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지방자치단체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에 대한 행위자 간 인식 비교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관리자와 공무원을 중심으로

The comparison of actors’ recognition on social enterprise promotion policy in local government: Focusing on social enterprises’ managers and officials in Kyunggi-do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4, v.24 no.3, pp.47-85
https://doi.org/10.19097/kaser.2014.24.3.47
최준규 (경기개발연구원)
박현신 (동덕여자대학교)

초록

한국의 사회적기업 정책은 고용 없는 성장의 구조화나 사회서비스 수요 증가등과 같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등장했다. 그 결과, 2007년에 「사회적기업육성법」이 도입되었고, 이후 사회적기업 수가 1,000개가 넘는 등 단기간에엄청난 양적 성과를 거두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불구하고, 사회적기업 정책은 질적 부분에 있어 미흡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러한 비판에 대응해 최근의 사회적기업 정책은 지역사회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2013년에 발표된 제2차 사회적기업 육성계획은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중요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의 근간이 되는 관련 조례와 그 집행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예비사회적기업 정책운영의 근간을 이루는 관련 조례를 중심으로 관계된 행위자들의 인식을 조사·분석했다. 구체적으로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의 공급자 집단인 공무원들과 정책의 수혜자집단인 기업인들이 지방정부 지원정책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 두 행위자 집단이 그들의 사회·경제적 입장에 따라 지원정책의 운영에대해 다르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행위자 집단 간 인식 차이는 사회적기업 정책의 전략적 지향을 도출하는 데 유의미한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사회적기업, 예비사회적기업, 지방자치, 자치법규, social enterprise, local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 local autonomy, local legislation

Abstract

The social enterprise in Korea emerged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such as therise in unemployment, increased demand for social services, and so on. As a result,the policies on social enterprise were established and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Act was introduced in 2007. Since then,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has increasedmore than 1,000 in Korea. However, despite such quantitative expansionover the past few years, the government policies have been criticized for the qualitativeproblems faced by individual social enterprises. In order to respond to thesecriticisms, the government’s latest policies emphasize the roles of local community. Actually the significant roles of local government were referred to in the 2nd SocialEnterprise Promotion Plan publish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2013. In spite of the government’s support, the researches o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or local legislation have been relatively rar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the actors’ recognition of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policy in local government,Kyunggi-do. Specifically the study compared the attitudes of two groups who areinvolved in the policy: policy providers and beneficiaries. The results showed thattwo groups, represented by managers and officials, had different awareness on thepolicy depending on their social and economic positions. This study will providesignificant implications to derive the strategic orientation of the social enterprisepolicy.

keywords
사회적기업, 예비사회적기업, 지방자치, 자치법규, social enterprise, local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 local autonomy, local legislation

참고문헌

1.

「경기도 사회적경제 육성지원에 관한 조례」(제정 2014.1.10, 조례4668호).

2.

경기도 사회적기업. https://se.gg.go.kr/

3.

「경기도 사회적기업 육성지원에 관한 조례」(개정 2013.8.5, 조례4576호).

4.

고용노동부. 2013. 제2차 사회적기업 육성계획 . 고용노동부.

5.

고용노동부. 2010.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예비)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사업 시행 지침 . 고용노동부.

6.

고형면. 2007. 「사회적기업 정책과 한국적 모델의 발전 가능성」. 한국 사회학회2007 후기사회학대회 발표논문집 (I) , 109~126쪽.

7.

곽선화. 2009. 2008 사회적기업 성과분석 . 노동부.

8.

권용덕·김덕주. 2011. 「경남 사회적기업의 운영 및 생태계 분석」. ≪사회적기업연구≫, 4권 2호, 107~136쪽.

9.

김경휘·반정호. 2006. 「한국 상황에서의 사회적기업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소고」. ≪노동정책연구≫, 6권 4호, 31~54쪽.

10.

김순양. 2008. 「사회적기업에 대한 성과평가 지표의 개발 및 적용」. ≪지방정부연구≫, 12권 1호, 31~59쪽.

11.

김신양. 2006. 「사회적기업의 법제화: 유럽 및 한국의 사례」. ≪도시와 빈곤≫, 80권, 75~91쪽.

12.

김은진. 2007. 「사회적기업과 영리성: 사회적기업 육성법을 중심으로」. ≪안암법학≫, 25권, 885~908쪽.

13.

김종수. 2009. 「지역기반형 사회적기업의 태동과 운영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태영. 2008. 「공기업정책의 이상과 실천: 한국의 사회적기업의 성장과 과제」.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자료집 , 413~428쪽.

15.

김태영. 2012.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과 공동체 정신」. ≪도시행정학보≫, 25권 3호, 31~64쪽.

16.

김학실. 2011. 「행위자 특성에 따른 사회적기업 지원정책 우선순위 연구」. ≪지방정부연구≫, 15권 2호, 165~185쪽.

17.

김항석·이의영·김현철. 1999. 「지역기업의 사회적 성과평가모형 개발」. ≪한국경제연구≫, 2권, 243~260쪽.

18.

김해란. 2010. 「정책도구의 전략적 선택과 조합: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을 중심으로」. ≪사회적기업연구≫, 3권 1호, 5~38쪽.

19.

김혜원. 2007. 「사회적서비스 분야 사회적기업은 지속가능한가」. ≪노동리뷰≫, 3권 27호, 31~50쪽.

20.

김홍일. 2007. 「한국 사회적기업의 현황과 가능성 모색」. 사회적 경제 심포지엄 자료집 .

21.

노동부. 2003.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2003년도 시행지침 . 노동부.

22.

노동부. 2008.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2008~2012) . 노동부.

23.

노대명. 2007. 「한국의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의 현황과 과제: 사회적경제의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5권 2호, 35~71쪽.

24.

라준영. 2010.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13권 4호, 129~161쪽.

25.

류만희. 2011. 「한국의 사회적기업 특성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상황과 복지≫ 31권, 161~191쪽.

26.

문보경. 2013. 「한국협동사회경제동향을 통해 본 과잉과 결핍」. 2013 협동사회경제활동가대회 자료집 .

27.

박찬임. 2008. 「사회적기업 창출 및 육성을 위한 과제」. ≪노동리뷰≫, 43권, 31~48쪽.

28.

신명호. 2004. 「사회적기업: 한국적 실험의 역사와 교훈」. ≪도시와 빈곤≫, 70권, 5~22쪽.

29.

신명호. 2008. 「한국의 ‘사회적경제’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도시와 빈곤≫, 89권, 5~45쪽.

30.

심창학. 2007. 「사회적기업의 개념 정의 및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유럽의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3권 2호, 61~85쪽.

31.

오미옥. 2005. 「고용 보장 제도로서의 사회적기업: 한국에서의 도입 가능성 탐색」. ≪현상과 인식≫, 29권 4호, 63~97쪽.

32.

이승규·라준영. 2010. 「사회적기업의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 사회투자수익률(SROI)」.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13권 3호, 41~56쪽.

33.

이영범·박성우·남승연·정무권. 2012. 「근거이론을 통한 사회적기업의 지속발전 모형에 대한 연구: 서울형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와 행정연구≫, 22권 4호, 355~387쪽.

34.

이용탁. 2008. 「사회적기업의 BSC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적기업연구≫, 1권 1호, 65~92쪽.

35.

이인재. 2009. 「한국 사회적기업의 쟁점과 전망」. ≪동향과 전망≫, 75권, 109~141쪽.

36.

자치법규정보시스템(ELIS). http://www.elis.go.kr/

37.

장원봉. 2008. 「한국 사회적기업의 실태와 전망」. ≪도시와 빈곤≫, 89권, 46~74쪽.

38.

장정주. 2010. 「사회적기업의 경영효율성 평가를 위한 DEA모형 도입에 관한 연구:H지역 간병·가사지원업을 중심으로」. ≪국제·경영연구≫, 17권 2호, 179~191쪽.

39.

채종헌·이종한. 2009.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사회적기업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행정연구원.

40.

채종헌·최준규. 2010. 「한국 사회적기업의 운영상 특성과 법·제도 인식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3권 2호, 23~54쪽.

41.

최석현. 2012.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역사회자본 형성전략에 대한 이론적 고찰: 연결망 재구축과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9권 1호, 125~151쪽.

42.

최준규. 2013. 경기도 자치입법사례의 입법영향분석 . 경기개발연구원.

43.

한국 사회적기업진흥원. http://www.socialenterprise.or.kr/kosea/reserve.do

44.

허정수·윤영숙·박현상. 2008. 「BSC를 활용한 비영리조직의 성과측정 도구 개발」. ≪한국비즈니스리뷰≫, 1권 2호, 387~403쪽.

45.

홍순식. 2011. 「민선5기 이후 자치구의 사회적기업 지원활동 강화: 은평구와 성북구분석」. ≪민주주의와 인권≫, 11권 1호, 41~78쪽.

46.

Campbell, D. 2000. The Socially Constructed Organization. London: H. Karnac Books.

47.

Defourny, J. 2001. “Introduction: From Third Sector to Social Enterprise.” in C. Borzaga and J. Defourny(eds.).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New York: Routledge.

48.

Laville, J. 2003. “A New European Socioeconomic Perspective.” Review of Social Economy, Vol. 61, No. 1, pp. 390~405.

49.

OECD. 1999. Social Enterprise. OECD.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