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이 연구는 이론적 자원으로서 닐 스미스(Neil Smith)의 ‘자연의 생산(Productionof nature)’ 개념을 활용하여 청계천 복원 사업을 비판적으로 해석해보았다. 다양한 사회적 관계와 행위자들의 전략에 의해 청계천이라는 자연이 생산되는 과정에서, 환경문제가 기술적, 경제적, 행정적인 문제로만 다뤄짐으로써 탈정치화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인이 복원사업 추진 측의 공간 조정 전략, 거버넌스 조정 전략의 성공에 있고, 여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저항 집단의 역량 부족도 이러한 결과에 기여하였다고 해석하였다. 그리고 환경이 다시 정치화되려면자연의 생산 과정이 민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연의 생산과정에 비판적으로 참여하는 운동을 기획하는 일과, 거버넌스의 민주적활용에 대한 전략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is paper tries to interpret the process of ‘Cheongyecheon Restroration Project’in critical manner using the concept of ‘production of nature’ of Neil Smith.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Cheongyecheon creek by various actors andsocial networks, environmental problem has been de-politicized as technological, economic,and administrative task. This paper interprets the strategies of spatial fixand governance fix of pursuing groups and lack of effective strategy from resistancegroup contributed to the de-politicization of the environment. Finally, this papersuggests we need democratizing production of nature. For this, planning of criticalinvolvement into the process of production of nature and strategical considerationof democratic engagement into the governance is highly recommended.
강우원. 2003. 「도심재생으로서의 청계천 복원 의의와 문제점」. 한국환경사회학회학술대회 자료집. 3∼13쪽.
김병욱‧엄정윤‧김승현. 2010. 「청계천 공간의 변화와 시기별 미디어 담론 변화에 대한 일 사례 고찰: 조선일보의 1960년대, 1980년대, 2005년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51, 26∼46쪽.
김병철. 2007. 「서울시 청계천 복원사업에 대한 도시유형론적 분석」. ≪국토연구≫2007.6, 111∼129쪽.
김숙진. 2006. 「생태 환경 공간의 생산과 그 혼종성(hybridity)에 대한 분석: 청계천복원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2), 113∼124쪽.
김종호‧황필선. 2009. 「거버넌스 환경에서의 갈등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서울시 청계천 복원사업의 예방적 갈등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 7(1), 41∼65쪽.
김진열‧이규명. 2012. 「도시재생으로서 청계천 복원사업의 거버넌스 형태와 특수성사례연구」. 도시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노수홍. 2004. 「청계천 복원 시민위원회의 활동과 문제점」. 청계천연대 청계천 복원시민위원회 공동주최 토론회 발표문(2004.6.9).
녹색연합. 2004. 「청계천 복원사업의 평가와 지속가능성 실현방안 모색 토론회 자료집」.
닐 스미스. 2007. 「축적전략으로서의 자연」. 페니치, 레이스 편, 허남혁 외 역. 자연과 타협하기 , 필맥, 39∼66쪽.
박명현. 2004. 「서울시 청계천 복원사업의 갈등관리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와 상인집단간의 협상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박사학위논문.
성지은. 2005. 「청계천 복원사업의 갈등관리 전략 분석」. ≪한국 사회와 행정연구≫15(4), 155∼177쪽.
송도영. 2003. 「청계천 공구상가의 공간구조와 사회적 성격」. ≪환경사회학연구 EC O≫ 통권 4호, 166∼190쪽.
양윤재. 2005. 「청계천 복원, 세계가 주목하는 역사적 과제」. 유엔환경계획 한국위원회 http://unep.or.kr/sub/sub05_01.php?mNum=5&sNum=1&boardid=planet&mode=view&idx=139 (2015년 10월 21일 검색).
양윤재. 「도시재생 전환기제로서 청계천 복원사업의 역할과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9(4), 307∼328쪽.
이진영‧조 택. 2006. 「청계천 복원사업과 부안 방폐장 유치사업의 갈등관리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논총≫ 16권, 49∼104쪽.
장유경‧황기연. 2013. 「청계천 복원에 따른 지가 영향」. ≪국토계획≫ 48(3), 41∼51쪽.
조명래. 2003. 「청계천의 재자연화를 둘러싼 갈등과 쟁점」. ≪환경사회학연구 ECO≫통권 4호, 130∼165쪽.
조명래‧배재호. 2005. 「청계천 복원의 성과와 한계」. ≪대한토목학회지≫ 53(11), 140∼155쪽.
최근희. 2008. 「서울시의 청계천 복원정책과 영국 런던 도클랜드 재개발정책에 관한비교연구」. ≪한국도시행정학보≫ 21(3), 291∼313쪽.
필립 맥마이클 지음. 조효제 옮김. 2013. 거대한 역설: 왜 개발할수록 불평등해지는가 . 교양인.
허태욱. 2004. 「도시거버넌스와 갈등에 관한 연구: 청계천 복원사업을 사례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성태. 2003. 「청계천의 공간문화: 파괴, 정체, 그리고 희망」. ≪환경사회학연구 EC O≫ 통권 4호, 211∼230쪽.
홍성태. 2004. 「청계천 복원사업과 청계천의 파괴: 이명박 시장의 신개발주의와 이익의 정치」. ≪경제와 사회≫ 63, 39∼65쪽.
황기연‧김종한‧박민진. 2005. 「지속가능성에 대한 가치갈등과 합의형성: 청계천 복원사업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6(2), 57∼78쪽.
황기연‧나태준. 2005. 「청계천 복원사업의 갈등관리 사례분석」. ≪서울도시연구≫6(4), 169∼190쪽.
Dryzek, J. & D. Schlosberg, (eds) 1998, Debating the Earth: The environmental Politics Read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Eder, K. 1996. The Social Construction of Nature: A Sociology of Ecological Enlightenment. London: Sage Publications.
Hajer, M. A. 1995. The Politics of Environmental Discourse: A Study of the Acid Rain Controversy in Great Britain and the Netherlands. Oxford: Clarendon.
Kroll, C. 2015.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re the rich countries ready?. Gütersloh:Beertelsmann Stiftung.
Prudham, S. & N. Heynen. 2011. “Uneven Development 25 Years On: Space, Nature and the Geographies of Capitalism.” New Political Economy, 16(2), pp. 223∼232.
Smith, N. 1998. “Nature at the millennium: Production and re-enchantment.” in B. Braun & N. Castree (eds). Remaking Reality(pp. 271~286), London: Routledge
Smith, N. 2008. Uneven Development: Nature, Capital and the Production of Space(3rd Edition). Athens and London: University of Georgia Press.
Swyngedouw, E. 1999. “Governance Innovation and the Citizen: The Janus Face of Governance-beyond-the-State.” Urban Studies, 42(11), pp. 1991∼2006.
Swyngedouw, E. 1999. “Modernity and Hybridity: Nature, Regeneracionismo, and the Production of the Spanish Waterscape, 1890∼1930.”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89(3), pp. 443∼465.
Swyngedouw, E. 2015. “Depoliticized environments and the promises of the Anthropocene.” in Raymond L. Bryant, ed.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Political Ecology. Cheltenham, U.K: Edward Elgar Publishing Co., pp. 131∼145.
≪미디어스≫. 2015.10.2. “청계천 복원, 누가 이익을 보았는가”, [김상철의 다른 서울] 청계천 복원 10년을 되돌아본다.
≪연합뉴스≫. 2015.9.27. “‘도심 명소’ vs ‘운영비 폭탄’ … 청계천 복원 10년 명암.”
≪연합뉴스≫. 2015.10.11. “청계천 복원 후 6차례 물고기 떼죽음 … 2천여 마리 폐사.”
≪오마이뉴스≫. 2002.9.9. “생계형 노점 과잉단속은 저항 부를 것, 단속은 적법 공무집행, 청계천과 무관.”
≪오마이뉴스≫. 2009.10.16. “벼랑 끝으로 내몰리는 동대문운동장 노점상들, 영업기간 5년 이상 약속 파기 당하고 강제철거 당하는 노점상특화거리.”
≪오마이뉴스≫. 2008.10.14. “청계천, 방문객 수↓ 유지관리비↑ … 왜?”
≪이데일리≫. 2011.11.21. “청계천 물길 따라 해마다 80억 원 증발.”
≪조선일보≫. 2004.3.2. “청계천 호안석축 훼손됐다. 복원공사로 48m 소멸.”
≪주간동아≫. 2004.3.11. “청계천 물길 역사 그리 하찮은가, 시민단체 문화재 전면발굴 후 복원 요구 … 무리한 공사 강행 재고 충분한 논의를.”
≪한겨레≫. 2004.6.13. “시민단체, 청계천 복원공사 중지 가처분 신청.”
≪한겨레≫. 2004.6.27. “호안석축 제자리 복원 묵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