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A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of Land Readjustment Pro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4, v.24 no.2, pp.178-219


Abstract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s has the path dependent tendency regardless of the political power change and politics, economy, and social change from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until 1980s. This path dependency is the major insistence of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mong the three branches of the institutionalism and the imbalance of power relation and historical junctures is adopted as the explanatory facto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at is the reason why there was no change of system until 1980s, it was continuously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s maintained from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nd ‘What is the reason why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s is adopted as the land policy?’ The analysis frame sets to an element the Institutional Setting(Context), Historical Junctures, Imbalance of Power Relation, Policy Change which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sist. The result of analysis, path dependent of two views can be analyze. First,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s changes gradually by the Institutional Setting(Context) and historical context from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until 1980’s but there was no sudden change of the system because of being not of the alternative of the changed system and professional manpower. Secondly, Japan or Korean government was altogether formed in the land development means of policy by the public demand for land and this was continuously maintained. There is the common-point that this method can solve the land demand without public financial input.

keyword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Path Dependence, Land Readjustment Projects, Historical Junctures, 역사적 제도주의, 경로의존성, 토지구획정리사업, 역사적 전환점

Reference

1.

구현우. 2009. 「역사적 제도주의와 비교정책 연구: 제도의 지속성, 변화가능성, 그리고 정책패턴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18권 제2호, 37~72쪽.

2.

국토연구원. 2008. 「상전벽해 국토60년: 정책편」.

3.

국토해양부. 2010. 「토지정책의 패러다임 재정립 방안 연구」.

4.

권영주. 2001. 「한일 대도시 제도의 비교: 신제도주의 시각」. ≪법률행정논집≫, 제9권, 89~119쪽.

5.

김선명. 2007. 「신제도주의 이론과 행정에의 적응성: 역사적 제도주의를 중심으로」. ≪한·독 사회과학논총≫, 제17권 제1호, 211~239쪽.

6.

김용창. 2003. 「개발이익환수와 지역균형발전」. ≪공간과 사회≫, 통권 제20호, 52~83쪽.

7.

김의원. 1983. 「우리나라 토지구획정리사업의 도입과 전개」. ≪도시문제≫, 제18권 제2호, 8~25쪽.

8.

김종성. 2002. 「신제도주의의 행정적 함의: 역사적 제도주의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13권, 59~82쪽.

9.

김진수. 2013. 「경로의존성 관점에서 본 세종시정책의 변동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항규. 2009. 행정철학 . 대영문화사.

11.

김형성. 2009. 「중앙행정기관 평가제도 변천에 관한 연구: 신제도주의적 관점의 적용」.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노용호. 2002. 「우리나라 토지정책의 당면과제와 21세기 정보화시대의 토지정책 방향」. ≪토지와건물≫, 제17권, 103~122쪽.

13.

류일웅. 2003. 「우리나라 토지제도의 발전에 관한 연구」. ≪토지공법연구≫, 제13권, 677~698쪽.

14.

박찬승. 2010. 한국의 근대현사를 읽는다 . 경인문화사.

15.

방민석·김정해. 2003. 「대기업 규제정책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분석: 정책 변화와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7권 제4호, 233~259쪽.

16.

서순탁. 2010.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토지정책의 유산과 과제 . 국토연구원.

17.

서순탁. 2007. 「참여정부 토지정책의 진단과 과제」. ≪대한부동산학회지≫, 통권 제25호, 125~141쪽.

18.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서울20세기 공간변천사」.

19.

서울특별시. 1990. 「토지구획정리백서」.

20.

서울특별시. 1999. 서울건축사(서울역사총서 2) .

21.

손정목. 2003.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1~5권 . 한울.

22.

신병식. 1997. 「제1공화국 토지개혁의 정치경제」. ≪한국정치학보≫, 제31권 제3호, 25~46쪽.

23.

양상욱. 1997. 「서울·구획정리사업의 특징」. ≪산업기술연구논문집≫, 제5권, 123~132쪽.

24.

양승두. 1987. 「우리나라 토지구획정리제도에 관한 고찰」. ≪연세행정논집≫, 제13권 제1호, 129~139쪽.

25.

이정전. 2006. 토지경제학 . 박영사.

26.

이준희. 2011. 「역사적 제도주의와 교육정책 연구」. ≪교육비평≫, 제30호, 177~186쪽.

27.

이태교. 2006. 토지정책론 . 법문사.

28.

임서환. 2005. 주택정책 반세기 . 기문당.

29.

정승진 외. 2006. 「토지대장에 나타난 농지개혁의 실상(1945~1970): 전북 익산군 춘포면 토지대장의 분석」. ≪한국경제연구≫, 제17권, 41~77쪽.

30.

정용덕 외. 1999. 신제도주의 연구 . 대영문화사.

31.

정희남. 2010. 「정부수립 이후의 한국 토지정책 60년사 소고, 1948~2008」. ≪부동산연구≫, 제20집 제1호, 281~306쪽.

32.

조덕훈. 2013. 「한국 임대주택 공급정책의 변화과정 연구」. ≪공간과 사회≫, 통권46호, 58~101쪽.

33.

차세빈·임도빈. 2010. 「서울의 근대 도시계획 형성과정 분석: 경로의존성과 시간개념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547~568쪽.

34.

하연섭. 2002a. 「시차적 접근방법과 신제도이론」. ≪한국정책학회보≫, 제11권 제2호, 299~303쪽.

35.

하연섭. 2002b. 「신제도주의의 최근 경향」. ≪한국행정학보≫, 제36권 제4호, 339~359쪽.

36.

하연섭. 2011. 제도분석: 이론과 쟁점 . 제2판. 다산출판사.

37.

한국토지공사. 2000. 우리나라 토지정책의 변천과정과 공사의 역할 . 한국토지공사.

38.

한인웅·채희재. 1995. 「토지구획정리사업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삼척대학교논문집≫, 제28권 제1호, 507~517쪽.

39.

Hall, P. A. and R. C. R. Taylor. 1996. “Political Science and the Three New Institutionalism.” Political Studies, 44, pp. 936~957.

40.

Ikenberry, G. J. 1998. Conclusion: An Institutional Approach to American Foreign Economic Policy. The State and American Foreign Economic Policy.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41.

Immergut, E. M. 1998. “The Theoretical Core of the New Institutionalism.” Politics & Society, 26(1), pp. 5~34.

42.

Krasner, S. 1984. “Approaches to the State: Alternative Conceptions and Historical Dynamics.” Comparative Politics, 16, pp. 223~246.

43.

Krasner, S. 1988. “Sovereignty: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Comparative Politics, 21(1), pp. 66~94.

44.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olit.go.kr/USR/BORD0201/m_67/DTL.jsp?mode=view&idx=148031).

45.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

46.

서울도시계획포털(http://spp.seoul.go.kr/silguk/upis/sub7/sub7_1.jsp?act=VIEW&boardId=9&communityKey=B0318).

47.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http://kosis.kr).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