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사회적 경제조직의 성과요인 분석 이해관계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Performance Factors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the Governance Perspective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4, v.24 no.3, pp.5-46
https://doi.org/10.19097/kaser.2014.24.3.5
강병준 (한국행정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사회적 경제조직이 지속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시민사회, 기업이 상호작용하는 거버넌스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조직의 성과요인을 실증적으로 밝혀내기 위해 거버넌스적 관점에서 접근했다. 실증분석 결과 사회적 경제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부 부문의 법적 지원, 시민사회 부문의 신뢰와 착한 소비, 기업 부문의 기업윤리와 협력·네트워크, 그리고조직관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경제조직의 정책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첫째, 정부 부문에서는 사회적 경제조직의 인증제도와 법률을 통합화하여 법적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시민사회 부문에서는 사회적 경제조직의 신뢰 제고와 착한 소비 확산을 위해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 활용과 사회적 경제조직의 정부 민간위탁 사업 참여가 필요하다. 셋째, 기업 부문에서는 기업윤리 혹은 기업의사회적 책임 제고, 일반 기업과 사회적 경제조직의 협력·네트워크 강화, 사회적경제조직의 조직역량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조직관리가 필요하다.

keywords
사회적 경제조직, 거버넌스, 사회적 경제조직의 성과요인, 기업연계, 민간위탁 참여,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Governance, Performance Factor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Enterprise Connection, Contracting-out participate

참고문헌

1.

관계부처합동. 2011.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 과천: 고용노동부.

2.

관계부처합동. 2012. 「협동조합 기본법」 시행과 향후 정책 방향 . 과천: 기획재정부.

3.

권기헌. 2008. 정책학: 현대 정책이론의 창조적 탐색 . 서울: 박영사.

4.

권은정. 2010. 착한 기업 이야기 .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5.

고용노동부. 2010.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비상경제대책회의 겸 국가고용전략회의 자료집 . 과천: 고용노동부.

6.

김경휘·반정호. 2006. 「한국 상황에서의 사회적기업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소고」. ≪노동정책연구≫, 6(42), 31~54쪽.

7.

김도균·정선기. 2014. 「사회적 경제조직의 활동과 지역의 사회자본 확장: 대전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5(1), 281~306쪽.

8.

김미경. 2008. 「뉴거버넌스 연구방향과 인식과제: Good Governance의 형성과 우리사회의 참여와 민관협력을 위한 논의」. 오수길 편. 2008. 미래로 가는 길 뉴거버넌스 . 서울: 대영문화사.

9.

김윤호. 2010. 「사회적기업은 재분배 정책인가 분배 정책인가?: 인증 사회적기업의 유형화, 실증적 비교분석, 그리고 육성방안」. ≪한국정책학회보≫, 19(4), 211~248쪽.

10.

김석준 외. 2001. 뉴거버넌스와 사이버 거버넌스 연구 . 서울: 대영문화사.

11.

김정원. 2009. 사회적기업이란 무엇인가? . 서울: 아르케.

12.

김종수. 2009. 「지역기반형 사회적기업의 태동과 운영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재홍·이재기. 2012.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분석: 정부지원금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4(4), 1037~1064쪽.

14.

김태영. 2012.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과 공동체정신」. ≪도시행정학보≫, 25(3), 31~64쪽.

15.

김혁. 2010. 「거버넌스와 인터넷 시민참여 제도화」. ≪한국정당학회보≫, 9(1), 121~147쪽.

16.

김현성. 2010. 「공부문 정보화의 개념 재정립 및 정보화사업 유형분류에 관한 고찰」.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3(1), 1~23쪽.

17.

김혜원. 2009. 「한국 사회적기업정책의 형성과 전망」. ≪동향과 전망≫, 75, 74~108쪽.

18.

남승연‧이영범. 2008.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유형화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일자리 제공형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 34(3), 29~60쪽.

19.

남승연‧조창현‧정무권. 2010. 「사회적기업의 개념화와 유형화 논쟁」. ≪창조와 혁신≫, 3(2), 129~173쪽.

20.

문화일보. 2014.1.6. <‘착한 경제, 사회적기업 1000개 시대’ 지원 끊기자 순익 87%↓착한기업, 자생력 키워야>.

21.

박경하·도수관·윤남희·이현미. 2014. 「한국의 사회적 경제조직 지원정책 사례 연구」.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457~500쪽.

22.

박은미. 2009. 「의사소통과 실존적 상호소통: 하버마스와 야스퍼스 소통 개념에 관하여」. ≪시대와 철학≫, 20(3), 265~309쪽.

23.

박찬임. 2008. 「사회적기업의 현재적 의미」. ≪월간 복지동향≫, 120, 5~10쪽.

24.

삼성경제연구소. 2009. 「청년 실업을 위한 사회적기업의 역할」. ≪SERI 경제 포커스≫, 272, 1~22쪽.

25.

삼성경제연구소. 2010. 「확산되는 소셜 미디어와 기업의 新소통 전략」. ≪CEO Information≫, 764, 1~24쪽.

26.

신동면. 2009. 「경제위기 이후 이명박 정부 사회복지정책의 평가와 대안」. ≪한국정책학회보≫, 18(4), 269~295쪽.

27.

심창학. 2007. 「사회적기업의 개념 정의 및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유럽의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3(2), 61~85쪽.

28.

엄형식. 2005. 「유럽적 의미의 사회적기업 개념과 시사점」. ≪도시와 빈곤≫, 76, 78~115쪽.

29.

엘지경제연구원. 2009. 「사회적기업의 지속 성장 가능성」. LG Business Insight 2009 , 41~50쪽.

30.

OECD 대표부. 2006. OECD 국가의 사회적기업과 시사점 .

31.

유병선. 2010. 보노보 혁명: 제4섹터 사회적기업의 아름다운 반란 . 서울: 도서출판부키.

32.

이광우. 2008.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이광택. 2008. 「「사회적기업 육성법」 제정 및 시행 후의 발전방향」. ≪법학논총≫, 20(20), 33~72쪽.

34.

이도형‧함요상. 2010. 「제3부문의 가치 발견과 활성화 전략: 생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16(1), 181~214쪽.

35.

이명석. 2002. 「거버넌스의 개념화: ‘사회적 조정’으로서의 거버넌스」. ≪한국행정학보≫, 36(4), 321~338쪽.

36.

이명석. 2007. 「행정학 패러다임과 거버넌스」. ≪국정관리연구≫, 2(2), 3~30쪽.

37.

이신모. 2009. 「사회적기업 창업을 통한 청년실업해소」. 2009년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대회 논문집 , 1~24쪽.

38.

이영범·남승연. 2009. 「사회서비스 시장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한국공공관리학보≫, 23(2), 99~126쪽.

39.

이윤재. 2010. 사회적기업 경제 . 서울: 탑북스.

40.

이은선. 2009. 「사회적기업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영국, 미국, 한국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7(4), 363~397쪽.

41.

이은애. 2009. 「사회적기업활성화: 정부‧시민사회협력은 사회적기업 성공 전제」. ≪도시문제≫, 44(490), 27~31쪽.

42.

이종수. 2010. 새 미래의 행정 . 서울: 대영문화사.

43.

임준형. 2013. 「광주시 사회적기업의 수출기업화 요인: AHP 이용」. ≪산업경제연구≫, 26(2), 961~981쪽.

44.

은재호. 2009. 「거버넌스의 이해」. 은재호·오수길 편. 2009. 한국의 협력적 거버넌스 . 서울: 대영문화사.

45.

장원봉. 2009. 「한국 사회적기업의 실태와 전망」. ≪동향과 전망≫, 75, 47~73쪽.

46.

장인봉·장원봉. 2008. 「공동생산자(Co-producer)로서 지방정부와 사회적기업의 파트너십(Partnership) 형성과 전망」.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5(3), 299~320쪽.

47.

정충식. 2007. 전자정부론 . 서울: 서울경제경영출판사.

48.

조영복. 2010.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 ≪서울경제≫, 61, 5~16쪽.

49.

주성수. 2010. 사회적 경제: 이론, 제도 정책 .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50.

채종헌. 2011.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기업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한국행정연구원.

51.

최종태 외. 2008. 사회적기업, 새로운 세계: 미국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 서울: 실업극복국민재단 정책연구원.

52.

KBS. 2012.7.26. <위기의 사회적기업... 해법 모색>.

53.

한승준. 2007. 「신거버넌스 논의의 이론적, 실제적 한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1(3), 95~116쪽.

54.

홍일유. 2008. 디지털 기업을 위한 경영정보시스템 . 서울: 법문사.

55.

홍현미라. 2008. 「사회적기업의 지역사회 접근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전주대학교 사회과학논총≫, 23(2), 1~21쪽.

56.

Alter, Kim. 2007. Social Enterprise Typology. Virtue Ventures LLC.

57.

Ansell, Chris and Alison Gash. 2008.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8(3), pp. 543~571.

58.

Auteri, M. 2003. “The Entrepreneurial Establishment of a Nonprofit Organization.” Public Organization Review, 3(2), pp. 171~189.

59.

Billis, David. 2010. “Towards a Theory of Hybrid Organizations.” in David Billis(ed.). Hybrid Organizations and the Third Sector. New York: Palgrave Macmillan.

60.

Borzaga, Carlo and Alceste Santuari. 2001. “Italy: Form Traditional Co-operatives to Innovative Social Enterprise.” in Carlo Borzaga and Jacques Defourny(eds.).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London: Routledge.

61.

Borzaga, Carlo and Jacques Defourny(eds.). 2001.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New York: Routledge.

62.

Campi, Sara, Jacques Defourny and Oliver Gregoire. 2006.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are they multiple-goal and multi-stakeholder organizations?” in Mathe Nyssens(ed.). 2006. Social Enterprise: At the Crossroads of Market, Public Policies Civil Society. New York: Routledge. pp. 29~49.

63.

Chang, Ha-Joon. 2009. 23 Things They Don’t Tell You About Capitalism. (김희정‧안세민 옮김. 2010.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 더 나은 자본주의를 말하다 . 서울: 부키)

64.

Coleman, James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3), pp. 95~120.

65.

Cornelius et al. 2008.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Social Enterprise.” Journal of Business Ethics, 81(2), pp. 355~370.

66.

Darby, Lauren and Heledd Jenkins. 2006. “Applying substantiality indicators to the social enterprise business model: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dicator set for Newport Wastesavers, W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Economics, 33(5/6), pp. 411~431.

67.

Defourny, Jacques. 2001. “From third sector to social enterprise.” in Carlo Borzaga and Jacques Defourny(eds.).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New York: Routledge.

68.

Defourny, Jacques and Marthe Nyssens(eds.). 2008. “Social Enterprise in Europe: Recent Trends and Developments.” Working Papers Series, no. 08/01, Liège: EMES European Research Network.

69.

Diochon, Monica C. 2010. “Governance, entrepreneurship and effectiveness: exploring the link.” Social Enterprise Journal, 6(2), pp. 93~109.

70.

Doherty, Bob et al. 2009. Management for Social Enterprise. London: Sage Press.

71.

Domenico, MariaLaura Di, Helen Hugh and Paul Tracey. 2010. “Social Bricolage: Theorizing Social Value Creation in Social Enterprise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4(2), pp. 681~703.

72.

DTI(Department for Trade and Industry). 2002. Social Enterprise Strategy for Sucess. DTI:London.

73.

Elkington, J. and P. Hartigan. 2008. The Power of Unreasonable People, Schwab Foundation for Social Entrepreneurship. (강성구 역. 2008. 비이성적인 사람들의 힘 . 서울:에이지21)

74.

Evers, A., J. L. Laville, C. Borzaga, J. Defourny, J. Lewis, M. Nyssens and V. Pestoff. 2004. “Defining the Third Sector in Europe.” in A. Evers and J. L. Lavelle(eds.). The Third Sector In Europe. Edward Elgar: London.

75.

European Council. 2005. Presidency Conclusions, European Council Brussels. Concl 1. 7619/1/05.

76.

Giddens, Anthony. 1998. The Third Way: The Renewal of Social Democracy. (한상진‧박찬욱 옮김. 2008. 제3의 길 . 서울: 생각의 나무)

77.

Hyden, Goran. 1999. “Governance and the Reconstitution of Political Order.” in Richard Joseph(ed.). State, Conflict, and Democracy in Africa. Boulder, CO: Lynne Rienner.

78.

Huybcths, Benjamin and Jacques Deforuny. 2010. Exploring The Diversity of Fair Trade Social Enterprises, pp. 1~21.

79.

Johnson, Toby and Roger Spear. 2006. Social Enterprise International Literature Review. UK DTI Press. (조영복 외 옮김. 2009. 사회적기업의 국가별 정책과 전략 . 부산:사회적기업연구원)

80.

Kaletsky, Anatole. 2010. Capitalism 4.0: The Birth of a New Economy. Bloombury Publishing. (위선주 옮김. 2011. 자본주의 4.0 . 서울: 컬쳐앤스토리)

81.

Kerlin, J. 2010.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lobal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Voluntas, 21(2), pp. 162~179.

82.

Kjaer, Anne Mette. 2004. Governance. Cambridge: Polity Press. (이유진 옮김. 2007. 거버넌스 . 서울: 도서출판 오름)

83.

Kooiman, Jan. 2003. “Models of Governance.” in J. Kooiman(ed.). Governing as Governance. London: Sage Press.

84.

London, Manuel and Richard G. Morfopoulos. 2010. Social Entrepreneurship: How to Start Successfu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mmunity-Based Initiatives for Advocacy and Change. New York: Routledge.

85.

Markellous et al. 2007. “Semantic Web Mining for Personalized Public E-Services.” in Latif Al-Hakim(ed.). Global E-Government: Theory, Applications and Benchmarking. Hershey:Idea Group Publishing.

86.

Martin, Frank and Marcus Thompson. 2010. Social Enterprise: Developing Sustainable Business. London: Palgrave Macmillan.

87.

McCray, Janet. 2009. “Social enterprise: A new challenge for nursing practice and collaborative partnership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2), pp. 151~153.

88.

Nakagawa, Sachiko and Rosario Laratta. 2010. “How can co-operative banks spread the spirit of co-operation in deprived communities?” Social Enterprise Journal, 6(2), pp. 162~180.

89.

Nelmes, A. 2004. Community groups target social agenda, Resource (March-April).

90.

Nicholls, A. and C. Opal. 2004. Fair Trade: Market-driven ethical consumption. London and Thousand Oaks: Sage Press.

91.

Nishiyama Yasuo and Nishiyama Yaeko. 2008. 김영훈 외 옮김. 2009. 영국의 거버넌스형 마을 만들기: 사회적기업에 의한 도시 재생 . 서울: 기문당.

92.

OECD. 1999. Social Enterprise. Paris: OECD.

93.

OECD. 2009. The Changing Boundaries of Social Enterprise. Paris: OECD.

94.

OTS. 2006. Social Enterprise Action Plan: Scaling New Heights. London: Office of the Third Sector.

95.

Paxton, P. 1999. “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nites State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5(1), pp. 88~127.

96.

Peattil, Ken and Adrian Morley. 2008. Social Enterprises: Diversity and Dynamics, Contexts and Contributions. Swindon: Cardiff University Press. (조영복 외 옮김. 2009. 사회적기업: 다양성과 역동성, 배경과 공헌 . 부산: 사회적기업연구원)

97.

Peters, G. and J. Pierre. 2005. “Toward a Theory of Governance.” in G. Peters and J. Pierre(eds.). Governing Complex Societies Governance: New Government-Society Interaction. New York: Palgrave Macmillan.

98.

Pierre, Jon and B. Guy Peters. 2000. Governance, Politics and the State. New York: St. Martin’s Press. (정용덕 외 옮김. 2003. 거버넌스, 정치 그리고 국가 . 서울:법문사)

99.

Polanyi, Karl. 1944. The Great Transformation. (홍기빈 옮김. 2009. 거대한 전환: 우리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 서울: 도서출판 길)

100.

Poter, Michael E. and Mark R. Kramer. 2011. The Big Idea: Creating Shared Value. (http://hbr.org/2011/01/the-big-idea-creating-shared-value/ar/1, 검색일: 2011년 7월 19일)

101.

Quan-Haase, A. and B. Wellman. 2004. “How Does the Internet Affect Social Capital?” in M. Huysman and V. Wulf(eds.). 2004. Social Capit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Massachusetts: The MIT Press.

102.

Reich, Robert B. 2007. Supercapitalism. (형선호 옮김. 2008. 슈퍼자본주의 . 파주: 김영사)

103.

Ridley-Duff, Rory. 2010. “Communitarian Governance in Social enterprise: Case evidence from the Mondragon Cooperative Corporation and School Trends Ltd.” Social Enterprise Journal, 6(2), pp. 125~145.

104.

Schmitter, P. 2002. “Participation in Governance Arrangements: Is there any reason to expect it will achieve sustainable and innovative policies in a multi-level context?” in Jürgen Grote and Bernard Gbikpi(eds.). Participatory Governance: political and societal implications, pp. 51~70.

105.

Scholl, Hans J. 2007. “E-Government-Induced Business Process Change (BPC): An Empirical Study of Current Practices.” in Donald F. Norris(ed.). 2007. Current Issues and Trends in E-Government Research. Hershey: Cyber Tech Publishing.

106.

Social Enterprise Coalition. 2003. There’s More to Business Than You Think: A Guide to Social Enterprise. London: Social Enterprise Coalition.

107.

Tani, Mario. 2009. “Social Enterprise’ social capital as a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EME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Enterprise, pp. 1~28.

108.

Tapscott, Don. 2009. Grown Up Digital: How the Net Generation Is Changing Your World. (이진원 옮김. 2009. 디지털 네이티브 . 서울: 비즈니스북스)

109.

UNDP. 2005. E-Governance: Practice Note.

110.

Visser et al. 2007. The A to Z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Complete Guide to Concepts, Codes and Organizations. West Susses: John Wiley & Sons Inc Press. (임정재 옮김. 2009.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A부터 Z까지 . 서울:재승출판)

111.

Vogel, David. 2005. The Market for Virtue. (김민주‧김선희 옮김. 2008. 기업은 왜 사회적 책임에 주목하는가 . 서울: 기획출판 거름)

112.

Walsh, Luca. 2007. “Extending E-government and Citizen Participation in Australia through the Internet.” in Encyclopedia of Digital Government, Ⅱ, pp. 812~818.

113.

World Bank. 2003. Sustainable Development in an Dynamic World. World Development Report. Washington DC.

114.

기획재정부 협동조합 홈페이지(www.cooperatives.go.kr).

115.

한국 사회적기업진흥원 홈페이지(www.soocialenterprise.or.kr).

116.

대한민국 「사회적기업육성법」(2012.2.1 개정).

117.

대한민국 「협동조합기본법」(2014.1.21 개정).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