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노점상 연구에서 도시 비공식성 개념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

The implications of discussion of urban informality for street vendor research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5, v.25 no.3, pp.55-86
https://doi.org/10.19097/kaser.2015.25.3.55
황진태 (Rheinischen Friedrich - Wilhelms - University Bonn)
권규상 (한국과학기술원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
조영지 (서울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노점상을 바라보는 지배적 시각인 공식부문으로부터 단절된비공식부문의 일부로서 노점상을 인식하는 것을 비판하면서, 노점상을 공식부문과 비공식부문 간의 역동적인 상호관계 속에 위치시켜 바라볼 것을 제안하고자한다. 좀 더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노점상 연구에서 도시비공식성(urban informality) 개념의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공식/비공식 부문의 이분법을 교란시키고, 비공식성이 공식경제를 비롯한 다양한 경제형태와 공간들 간의 상호관계 속에 위치했음을 강조하는 도시 비공식성 개념은 정체된 노점상 연구에 있어서 의미 있는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둘째, 노점상과연결된 행위자들과 제도 그리고 이들이 위치한 구체적인 공간에 주목할 것을 제언한다. 그동안 정책가의 시선에서 노점상은 공공 공간에서 사라져야할 정책의대상이었고, 공간연구자들의 시각에서는 거시경제구조의 변화에 따른 공식부문으로부터 배제의 결과로서 노점상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면서 노점상의 도시지리에서 이들을 수동적인 객체로만 인식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노점상이 구체적인 장소 속에서 다양한 행위자, 제도들과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신들의 경관을 생산한다는 점에 주목함으로써 기존의 노점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수정하고자 한다.

keywords
도시 비공식성, 비공식부문, 비공식경제, 발전주의적 도시화, 노점상, urban informality, informal sector, informal economy, developmental urbanization, street vendor

Abstract

This paper criticizes the formal-informal dichotomy in previous studies on streetvending in South Korea, and proposes the concept of urban informality which emphasizes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sectors. First, we arguethat street vending research in Korea needs to take into account that informalityis the result of dynamic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economies and spaces. Second,street vending should be understood in a concrete actor and space-oriented context. For policy makers, street vending is something to be ousted from the public space,whereas for researchers it is the necessary result of changes in the macroeconomicstructures which have excluded vendors from the formal sector. We focus on theproactive role of street vendors in creating a landscape through the dynamic interactionbetween various actors and institutions in a place. This perspective can leadto a change in the way urban planners and city government officials regard streetvendors as passive and marginal actors.

keywords
도시 비공식성, 비공식부문, 비공식경제, 발전주의적 도시화, 노점상, urban informality, informal sector, informal economy, developmental urbanization, street vendor

참고문헌

1.

강정원, 1989, 「노점상의 특성과 사회관계에 관한 일연구: 대구시 서문시장 노점상의사례」,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현수, 1995, 「도시 비공식 부문 이론의 새로운 전개와 우리나라 대도시 연구에 대한 함의」, ≪국토계획≫ 제31권 제2호, 51~69쪽,

3.

강현수, 2010, 도시에 대한 권리: 도시의 주인은 누구인가 , 책세상,

4.

길태근, 1992, 「도시빈민의 형성과 성격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건식, 2000, 「노점상 정책의 비판적 검토」, ≪도시와빈곤≫ 제47권, 5~18쪽,

6.

김수현, 2000, 「노점상 문제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도시와빈곤≫ 제47권, 28~40쪽,

7.

김용창, 2009, 「물리적 도시재개발에서 도시권으로」, ≪창작과 비평≫ 제37권 2호, 339~353쪽,

8.

김용창, 2015, 「신자유주의 도시화와 도시 인클로저(I): 이론적 검토」, ≪대한지리학회지≫ 제50권 4호, 431~449쪽,

9.

김준연, 2000, 「도시 노점상의 실태와 효율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도 안산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준희, 2011, 「도시공간과 노점상의 권리에 관한 연구: 1980년대 노점상운동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공간과사회≫ 제36권, 66~102쪽,

11.

김차두, 1988, 「도시비공식부문 연구의 과제와 전망」, ≪상경연구≫ 제3권, 79~93쪽,

12.

민주노점상전국연합, 2014, 「내부자료」,

13.

박수영, 1982, 「도시가로경제부문의 사회·경제적 기능」, ≪도시문제≫ 제17권 제7호, 31~45쪽,

14.

박효진, 2012, 「경계물로서의 쓰레기: 고물상들의 경험과 해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서울시정개발연구원·한국도시연구소, 2001, 노점상 관리방안 중·장기 대책 모색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6.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3, 노점상의 실태와 대응방안, 서울시를 중심으로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7.

서울특별시, 1984, 서울시 가로경제부문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18.

엄정윤 · 김승현, 2010, 「‘노점상’ 관련 보도에서 나타난 언론이 공간인식 분석」, ≪한국언론학보≫ 54권 제3호, 255~275쪽,

19.

윤진호, 1985, 「도시비공식부문」, 이대근·정운영 공편, 한국자본주의론 , 까치,

20.

윤찬영, 1988, 「한국도시빈민의 성격에 관한 연구: 사회정책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고찰」, ≪사회보장연구≫ 제4권, 61~83쪽,

21.

이명박, 2005, 청계천은 미래로 흐른다 , 랜덤하우스중앙,

22.

장재준, 1989, 「도시노점상의 계급성에 관한 일 연구」, ≪역사와사회≫ 제29권, 133~188쪽,

23.

정건화, 1987, 「한국의 도시빈민의 형성 및 존재형태에 관한 일연구: 도시비공식부문론 비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정원오, 1990, 「노점상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조희연, 1985, 「종속적 산업화와 비공식부문」, 박현채 외, 한국 자본주의와 노동문제 , 돌베개,

26.

주간경향, 2014, 「노점과의 공존, 안 되는 걸까」, 1104호,

27.

최인기, 2008, 「동대문 운동장 공원화 사업과 사회적 합의」, ≪진보평론≫ 제35권, 158~168쪽,

28.

최인기, 2012, 가난의 시대 , 동녘,

29.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86, 도시비공식부문에 관한연구: 부산시 노점상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0.

홍인옥, 1999, 「노점상문제 현황 및 갈등구조 분석」, ≪도시연구≫ 제5권, 37~59쪽,

31.

황진태, 2008, 「거버넌스와 직접민주정치의 이중전략 모색」, ≪진보평론≫ 제35권, 218~237쪽,

32.

황진태, 2010, 「지역성장연합과 스케일의 정치가 세계도시 서울의 형성과정에 미친영향: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파크 프로젝트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황진태·박배균, 2012, 「세계도시 형성에 있어서 국가의 역할에 대한 연구: 싱가포르의 세계도시 전략을 사례로」, ≪서울도시연구≫ 제13권 제4호, 73~59쪽,

34.

AlSayyad, N. 2004. “Urban Informality as a ‘New’ Way of Life.” In A. Roy & N. AlSayyad (Eds.), Urban informality: Transnational perspectives from the Middle East, Latin America, and South Asia (pp. 7~32), Lanham, Md.: Lexington Books.

35.

AlSayyad, N., & Roy, A. 2004. “Urban informality: crossing borders.” In A. Roy & N. AlSayyad (Eds.), Urban informality: Transnational perspectives from the Middle East, Latin America, and South Asia (pp. 1~6), Lanham, Md.: Lexington Books.

36.

Bayat, A. 2004. “Globalization and the politics of the informals in the Global South.”In A. Roy & N. AlSayyad (Eds.), Urban informality: Transnational perspectives from the Middle East, Latin America, and South Asia (pp. 79~102), Lanham, Md.:Lexington Books.

37.

Brenner, N. 2013. “Theses on urbanization.” Public Culture, 25, pp. 85~114.

38.

Brown, A. 2006. “Challenging street livelihoods.” In A. Brown (Ed.), Contested space: Street trading, public space, and livelihoods in developing cities (pp. 3~16), Rugby, UK: ITDG Pub.

39.

Castells, M. & A. Portes. 1989. “World underneath: the origins, dynamics and effects of the informal economy.” In A. Portes, M. Castells & L. A. Benton (eds.). 1989. The informal economy: studies in advanced and less developed countries (pp. 11~38),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0.

Chen, M. A. 2012. The Informal Economy: Definitions, Theories and Policies. WIEGO Working Paper No.1.

41.

Cheng, L., & G. Gereffi. 1994. “The informal economy in East Asian development.”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18(2), pp. 194~219.

42.

Cho, Y. 2015. Geography, gender, and informal economic activities: A case study of street vending in San Cristóbal de Las Casas, Mexico.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43.

Cross, J. 2000. “Street vendors, and postmodernity: conflict and compromise in the global econom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and Social Policy, 20(1/2), pp. 29~51.

44.

Daniels, P. W. 2004. “Urban challenges: the formal and informal economies in mega-cities.” Cities, 21(6), pp. 501~511.

45.

De Soto, H. 1989. The other path: The invisible revolution in the Third World. London: I. B. Taurus.

46.

Etzold, B. 2014. “Migration, informal labour and (trans)local productions of urban space:the case of Dhaka’s street food vendors.” Population, Space and Place, doi:10.1002/psp.1893.

47.

Ghertner, D. A. 2008. “An analysis of new legal discourse behind Delhi’s slum demolitions.” 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43(20), pp. 57~66.

48.

Giuliani, E. 2007. “The selective nature of knowledge networks in clusters: evidence from the wine industry.”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7(2), pp. 139~168.

49.

Hart, K. 1970. “Small‐scale entrepreneurs in Ghana and development planning.” The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6(4), pp. 104~120.

50.

Hart, K. 1973. “Informal income opportunities and urban employment in Ghana.” The Journal of Modern African Studies, 11(1), pp. 61~89.

51.

Hill, R. & Kim, J. W. 2000. “Global cities and developmental states: New York, Tokyo and Seoul.” Urban Studies, 37(12), pp. 2167~2195.

52.

Hwang, J. T. 2014. “Territorialized urban mega-projects beyond global convergence: the case of Dongdaemun Design Plaza & Park Project, Seoul.” Cities, 40, pp. 82~89.

53.

McFarlane, C. 2012. “Rethinking Informality: Politics, Crisis, and the City.” Planning Theory & Practice, 13(1), pp. 89~108.

54.

Meagher, K. 2013. Unlocking the Informal Economy: A Literature Review on Linkages Between Formal and Informal Economies in Developing Countries, WIEGO Working Paper No.27.

55.

Merrifield, A. 2013. “The urban question under planetary urbaniz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7(3), pp. 909~922.

56.

Moser, C. O. N. 1978. “Informal Sector or Petty Commodity Production: Dualism or Dependence in Urban Development?” World Development, 6(9), pp. 1041~1064.

57.

Rakowski, C. A. 1994. “Convergence and Divergence in the Informal Sector Debate: A Focus on Latin America, 1984~92.” World Development, 22(4), pp. 501~516.

58.

Roy, A. 2005. “Urban informality: toward an epistemology of planni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1(2), pp. 147~158.

59.

Roy, A. 2009. “Why India cannot plan its cities: Informality, insurgence and the idiom of urbanization.” Planning Theory, 8(1), pp. 76~87.

60.

Roy, A. 2011. “Slumdog cities: Rethinking subaltern urbanism.”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5(2), pp. 223~238.

61.

Sunley, P. 2008. “Relational economic geography: A partial understanding or a new paradigm?”Economic Geography, 84(1), pp. 1~26.

62.

Tokman, V. E. 1978. “An exploration into the nature of informal—formal sector relationships.” World Development, 6(9), pp. 1065~1075.

63.

인터뷰 A: 전국노점상연합 정책교육위원장 2009년 8월 27일.

64.

인터뷰B: 동대문운동장철거반대와 보존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간사 2009년 9월 9일.

65.

인터뷰C: 서울시 동대문디자인파크 담당관 사업지원팀장 2009년 8월 12일.

66.

빈민해방실천연대: http://cafe251.daum.net/_c21_/home?grpid=18rPw.

67.

서울풍물시장: http://pungmul.seoul.go.kr/about/vision.jsp.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