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마을기업에 의한 전통시장 활성화 메커니즘 분석

Analyzing the Mechanism of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by Community-based Enterprises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3, v.23 no.3, pp.52-89
박소연 (서울시립대학교)
박인권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유통시장의 변화에 따라 꾸준히 쇠퇴하고 있는 전통시장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시장 내부로부터 변화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많다. 통인시장의 경우에는 상인들 스스로 (주)통인커뮤니티라는 마을기업을 만들고 이를 통해 시장을 활성화하는 데 성과를 거둔 사례로서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는이 사례의 분석을 통해 마을기업의 활동이 어떻게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시장 내 상인 및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통인시장 내 마을기업이 수요와공급 양 측면에서 모두 활성화에 기여하여 고객 수 및 매출의 증가 효과를 가져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마을기업의 고유한 특성과 관련이 깊다. 특히 기업가 정신과 지역자산의 활용이라는 두 가지 특성이 전통시장 활성화의 여러 요인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개별 기업의 이익이 아니라 공동체 이익을 추구하는 마을기업의 활동 역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시장 활성화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community-based enterprise,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Tong-In Market, lunchbox cafe, entrepreneurship, local assets, 마을기업, 전통시장 활성화, 통인시장, 도시락 카페, 기업가 정신, 지역자산

참고문헌

1.

권혁찬. 2010a. 「전통시장의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역할 제고 방안」. (사)한국유통학회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 59~79쪽.

2.

권혁찬. 2010b. 「지역상권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통시장 사회적 기업의 탐색적 연구」. ≪재래시장연구≫, 제3권, 15~27쪽.

3.

김경준.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승미. 2012. 「사회적기업형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유통학과 석사학위논문.

5.

김종민·지경배·이영길. 2012. 「마을기업의 진화」, 강원발전연구원. ≪정책메모≫, 제 156호.

6.

김찬동. 2009. 「서울의 전통시장, 어떻게 활성화할 것인가?」.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정책리포트≫, 제36호, 1~21쪽.

7.

김효섭. 2012. 「사회적 기업과 마을기업 비교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8.

김희영. 2010. 「재래시장 현대화사업의 효과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영천공설시장을 사례로」. 대구대학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논문.

9.

류태창·성창수·변충규. 2009. 「도시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인고령화 해소 제도방안 연구」. ≪유통연구≫, 제14권 제5호, 207~231쪽.

10.

박승제. 2011. 「지속가능한 상권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전략연구」. 동아대학교 국제학과 박사학위 논문.

11.

박용규·최숙희·주영민. 2009.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경제 활성화」. 삼성경제연구원 Issue Paper.

12.

박인권. 2012.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전략의 규범적 모형: SAGE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4권 4호, 1~26쪽.

13.

손나경. 2011. 「도시 재래시장의 공공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통인시장을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14.

송균석·범상규. 2011. 「재래시장의 고객지향적인 상인조직화 연구」. ≪유통경영학회지≫, 제14권 2호, 5~27쪽.

15.

심상진. 2013. 「도시형 마을기업 사례조사를 통한 성공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창업컨설턴트학과 석사학위 논문.

16.

이자성. 2010. 「일본 지역공동체 경영을 위한 주민참여와 커뮤니티 비즈니스」. 한국행정학회 2010년도 공동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1468~1486쪽.

17.

임준홍. 2011.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상인의식 설문조사 분석결과: 사업평가와 정책방향을 중심으로」. ≪전통재래시장연구≫, 제4권, 49~54쪽.

18.

임준홍·임형빈.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사회적기업)로 전통시장을 살리자」. 충남발전연구원. ≪정책동향분석≫, 제4호, 1~12쪽.

19.

전인우. 2007. 「소상공인의 조직화·협업화 모델제시와 정책방향」. 중소기업연구원.연구용역보고서, 126~128쪽.

20.

최승재. 2009.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석사학위 논문.

21.

행정안전부. 2012. 「2012년 「마을기업」 육성 시행지침」. 행정안전부 지역발전정책국.

22.

허소영. 2013. 「전통시장 상인역량강화를 통한 시장 활성화 효과분석: 수원 못골시장사회적기업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23.

허재완·송남헌. 2009. 「재래시장 환경개선사업의 시장활성화 효과실증연구: 광명재래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경제연구≫, 235~245쪽.

24.

황진호.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로서 마을기업의 발전과제」. ≪울산발전≫, 통권제31호, 55~63쪽.

25.

통인시장 http://www.tonginmarket.co.kr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