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한국의 제 1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수립을 통해서 본 발전국가론 '계획 합리성' 비판

Making of the Developmental State’s ‘Plan Rational’: The Case of South Korea’s First Comprehensive National Physical Development Plan, 1963~1971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5, v.25 no.3, pp.11-54
https://doi.org/10.19097/kaser.2015.25.3.11
이주영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초록

‘계획 합리성(plan rational)’에 대한 여러 비판적 연구가 있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발전국가론 논의에서는 계획 합리성을 성공적인 국가 발전의 요소로꼽는다. 이 논문은 1963~1971년에 걸쳐 수립된 한국의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사례를 통해 발전국가의 국가 계획 수립 과정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본다. 이를 통해 관료들이 가지고 있는 전문성과 합리성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는 기존 논의와 달리 계획에 합리적 정당화를 시도하는 과정이 그 자체로 가변적이며 각종사회정치적 맥락과 상호작용하는 분석이 대상으로 될 수 있음을 보인다. 제1차국토종합개발계획의 사례는 이 시기 국가 계획이 내재적으로 일관성 있는 합리성에 기반을 둔 것이 아니라 사실은 계획 이론과 사회정치적 맥락이 뒤섞여 짜깁기된 패치워크 형태의 ‘합리성’임을 보였다.

keywords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 발전국가론, 계획 합리성, 지역 과학 이론, 건설부, comprehensive national physical development plan, developmental state, plan rational, regional science theory, Ministry of Construction

Abstract

There have been many criticisms leveled against the rational planning model forvarious reasons. Developmental state theory, however, maintains to the concept of‘plan rational’ referring that coherent, internally consistent plans designed by elitebureaucrats were the key to developmental states’ success. This paper seeks to question existing accounts by tracing the planning of SouthKorea’s first comprehensive national physical development plan. It will focus onthe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planning theories and sociopolitical realities withinthe Ministry of Construction(MOC), which was responsible for the plan’sdevelopment. MOC officials who were ignorant of planning theory had to learnmethods of planning to set up the large scale national plan and due to the lackof civilian experts, they became self-taught experts. While applying the theory intoan executable plan, however, they encountered various technical constraints and politicaldemands, which forced them to veer away from the original theoreticalframework. By examining the tinkering processes during the formation of national plan, thispaper reveals the plan’s rationality was a patchwork quilted with planning theoriesand sociopolitical contexts.

keywords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 발전국가론, 계획 합리성, 지역 과학 이론, 건설부, comprehensive national physical development plan, developmental state, plan rational, regional science theory, Ministry of Construction

참고문헌

1.

건설부. 1963~1968. 국토계획논총집 , 제1~22집.

2.

건설부. 1963. 국토건설종합계획대강 , 제1~5부.

3.

건설부. 1968a. 지역연관분석 .

4.

건설부. 1968b. 건국방략/공영대계: 중국의 국토계획 .

5.

건설부. 1968c. GNP에 점하는 건설산업비중 .

6.

건설부. 1968d. 지역과학 .

7.

건설부. 1968e. 지역산업연관분석법도입과 지역개발계획 .

8.

건설부. 1968f. 경제공간: 지역개발계획의 이론과 실제 .

9.

건설부. 1968g. 이스라엘국토기본계획 .

10.

건설부. 1968h. 국토계획기본구상 .

11.

건설부. 1969. 일본국신전국개발계획 .

12.

건설부. 1970a. 국토종합개발계획 <제1차 시안요약> .

13.

건설부. 1970b. 국토건설종합계획심의회 소위원회 회의록 및 속기록(No. 5~No. 6) .

14.

경제기획원. 1962. 경제개발을 위한 계획기술과 공업개발계획의 방법 .

15.

경제기획원. 1963. 국토개발의 기본구상: 장기 경제개발 계획수립을 위한 주요산업의 위치와 국토개발의 기본방향 .

16.

구현우. 2009. 「발전국가, 배태된 자율성, 그리고 제도론적 함의: 이승만 정부, 박정희정부, 전두환 정부의 산업화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와 행정연구≫ 제20권 1호, 145~178쪽.

17.

김동완. 2009. 「계획 합리성 측면에서 본 지방정부 간 갈등 연구: 지방자치제로 인한국가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62권, 65~83쪽.

18.

김의원. 1983. 한국국토개발사연구 . 대학도서.

19.

김의원. 2005. (국토연구원 소장)희귀자료 및 진서 해설 . 국토연구원.

20.

김재호. 2007. 「행정계획론 소고」. ≪법학연구≫ 제18권 1호, 49~79쪽.

21.

노경수. 2014. 「국토계획 관계법규」. 국가기록원 편. 중요 공개기록물 해설집 VI:국토개발 편(1960〜1990년대) . 국가기록원

22.

노융희·박종희. 1984.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사업의 사회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이리공단 건설사업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19권 1호, 36~56쪽.

23.

대통령 비서실. 1971. 박정희 대통령 결재문서, 581 .

24.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편. 1997. 도시와 함께 국토와 함께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5.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편. 2009. 국토‧지역계획론 . 보성각.

26.

대한민국 정부. 1971a.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1972~76 .

27.

대한민국 정부. 1971b. 국토종합개발계획(1972~1981) .

28.

류해웅. 1998. 「토지이용계획제도의 개편방향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제27권, 85~107쪽.

29.

박배균‧김동완 편. 2013. 국가와 지역 . 알트.

30.

박상영. 2012. 「한국 ‘포스트발전국가론’의 발전과 전개: 90년대 이후 한국 발전국가연구 경향과 향후 연구 과제」. ≪현대정치연구≫ 제5권 1호, 63~90쪽.

31.

백종국. 2011. 「「한국발전모델」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치학계에서 나타난연구들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45권 1호, 211~233쪽.

32.

신용옥. 2013. 「박정희정권기 국토계획의 전개 과정과 동해안지역의 위상」. ≪도서문화≫ 제41권, 69~105쪽.

33.

임형백. 2013. 「한국의 지역균형발전정책, 1972~2012」. ≪도시행정학보≫ 제26권 3호, 315~339쪽.

34.

장 욱. 1992. 「계획이론에의 접근(I): 합리적 계획모형의 해체」. ≪환경논총≫ 제30권, 70~86쪽.

35.

전상인. 2007. 「계획이론의 탈근대적 전환에 대한 비판적 성찰」. ≪국토계획≫ 제42권 6호, 7~24쪽.

36.

정도현. 1971. 「국토종합개발계획의 문제점」. 대한민국 국회. ≪국회보≫, 60~63쪽.

37.

조재성. 1993. 「Regional Disparity and Uneven Spatial Development in Korea: The Period of the Comprehensive National Physical Development Plan」, ≪국토계획≫ 제28권 1호, 107~138쪽.

38.

조철주. 2013. 「루만의 체계이론적 관점에서 본 계획의 한계와 대안적 사고」.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5권 5호, 1~24쪽.

39.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1969. 1969년도 지역산업연관분석 . 건설부.

40.

총무처. 1963. 각의상정안건철(제79~86회) .

41.

최상철. 1976. 「Methodological Evolution and Issues of Regional Development Planning in Korea」. ≪환경논총≫ 제3권 1호, 43~83쪽.

42.

한국경제개발협회. 1967. 지역산업연관 모델에 의한 지역경제계획에 관한 연구 보고서 .

43.

한상진. 1988. 한국 사회와 관료적 권위주의 . 문학과 지성사.

44.

현재환. 2015. 「‘지방차(地方差)’와 ‘고립(孤立)한 멘델 집단(Mendel集團)’: 두 ‘중심부’ 과학과 나세진의 혼종적 체질 인류학, 1932~1964」.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7권 1호, 345~382쪽.

45.

홍성주. 2010. 「해방 초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형성과 전개」. ≪한국과학사학회지≫제32권 1호, 1~42쪽.

46.

Norton, R. D. and M. K. Wood. 1968. 한국의 경제권역 . 건설부.

47.

Amsden, Alice H. 1992. Asia’s Next Giant: South Korea and Late Industria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8.

Boudeville, Jacques-Raoul. 1961. Les Espaces Economique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49.

Chibber, Vivek. 2002. “Bureaucratic Rationality and the Developmental Stat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7: 4, pp. 951~989.

50.

Collins, H. M. 1974. “The TEA Set: Tacit Knowledge and Scientific Networks.” Science Studies, 4: 2, pp. 165~185.

51.

Davidoff, Paul and Thomas A. Reiner. 1962. “A Choice Theory of Planning.”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28: 2, pp. 103~115

52.

Dawkins, Casey J. 2003. “Regional Development Theory: Conceptual Foundations, Classic Works, and Recent Developments.”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18: 2, pp. 131~172.

53.

Etzioni, Amitai. 1967. “Mixed-Scanning: A ‘Third’ Approach to Decision-Making.”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27: 5, pp. 385~392

54.

Evans, Peter. 1995. Embedded Autonomy: States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55.

Faludi, Andreas. 1973. Planning Theory. Pergamon Press.

56.

Friedmann, John. 1973. Retracking America: a theory of transactive planning. Anchor Press.

57.

Hudson, Barclay M. 1979. “Comparison of Current Planning Theories: Counterparts and Contradic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25: 4, pp. 387~398.

58.

Isard, Walter. 1960. Methods of Regional Analysis: An Introduction to Regional Science. Technology Press of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nd Wiley.

59.

Johnson, Chalmers. 1982. MITI and the Japanese Miracle: The Growth of Industrial Policy, 1925~1975. Stanford University Press.

60.

Kaiser, David, Kenji Ito, and Karl Hall. 2004. “Spreading the Tools of Theory: Feynman Diagrams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Soviet Union.” Social Studies of Science, 34: 6, pp. 879~922.

61.

Kim, Hyung-A, and Clark W Sorensen. (eds.). 2011. Reassessing the Park Chung Hee Era, 1961~1979: Development, Political Thought, Democracy, and Cultural Influenc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62.

Light, Jennifer S. 2003. From Warfare to Welfare: Defense Intellectuals and Urban Problems in Cold War America.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3.

Lindblom, Charles E. 1959. “The science of ‘muddling through’.”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19: 2, pp. 79~88.

64.

Medina, Eden. 2011. Cybernetic Revolutionaries: Technology and Politics in Allende’s Chile. MIT Press.

65.

Ministry of Construction. 1969. Indicators for Formation of Sectoral Plans.

66.

Ministry of Construction. 1970. Comprehensive national development plan(draft).

67.

OTAM Metra International. 1972. Regional Physical Planning Final Report, volume 1~7.

68.

Scott, James C. 1999. Seeing Like a State: How Certain Schemes to Improve the Human Condition Have Failed. Yale University Press.

69.

Weber, Max. 1978. Economy and Society: An Outline of Interpretive Soci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0.

Woo, Jung-en. 1991. Race to the Swift: State and Finance in Korean Industrializ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71.

笹田友三郞, 1964. 地域の科學 . 紀伊国屋書店.

72.

経済企画庁. 1962. 全国総合開発計画 .

73.

経済企画庁. 1969. 新全国総合開発計画 .

74.

≪동아일보≫.

75.

강용배. “국가기록원 국토정책 주제설명 배경”, http://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1320&pageFlag=A 국가기록원(2015.6.30 접속, 2006.12.1 수정).

76.

김의원 인터뷰. 2015년 3월 5일.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