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19세기 말 개화 지식인의 도시 인식과 실천론: ‘치도론’(治道論)의 통치 합리성과 근대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modern urban by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of Joseon in the late 19th century: governmental rationalities of the Chidoron(治道論)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5, v.25 no.2, pp.192-229
https://doi.org/10.19097/kaser.2015.25.2.192
김동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초록

이 글은 개화파 김옥균과 박영효의 치도론(治道論)에 대한 번역 작업이다. 한문을 국문으로 바꾸는 번역이 아니라 그들의 주장을 현대의 도시이론과 통치연구틀에서 재해석하는 일이다. 한 세기도 더 전의 담론을 번역하는 일인 만큼 어휘와 언어구조를 세심히 살피고 있다. 분석의 대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화기 지식인의 세계 인식을 그들의 입장에서 해석한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북학파 도로관과 개화기 치도론의 담론적 친화(親和)와 인적 관계를 다룬다. 둘째,서구의 도시(the urban) 통치술이 도입되는 배경을 살피는 한편, 개화기 조선에서일어난 담론의 변이(mutation)를 분석한다. 셋째, 치도론이 하나의 담론에서 대한제국의 중요한 정치적 실천이 될 수 있었던 시대적 정당성을 도출한다. 이 글에서 밝히는 치도의 합리성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한편으로는 팽창하는 서구의 시공간으로서 국제질서에 편입하기 위한 조선의 생존 논리와, 다른 한편으로는 19세기 내내 조선사회를 공포에 몰아넣었던 콜레라로부터 해방이라는 위생논리가 치도론의 시대적 합리를 설명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김옥균과 박영효의 치도론이도시계획, 위생, 건축, 국제정치 등 현대 분과학문의 경계를 넘나드는 통합적인통치담론이라 주장한다.

keywords
통치성, 치도, 김옥균, 박영효, 근대 도시계획1. 문제의, governmentality, Ok-Gyoon Kim, modern urban planning, modernity, Korea

Abstract

This study is an interpretation on the ‘Chido’(治道; which means governingstreets) theory of Okgyun Kim and Younghyo Park, who is well known as leadersof Gahwa faction(開化派), in the late 19th century. In correspondence with thecontemporary theoretical viewpoints of both urban governmentality and multiscalarpolitics, the author elucidates three features of the ’Chido’ theory as follows: 1)obvious influences of the Bukhak(北學) school to the Kim and Park’s theory, 2)proper backgrounds for importing the urban governmental technologies fromWestern countries and the mutation of the technologies in Joseon, 3) two historicalconditions as justification logics of the ‘Chido’ theory. In conclusion, this researchargues that Kim and Park’s theory was an interdisciplanary and integrated theorywhich had three simultaneous goals: 1) a strategy to prove that Joseon held qualificationfor membership of the international order driven by spatio-temporal expansionof Western Powers, 2) a plan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defence by accelerating commodity circulation, 3) a way of policing and discipliningJoseon people and making them governable.

keywords
통치성, 치도, 김옥균, 박영효, 근대 도시계획1. 문제의, governmentality, Ok-Gyoon Kim, modern urban planning, modernity, Korea

참고문헌

1.

강준만. 2007. 한국 근대사 산책 1 . 인물과사상사.

2.

고동환. 1998. 「조선후기 서울의 인구추세와 도시문제 발생」. ≪역사와 현실≫ 28호, 175~211쪽.

3.

기로워드, 마크(Girouard, Mark). 2009. 민유기 옮김. 도시와 인간 . 서울: 책과함께.

4.

김광우. 1991. 「대한제국 시대의 도시계획: 한성부 도시개조사업」. ≪향토 서울≫ 50호, 94~122쪽.

5.

김동완. 2013. 「통치성의 공간들: 한국의 정치지리를 고려한 시론적 검토」. ≪공간과사회≫ 44호, 129~162쪽.

6.

김수자. 2009. 「개항 후(1876~1894) 서울의 자본주의 도시화와 공간재편」. ≪향토서울≫ 74호, 83~126쪽.

7.

김수자. 2011. 「1890년대 개화지식인의 문명담론과 한성부의 ‘위생도시’ 기획: 독립신문 기사내용을 중심으로」. ≪향토 서울≫ 79호, 125~156쪽.

8.

김신회. 2014. 「1821년 콜레라 창궐과 조선 정부 및 민간의 대응 양상」. ≪韓國史論≫60호, 419~491쪽.

9.

김옥균. 1990. 치도규칙 . 이민수·윤남한·이원섭 편. 서울: 삼성출판사, 88~97쪽.

10.

김용구. 2008. 만국공법 . 소화.

11.

김재성. 2015. 문명과 지하공간: 인간은 어떻게 공간과 어둠을 확장해왔는가 . 글항아리.

12.

김정순. 1991. 「歷史的 考察을 通해서 본 우리나라 콜레라流行의 特性」. ≪Epidemiology and Health≫ 13(2), 105~111쪽.

13.

김현숙. 2013. 「대한제국기 정동의 경관 변화와 영역 간의 경쟁」. ≪향토 서울≫ 84호, 114~157쪽.

14.

르페브르, 앙리(Lefebvre, Henri). 2011. 공간의 생산 . 에코리브르.

15.

맥닐, 윌리엄(McNeill, William). 2005. 김우영 옮김. 전염병의 세계사 . 서울: 이산.

16.

박배균·김동완. 2013. 국가와 지역: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한국의 지역 . 서울:알트.

17.

박상섭. 2008. 국가·주권 . 서울: 소화.

18.

박영효. 1990. 「박영효의 건백서」. 김갑천 옮김. ≪韓國 政治 硏究≫ 2(1), 245~295쪽.

19.

박영효. 1965. 「박영효 상소문(자료)」. 정중환 옮김. ≪아세아학보≫ 1호, 709~740쪽.

20.

박제가. 2005. 북학의 . 이익성 옮김. 서울: 을유문화사.(전자책 http://www.dbpia.co.kr/Article/2755946, 최종접속일: 2015년 6월 2일)

21.

스콧, 제임스 C.(Scott, James C.). 2010. 전상인 옮김. 국가처럼 보기 . 서울: 에코리브르.

22.

서정현. 2013. 「근대 정동의 공간 변화와 고종」. ≪향토 서울≫ 84호, 80~113쪽.

23.

신동원. 1989. 「조선말의 콜레라 유행, 1821~1910」. ≪한국과학사학회지≫ 11(1), 53~86쪽.

24.

신동원. 1990. 「金玉均의 治道思想에 關한 考察」. ≪韓國保健史學會誌≫ 1호, 53~59쪽.

25.

신동원. 2009. 「청계천, 위생학, 한국 근대 보건의료 100년」. ≪물리학과 첨단기술≫18(11), 26~27쪽.

26.

우동선. 2001. 「도시와 건축에 대한 박영효의 생각」.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7(7), 135~142쪽.

27.

유수원. 2006. 우서 1. 한영국 편. 파주: 한국학술정보.

28.

유길준. 2000. 西遊見聞: 全文 이한섭 편. 서울: 박이정.

29.

에비슨, 올리버(Avison, O. R.). 1984. 舊韓末秘錄 . 에비슨기념사업회 옮김. 대구: 대구대학교출판부.

30.

이민수·윤남한·이원섭 편역. 1990. 한국의 근대사상 . 서울: 삼성출판사.

31.

이은숙. 1990. 「실학사상에 나타난 교통에 대한 인식」. ≪문화 역사 지리≫ 2, 39~56쪽.

32.

이정옥. 2011. 「갑오개혁 이후 한성 도로정비사업과 부민의 반응」. ≪향토 서울≫78호, 121~174쪽.

33.

이종찬. 2003. 「메이지 일본에서 근대적 위생의 형성 과정 1868~1905」. ≪醫史學≫12(1), 34~53쪽.

34.

이태진. 1997. 「1896~1904년 서울 도시개조사업의 주체와 지향성」. ≪韓國史論≫37(-), 181~206쪽.

35.

이태진. 2000. 고종시대의 재조명 . 서울: 태학사.

36.

임동근. 2008. 「국가와 통치성」. ≪문화과학≫ 54, 13~27쪽.

37.

임준태. 2010. 「한국 근대경찰사 小考」. ≪韓國公安行政學會報≫ 41, 373~414쪽.

38.

정약용. 1971. 국역 목민심서 I, 민족문화추진회.

39.

정연식. 1999. 「조선시대의 도로에 관하여」. ≪한국사론≫ 41, 42(0), 541~583쪽.

40.

존슨, 스티븐.(Johnson, Steven). 2008. 김명남 옮김. 감염지도 . 김영사.

41.

푸코, 미셸(Foucault, Michel). 2011. 오트르망 옮김. 안전, 영토, 인구 . 서울: 난장.

42.

푸코, 미셸(Foucault, Michel). 2012. 오트르망 옮김.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 서울: 난장.

43.

피렌느, 앙리(Pirenne, Henri). 1997. (중세 유럽의) 도시 . 강일휴 옮김. 서울: 신서원.

44.

하비, 데이비드(Harvey, David). 2005. 김병화 옮김.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 . 서울:생각의나무.

45.

한국도로공사. 1981. 韓國道路史 . 韓國道路公社.

46.

한철호. 1999. 「대한제국 초기 한성부 도시개조사업과 그 의의; ‘친미’ 개화파의 치도사업을 중심으로」. ≪향토 서울≫ 59호, 107~154쪽.

47.

石田頼房. 2004. 日本近現代都市計画の展開: 1868~2003 . 自治体研究社.

48.

Agnew, J. 1994. “The territorial trap: the geographical assumption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1(1), pp. 53~80.

49.

Ashcroft, B. 2009. “Alternative modernities: globalization and the post-colonial.” ARIEL:a review of international English literature, 40(1).

50.

Berman, M. 1983. All that is solid melts into air: The experience of modernity. London, New York: Verso.

51.

Brenner, N. 2013. “Theses on urbanization.” Public Culture, 25(1), pp. 85~114.

52.

Brenner, N., Peck, J., & Theodore, N. I. K. 2010. “Variegated neoliberalization: geographies, modalities, pathways.” Global Networks, 10(2), pp. 182~222.

53.

Fraser, B. 2008. “Toward a philosophy of the urban: Henri Lefebvre’s uncomfortable application of Bergsonism.”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26(2), p. 338.

54.

Gandy, M. 2004. “Rethinking urban metabolism: water, space and the modern city.” City, 8(3), pp. 363~379.

55.

Gimm, D-W. 2013. “Fracturing Hegemony: Regionalism and State Rescaling in South Korea, 1961~71.”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7(4), pp. 1147~1167.

56.

Harvey, D. 1978. “The urban process under capitalism: a framework for analysis.”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1-4), pp. 101~131.

57.

Lefebvre, H. 2009. State, space, world: selected essays. and Brenner, Neil and Stuart Elden (eds.). Minneapolis, Lond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58.

McCann, E. and Ward, K. 2011. Mobile urbanism: cities and policymaking in the global age, Vol. 17, U of Minnesota Press.

59.

McCann, E. and Ward, K. 2012. “Policy Assemblages, Mobilities and Mutations: Toward a Multidisciplinary Conversation.” Political Studies Review, 10(3), pp. 325~332.

60.

Peck, J. and Theodore, N. 2007. “Variegated capitalism.”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1(6), pp. 731~772.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