≫, 20권 3호.

26.

하버마스, 위르겐. 2001. 공론장의구조변동: 부르주아사회의한 범주에 관한 연구. 한승완 역. 나남.

27.

Johnsen, S., Cloke, P., May, J. 2005. “Day centres for homeless people: spaces of care of fear?”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6(6).

28.

Lefebvre, H. 1996. Writings on Cities. Eleonore Kofman and Elizabeth Lebas (trans. & eds.). Oxford: Blackwell.

29.

Mitchell, D. 2003. The Right to the City: Social Justice and the Fight for Public Spac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0.

Purcell, M. 2002. “Excavating Lefebvre: The right to the city and its urban politics of the inhabitant.” Geojournal, 58.

31.

Purcell, M. 2003. “Citizenship and the right to the global city: reimagining the capitalist world order.”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7(3).

32.

Young, I. M. 1990a. “The ideal of community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Nicholson, L. J. (ed.). Feminism/Postmodernism. London: Routledge.

33.

Young, I. M. 1990b. Justice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4.

Young, I. M. 2000. Inclusion and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