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본 연구는 2008년 수도권 규제완화의 효과를 이중격차분석틀을 이용해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를 이용한 신생기업 입지에 대한 분석과 한국산업단지공단의 「FEMIS」를 이용한 산업단지 입주업체 입지에 대한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2000년대 들어 지역 간 격차가 축소되는 추세를보이고 있었으나 중앙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로 인해 이러한 추세가 약화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규제완화 이후 비수도권에 비해 수도권에서 신생 제조업체의 입지가 개별 읍면동에서 평균적으로 1.5개만큼 많아진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산업단지 내 기업입주에 대한 분석에서는 비수도권에서만 중소기업 대비대기업 입주업체가 규제완화 이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별 산업단지에서 평균적으로 4.1개만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비수도권을 강원/충청과 호남/영남/제주로 구분하는 경우 수도권에서 보다 먼 호남/영남/제주에서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 대비 대기업 입주업체 수 감소폭이 좀 더 커 비수도권 내에서도 규제 완화의 영향이 지역 간 상이하게 나타난다.
김은경·이선화. 2009. 「수도권 규제개혁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경제연구≫, 제24권, 235~266쪽.
김의준. 1992. 지역투자의 변화가 국가경제의 효율성과 지역 간 경제적 격차에 미치는 영향 . 국토연구원.
박양호 외. 2003. 통합국토를 향한 지역 간 공동발전방안연구(I) . 국토연구원.
박용규. 2004. 입지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 . 삼성경제연구소.
변용환·류종현·전태영. 2011. 「수도권 규제완화에 대한 관찰과 함의」. ≪지역사회학≫, 제13권 제1호, 149~184쪽.
변창흠 외. 2014. 「수도권 규제완화 대응 및 지역균형발전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서승환. 2001. 「수도권의 총요소생산성 및 그 결정요인」. ≪응용경제≫, 제3권 제1호, 133~160쪽.
서승환. 2008. 「수도권 정책의 경제적 효과분석」. ≪응용경제≫, 제10권 제2호, 5~33쪽.
양금승. 2008. 「수도권 규제완화를 둘러싼 쟁점과 대안」. ≪전경련≫, 통권 제528호, 32~33쪽.
이관률·송두범. 2011. 「수도권 집중과 지역격차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5권 제1호, 373~390쪽.
이번송·김석영. 2005. 「지역적 특성이 신생 제조업체의 입지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제40권 제6호, 209~227쪽.
이번송·홍성효. 2001. 「시·군·구별 제조업 생산성 성장요인과 수도권집중억제정책의효과」. ≪국제경제연구≫, 제7권 제1호, 125~146쪽.
홍성효·임준홍. 2014. 「신생기업 입지결정과 집적의 경제-충남과 접경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6권 제1호, 81~100쪽.
Lefebvre, P., Merrigan, P. and Verstraete, M. 2009. “Dynamic Labour Supply Effects of Childcare Subsidies: Evidence from a Canadian Natural Experiment on Low-Fee Universal Child Care.” Labour Economics 16(5), pp. 490~502.
Rosenthal, S. and Strange, W. 2003. “Geography, Industrial Organization, and Agglomeration.”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85(2), pp. 377~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