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중간지원조직과 에너지 레짐 전환 : 한국 에너지자립마을의 사례 비교

The Role of Intermediary Supporting Organization in Energy Regime Change: Comparative Case Studies of Energy Self-sufficient Islands in Korea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6, v.26 no.1, pp.139-176
https://doi.org/10.19097/kaser.2016.26.1.139
강지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이태동 (연세대학교)

초록

기후변화와 에너지 안보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전환은 소규모 마을 단위에서시작해 국가 단위까지 확장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에너지 레짐 전환을 재생에너지 중심 기술, 참여적 거버넌스, 능동적 에너지 생산자 규범으로의 전환이라는 분석틀을 사용해, 에너지자립마을 사례를 비교·분석한다. 특히 본 연구는 중간지원조직이 민-관 협력을 이끌고, 민과 관 각각의 규범 및 구조 변화를 이끌어 에너지레짐 전환을 유도함을 밝힌다. 이때 중간지원조직이란 민과 관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양측의 인식 변화를 추동하고 상호 협력 활성화를 지원하는 집단을 가리킨다. 결론적으로 에너지 레짐 전환을 위해서 중간지원조직의 이슈 도입, 가교, 감시 및 교육 역할이 유효하며, 그 영향력에 따라 네트워크 형성 및 민관의 인식이달라진다고 주장한다. 이는 어떤 요소가 레짐 전환을 유도하는지에 대해 새로운관점을 제시하면서, 이 과정에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밝히는 정책적 함의를제공한다.

keywords
중간지원조직, 에너지 레짐 전환, 레짐이론, 재생에너지, 민관협력, Energy Regime Transition, Intermediary Supporting Organization, Regime theory, Renewable energy, Public-Private Partnership

Abstract

Energy transition can transform technology and governance aiming to addressenergy security and climate change mitigation at various levels. This study analysesenergy self-sufficient village efforts, by using the framework of energy regime transition:renewable energy based technology; participatory governance; and active energyproducer norm. In particular, we highlight the role of intermediary supportingorganization in realizing energy transition through facilitating public-private partnership,and education. To achieve energy regime change, the roles of intermediarysupporting organizations are critical to form networks and to change perceptionsof stakeholders. By comparing Yondae Island of Tongyong city and Mara Islandof Jeju province, this study empiricall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s of energyregime transition and its driver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strengthening intermediarysupporting organization is a way to advance village-level energy regimetransition.

keywords
중간지원조직, 에너지 레짐 전환, 레짐이론, 재생에너지, 민관협력, Energy Regime Transition, Intermediary Supporting Organization, Regime theory, Renewable energy, Public-Private Partnership

참고문헌

1.

고재경·주정현. 2014. 「유럽에너지자립마을 중간지원조직 역할과 특징 연구」. ≪환경정책≫ 제22권 2호, 101~135쪽.

2.

권용덕·김덕주·허종구·안점판. 2012. 「농촌형 에너지자립마을 추진방안」. ≪정책포커스≫ 제62권, 1~72쪽.

3.

김호기. 2007. 『한국 시민사회의 성찰』. 도서출판 아르케.

4.

나주몽. 2012. 「한국의 커뮤니티비즈니스정책 추진과정과 지역차원의 과제」. ≪지역개발연구≫ 제44권 1호, 141~160쪽.

5.

남제주군. 2001. 『자연친화적 마라도 종합발전계획』. 제주발전연구원.

6.

산양읍지편찬위원회. 2013. 『산양읍지』. 산양읍지편찬위원회.

7.

서울연구원. 2013. 『정책리포트 제149호 서울시 가정용 전력소비의 변화요인과 저감방안 보도자료(최종)』. 서울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8.

안정배·이태동. 2016. 「도시의 에너지 전환 분석: 서울시의 원전하나줄이기 정책을 중심으로」. ≪2015년 한국정치학회 하계 학술대회≫, 1~25쪽.

9.

윤미숙. 2015. 『춤추는 마을 만들기』. 남해의 봄날.

10.

윤순진. 2008. 「한국의 에너지체제와 지속가능성-지속불가능성의 지속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제4회 STS아카데미≫, 111~139쪽.

11.

이유진·이승지·김희선. 2007. 「한국의 에너지 자립 마을 만들기 사례와 발전방향」. ≪재생가능에너지자립섬 마을만들기 국제 심포지엄≫, 98~130쪽.

12.

이정필·한재각. 2014. 「영국 에너지 전환에서의 공동체에너지와 에너지시티즌십의함의」. ≪환경사회학연구 ECO≫ 제18권 1호, 73~112쪽.

13.

이차희·탁영란·김민서·손용훈. 2014. 「농촌체험관광 중간지원조직 역할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농촌계획≫ 제20권 3호, 75~88쪽.

14.

조경근. 2001. 「국제레짐이론: 개념논쟁」. ≪국제정치연구≫ 제4권 1호, 1~16쪽.

15.

한승욱. 2013. 「부산시 마을만들기 지원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2013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21~35쪽.

16.

충청남도청. 2013. 『에너지자립섬마을 시범조성 연구용역』. 충청남도청.

17.

Aylett, Alex. 2013. “Networked urban climate governance: neighborhood-scale residential solar energy systems and the example of Solarize Portland.” Environment and Planning C: Government and Policy 31, pp. 858~875.

18.

Esman, Milton J. and Norman T. Uphoff. 1984. Local Organizations: Intermediaries in Rural Development.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

Finnemore, Martha and Kathryn Sikkink. 1998. “International Norm Dynamics and Political Change.” International Organization 52-4, pp. 887~917.

20.

Haas, Ernst B. 1980. “Why Collaborate? Issue-Linkage and International Regimes.” World Politics 32~33, pp. 357~405.

21.

Krasner, Stephen D. 1982. “structural causes and regime consequences: regimes as intervening variabl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36-2, pp. 185~205.

22.

Liberson, Stanley. 1991. “Small N’s and Big Conclusions: An Examination of the Reasoning in Comparative Studies Based on a Small Number of Cases.” Social Forces 70, pp. 308~320.

23.

Lee, Taehwa, Taedong Lee and Yujin Lee. 2014. “An experiment for urban energy autonomy in Seoul: The One ‘Less’ Nuclear Power Plant Policy.” Energy Policy 74, pp. 312~313.

24.

Meyer, Arthur S. 1960. “Function of the Mediator in Collective Bargaining.”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13-2, pp. 159~165.

25.

Monstadt, Jochen and Annika Wolff. 2015. “Energy transition or incremental change? Green Policy agendas and the adaptability of the urban energy regime in Los Angeles.” Energy Policy 78, pp. 213~224.

26.

Okereke, ChukWumerije, Harriet Bulkeley and Heike Schroeder. 2009. “Conceptualizing Climate Governance Beyond the International Regime.”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9-1, pp. 58~78.

27.

Young, Oran R. 1967. The Intermediaries: Third Parties in International Crises.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서귀포시청. 2015. 「마라도 자가발전소 현황」. ≪서귀포시청 업무보고서≫, 1-2.

29.

통영시청. 2010. 「연대도 태양광발전시설 설치 문제점 보고」. ≪통영시청 업무보고서≫, 1-3.

30.

통영시청. 2012. 「통영 에코아일랜드 조성현황」. ≪통영시청 업무보고서≫, 1-7.

31.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http://www.motie.go.kr/)

32.

자치법규정보시스템 홈페이지(http://www.elis.go.kr)

33.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

34.

박은지.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사업 ‘초라한 성적표’.” ≪전기신문≫ 2013년 5월 20일, 9면.

35.

위성욱. “경남도, 가구 당 연 2억 버는 보물섬 더 만든다.” ≪중앙일보≫ 2015년 5월 27일, 23면.

36.

이현모. “<기획> 가파도, 청정 녹색섬 꿈꾼다(9)-‘전봇대, 자동차 없는 섬으로’ 정부 차원 저탄소 녹색섬 가꾸기 본격 착수.” ≪서귀포신문≫ 2011년 10월 4일. http://www.seogwipo.co.kr/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72957(검색일: 2015.03.06).

37.

좌용철. “마라도 골프카트 운행중단 U턴 하나? 주민 청원.” ≪제주의소리≫ 2013년 5월 14일.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29384(검색일: 2015.5.23).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