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이 연구는『2009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적 요인이청년 대졸자의 첫 일자리 하향취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있다. 하향취업의 척도는 주관적 기준과 객관적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노동시장의 공간적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고교 및 대학 소재지와 직장소재지 정보를 이용하여 청년층의 공간적 이동성향과 관련된 척도를 구성하는 한편, 인구센서스원자료를 이용하여 지역노동시장의 특성과 관련된 변수를 결합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적 요인의 효과가 대학서열화 효과로 설명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대학 수능점수 척도를 구성하였다. 선택편의를 고려한 프로빗 모형 분석결과, 공간적 요인은 대학 서열화 효과를통제한 후에도 청년대졸자의 첫 일자리 하향취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주요 변수들의 효과는 하향취업 척도를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도출되었다. 우선 공간적 유연성의 효과와관련해서는 이동의 물리적 거리뿐만 아니라 방향성도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지역노동시장의 조건 역시도 모형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하향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든 모형에서 지역노동시장의 크기가클수록 하향취업에 양의 효과를 미쳤으며, 지역 고용률은 객관적 기준의 하향취업에 역시 양의 효과를 미쳤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과정을 이해함에 있어서 대학의 공간적 위계 못지않게 일자리의 공간적 위계가 중요한 요인이라는함의를 도출하였다. 아울러 고용정책 차원에서 지역단위에서 청년 대졸자에 대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존 일자리에 대한 노동조건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고용노동부. 2012. 《2011~2020 중장기 인력수급전망과 정책과제》. 고용노동부 4월 3일자 보도자료.
김준영· 윤정혜. 2010. 하향 취업의 지속성: 청년층의 하향 취업 경험이 비하향 취업으로의 이행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산업노동연구》 제16권, 1호, 173〜199.
김희삼. 2010. 지방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와 지역별 교육격차 . 《한국개발연구》 제32권, 2호, 58~92.
류장수. 2005. 지방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수도권대학 졸업생과의 비교 . 《노동경제논집》 제28권, 2호, 1〜27.
박성재·반정호. 2007. 청년층의 하향취업 원인과 노동시장 성과 . 《사회보장연구》제23권, 4호, 1〜28.
박진희. 2012. 기혼여성 취업자의 공간적 미스매치와 임금 . 2012 경제학공동학술대회, 한국노동경제학회 제1분과회의 발표문.
서옥순·서민재. 2011. 부산지역 청년고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고용연구》 제3권, 2호, 79〜114.
신선미·민무숙. 2010. 대졸 청년층 하향취업자의 하향취업 상태 변화 요인 .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3권, 2호, 47〜66.
오호영. 2007.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성과-지방대생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 《노동경제논집》 제30권, 2호, 87-118.
이병희. 2003. 《청년층 노동시장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 2003-01.
이상호. 2008. 지역노동시장권(LLMAs)의 측정과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노동정책연구》제8권, 4호, 147〜182.
이정우. 2010. 《불평등의 경제학》, 후마니타스.
장수명. 2010. 국·공립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분석 . 《2010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조사 심포지엄》자료집, 538〜567.
한국고용정보원. 2011. 《2009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1차년도 기초분석 보고서》. 고용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Battu, H., C. R. Belfield and P. J. Sloane. 2000. “How Well Can We Measure GraduateOver-Education and Its Effects?,” National Institute Economic Review, 171(1): 82〜93.
Bourdet, Yves and Inga Persson. 2008. “Overeducation Among Swedish Youth: Background, Incidence and Effects,” S-WoPEc(Scandinavian Working Papers in Economics).
Bü̈ chel, F. and H. Battu. 2002. “The Theory of Differential Overqualification: Does It Work?,” IZA Discussion Paper Series, No. 511.
Bü̈ chel, F. and M. van Ham. 2003. “Overeducation, Regional Labor Markets, and Spatial Flexibility,” Journal of Urban Economics, 53, pp. 482〜493.
Croce, G. and E. Ghignoni. 2011. “Overeducation and Spatial Flexibility in Italian Local Labour Markets,” MPRA(Munich Personal RePEc Archive) Paper, No. 29670.
Dolton, P. and M. Silles. 2001. “Over education in the graduate labour market: some evidence from alumni data,” CEP Discussion Paper, No. 9.
Frank, R. 1978. “Why Women Earn Less: The Theory and Estimation of Differential Overqualifica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68(3): 360〜373.
Hensen, M. M., M. Robert de Vries and Frank Corvers. 2009. “The Role of Geographic Mobility in Reducing Education-Job Mismatches in the Netherlands,” ROA Research Memorandom Series, 9/2009, Maastricht University.
Jauhiainen, Signe. 2006. “egional Differences in Overeducation,” ERSA 2006 46th Congress of the Europ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Jauhiainen, Signe. 2010. “Overeducation in the Finnish Regional Labour Markets,” Papers in Regional Science, 90(3): 573〜588.
Lenton, Pamela. 2011. “Over-education Across British Regions,” Regional Studies, pp. 1-15.
Leuven, E. and H. Oosterbeek. 2011. “Overeducation and Mismatch in the Labour Market,” IZA Discussion Paper Series, No. 5523.
Linsley, Ingrid. 2005. “Causes of Overeducation in the Australian Labour Market,” Australi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8(2): 121-143.
McGoldrick, M. and J. Robst. 1996. “Gender Differences in Overeducation: A Test of the Theory of Differential Overqualifica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86, pp.280-285.
McGuinness, Seamus. 2006. “Overeducation in the Labour Market,” Journal of Economic Surveys 20(3), pp. 387-418.
Ramos R. and E. Sanromá. 2002. “The Theory of Differential Overqualification: Does It Work?,” IZA Discussion Paper Series, No. 511.
Verhaest, D. and E. Omey. 2002. “Overeducation in the Flemish Youth Labour Market,” Universiteit Gent, Working Paper, 141/2002.
van Ham, M. 2002. Job access, workplace mobility and occupational achievement. PhD thesis, Eburon Publishers, Del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