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이 논문은 창조성에 바탕을 둔 창조경제 및 이의 구체적 형태로 드러나는 창조산업에 관한 개념적 논제들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우선 창조경제에 관한 논의들이 거의 무시하고 있는 이론의 등장 배경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그다음 창조경제, 창조성, 창조산업에 관한 논의에서 주요한 개념적 논제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비판하고자 한다. 이러한 재검토를 통해, 이논문은 첫째 창조경제 이론은 자본주의하에서 창조경제로의 전환 및 현재 경제체제의 작동 메커니즘, 즉 실제 어떤 생산체계 및 노동과정에 바탕을 두고 작동하는가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부족하고, 둘째 창조성에 관한 모호한 개념 규정과지나친 규범화는 결국 창조성 나아가 창조경제에 대한 정책이나 담론이 현재 자본주의 경제의 작동 메커니즘과 창조계급의 지배적 지위를 정당화시키기 위한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며, 셋째 다양한 부문을 포함하는 창조산업은 창조경제 및 창조인력과 관련하여 유형화의 한계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창조산업의 여러 부문들은 실제 노동과정의 유연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을 안고 있다고주장한다.
This paper reconsiders critically some conceptual issues of creative economy developed on the basis of human creativity, and of creative industry as actual forms of creative economy. It first looks into the context of the rise of creative economy theory which has been often ignored, and then reexamines critically major conceptual issues of creative economy, creativity and creative industry. Through this reconsidera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ory of creative economy, especially suggested by Florida, lacks for concrete explanation o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to, and operation of, creative economy, that is, what kind of production system and of labor process have promoted actually creative economy; that a vague and dubious definition and excessively normative elucidation of creativity of creativity leads to an ideology that policy or discourse on creative economy would legitimate the actually operating mechanism of present economy of capitalism and the dominant status of the so-called creative class; and that the concept of creative industry which includes a number of sectors has a limitation of its classification in relation to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employment, and several sectors of creative industries have revealed serious problems of actual labor process due to its flexibility.
강병수. 2009. 「창조계급과 창조도시 전략: 대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1), 1~12쪽.
구문모. 2005. 「서울시 창조산업의 경제적 성과와 집적화에 대한 일고찰」.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7, 223~250쪽.
김동완. 2008. 「규모의 지리 측면에서 바라본 창조적 계급과 도시 창조성: 도시 창조성의 재구성과 도시 정책적 시사점」. ≪공간과 사회≫, 29, 148~175쪽.
김용일·이주형. 2011. 「도시 창조성의 지역별 특성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13(2), 1~23쪽.
김준홍. 2012. 「Richard Florida의 창조도시 이론의 한국적 수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창조 계층의 장소 선택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26(1), 31~51쪽.
랜드리, 찰스(C. Landry). 2005. 창조도시 . 임상오 역. 해남; Landry, C. 2000. The Creative City: A Toolkit for Urban Innovators. London: Comedia.
사사키 마사유키(佐佐木雅辛). 2004. 창조하는 도시: 사람, 문화, 산업의 미래 . 정원창 역. 소화; 佐佐木雅辛. 2001. 創造都市への挑戰-産業と文化の息づく街へ .岩波書店.
신성희. 2006. 「창조계급 및 창조도시들의 분포 특성과 창조적 도시 조성 방안의 시사점: 미국과 한국 도시들을 사례로」. ≪공간과 사회≫, 25, 80~98쪽.
이용숙·최정인. 2012. 「싱가포르의 창조도시 정책에 대한 비판적 소고」. ≪공간과 사회≫, 22(2), 5~37쪽.
인천발전연구원. 2006. 창조적 인력이 모이는 장소의 특징과 사례 .
임상오·전영철. 2009. 「창조도시 담론의 쟁점과 재정학적 시사점」. ≪재정정책논집≫, 11(3), 157~190쪽.
임형섭. 2010. 「창조산업의 경제적 고찰과 광주 창조산업 육성」. ≪광주연구≫, 2010봄호, 1~17쪽.
정성훈. 2012. 「‘창조도시’와 ‘문화도시’에 대한 인문적 비판」. ≪시대와 철학≫, 23(1), 386~408쪽.
차두원·유지연. 2013. 창조경제 개념과 주요국 정책 분석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플로리다, 리처드(R. Florida). 2008. 도시와 창조 계급 . 이원호·이종호·서민철 역.푸른길; Florida, R. 2005. Cities and the Creative Class, London: Routledge.
플로리다, 리처드(R. Florida). 2011. 신창조 계급 (개정판). 이길태 역. 북콘서트; Florida, R. 2000.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New York: Basic Books. (번역 초판은 이길태 역, 2002, 창조 적 변화를 주도하는 사람들 , 전자신문사).
하비, 데이비드(D. Harvey). 2007. 신자유주의 . 최병두 역. 한울; Harvey, D. 2005. A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Oxford U.P.
한상진. 2008. 「사회적 경제모델에 의거한 창조도시 담론의 비판적 검토: 플로리다,사사끼, 랜드리의 논의를 중심으로」, ≪ECO≫, 12(2), 185~206쪽.
野村総合研究所 総合研究本部. 1990. 創造の戦略: 創造化時代のマネジメント・|ノウ ハウ . 野村総合研究所総合研究本部編.
Amin, A. and Thrift, N. 2007. “Cultural-economy and citie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1(2), pp. 143~161.
Bontje, M. and Musterd, S. 2009. “Creative industries, creative class and competitiveness: Expert opinions critically appraised.” Geoforum, 40, pp. 843~852.
Caves, R. E. 2000. Creative Industries: Contracts between Art and Commerce. Harvard University Press.
De Propris, L. 2013. “How are creative industries weathering the crisis?”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6, pp. 23~35.
European Commission. 2010. Green paper: Unlocking the potential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Bruxelles: European Commission.
Florida, R. 2005. The Flight of The Creative Class: The New Global Competition For Talent. New York: Harper Business.
Gibson, C. and Kong, L. 2005. “Cultural economy: a critical review.”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9(5), pp. 541~561.
Ho, K. C. 2009. “The neighbourhood in the creative economy: policy, practice and place in Singapore.” Urban Studies, 46(5&6), pp. 1187~1201.
Howkins, J. 2001. The Creative Economy: How People make Money from Ideas. Penguin.
Krätke, S. 2010. “‘Creative cities’ and the rise of the dealer class: a critique of Richard Florida’s approach to urban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4(4), pp. 835~853.
Markusen, A. and Schrock, G. 2006. “The artistic dividend: urban artistic spec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mplications.” Urban Studies, 43(10), pp. 1661~1686.
Novy, J. and Colomb, C. 2013. “Struggling for the right to the (creative) city in Berlin and Hamburg. New urban social movements, new ‘spaces of hope’?”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7(5), pp. 1816~1838.
Peck, J. 2005. “Struggling with the creative clas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9(4), pp. 740~770.
Peck, J. 2007. “The creativity fix.” Eurozine(June 28). http://www.eurozine.com/articles/ 2007-06-28-peck-en.html.
Pratt, A. C. and Hutton, T. A. 2013. “Reconceptuali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economy and the city: learning from the financial crisis.” Cities, 33, pp. 86~95.
Putnam, R.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and Schuster.
Rantisi, N. M., Leslie, D. and Christopherson, S. 2006. “Placing the creative economy: scale, politics, and the material.” Environment and Planning A, 38(10), pp. 1789~ 1797.
Reese, L. and Sands, G. 2008. “Creative class and economic prosperity: old nostrums, better packaging?”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22(1), pp. 3~7.
Scott, A. 2006. “Creative cities: conceptual issues and policy questions.” Journal of Urban Affairs, 28(1), pp. 1~17.
Throsby, D. 2001. Economics and Culture. Cambridge: Cambridge U.P.
UNCTAD. 2010. Creative Economy: A Feasible Development Option (UNCTAD. 2013. 창조경제보고서. http://www.mosf.go.kr/_upload/bbs/62/attach/20130621102122539.pdf).
Vivant, E. 2013. “Creatives in the city: urban contradictions of the creative city.” City, Culture and Society, 4, pp. 57~63.
Wilson, D. and Keil, R. 2008. “Commentary: the real creative class.”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9(8), pp. 842~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