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서울의 자치구 간 조건 차이에 따른 비정부단체(NGOs)의 분포 특성 - 강남·마포·도봉구 사례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NGOs on different conditions of districts in Seoul: Cases of Gangnam, Mapo, Dobong district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6, v.26 no.2, pp.300-333
https://doi.org/10.19097/kaser.2016.26.2.300
조철민 (한일장신대학교)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의 지역 간 비정부단체(NGOs)의 분포특성을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의 지역별 비정부단체들의 현황에 어떤 차이를 지니고있는지 살펴봤다. 그리고 소지역 비정부단체들의 현황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요인들 비교하기 위한 분석틀 구성을 시도했다. 이에 따라 지역별 비정부단체들의 현황과 분포를 종속변수로 놓고, 여기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지역의 정치적 성향, 비정부단체 관련 지역제도와 연결망 등의 정치·사회적 조건을설정했다. 이어서 이러한 독립변수들에 근원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서도시계획을 중심으로 한 역사지리적 조건을 설정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틀의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강남구, 마포구, 도봉구를 사례 지역으로 선정해 간략한비교분석을 시도했다. 분석결과 세 개의 사례 지역이 보유한 비정부단체들의 현황과 분포가 나타내는 차이들은 각 지역이 지닌 정치·사회적 조건에 조응했다. 또한 정치·사회적 조건의 영향은 각 지역의 역사·지리적 조건 위에서 작용하고있다.

keywords
서울, 비정부단체, 분포특성, 역사지리적 조건, 정치·사회적 조건, Seoul, NGOs.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historical-geographic conditions, political-social conditions

참고문헌

1.

강홍빈·주명덕. 2002. 『서울 에세이: 근대화의 도시풍경, 강홍빈과 주명덕이 함께하는 서울 기행』. 열화당.

2.

강희경. 2011. 「개발정치의 과잉과 미약한 시민사회」. ≪지역사회학≫ 13권 1호, 5~40쪽.

3.

김성윤. 2012. 「도봉지역 희망찾기: 지역사회복지실천기관과 풀뿌리단체의 노력」. ≪시민교육≫ 6호, 56~61쪽.

4.

김태룡. 2003. 「한국의 시민사회와 지역 NGO」. ≪한국정책과학회보≫ 7권 3호, 5~28쪽.

5.

녹스·핀치. 박경환·류연택·정현주 역. 2012. 『도시사회지리학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6.

박배균. 2006. 「도시와 정치」. 김인·박수진. 『도시해석』. 푸른길, 156~175쪽.

7.

박인권·이선영. 2012. 「서울의 저항과 대안의 공간 및 운동 변화 분석」. ≪공간과사회≫ 22권 4호, 5~50쪽.

8.

손낙구. 2010. 『대한민국 정치 사회 지도: 수도권편』. 후마니타스

9.

송미령. 1997. 「서울 공간구조의 변화와 특징: 1980∼1990 고용과 사무실 공간의 분포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2권 4호, 209~228쪽.

10.

유이치, 가가와. 2010. 『사회운동론과 정치지리학』. 도시오, 미즈우치. 심정보 역. 『공간의 정치지리』. 푸른길, 103~124쪽.

11.

유재원. 2000. 「사회적 자본과 자발적 결사체」. ≪한국정책학회보≫ 9권 3호, 23~43쪽.

12.

이재열. 2003. 「사회적 자본과 시민의식: 서울시와 자치구의 정책결정과 집행에 주는함의」. ≪지역사회학≫ 5권 1호, 41~81쪽.

13.

임동근·김종배. 2015.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탄생』. 반비.

14.

정근식. 1999. 「집합적 사회운동, 시민사회, ‘지역발전’: 도시체제론을 위하여」. ≪지역사회학≫ 1권 1호, 149~168쪽.

15.

정병순·김다경·김영은·이홍택. 2015. 『서울형 거버넌스 모델 구축방안』. 서울연구원.

16.

조명래. 2001. 「도시 시민사회의 이해」. ≪공간과 사회≫ 16호, 149~184쪽.

17.

조명래. 2013. 『공간으로 사회 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 한울아카데미.

18.

조철민. 2015a. 「비정부단체(NGOs)의 활동공간으로서 서울 지역 시민사회의 지형」. ≪공간과사회≫ 25권 1호, 179~212쪽.

19.

조철민. 2015b. 「시민사회 공익활동 지원제도 개선을 둘러싼 논의의 지형」. ≪NGO연구≫ 10권 2호, 1~34쪽.

20.

조희연. 2003. 「한국 민주주의의 전개와 시민운동의 변화」. 김진균. 『저항, 연대, 기억의 정치 2』. 문화과학사, 147~174쪽.

21.

하성규·김재익·전명진. 1995. 「대도시 공간구조 변화패턴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0권 5호. 141~152.

22.

Gtootaert, Christiaan & Van Bastelaer, Thierry. 2001. “Understanding and measuring social capital: A synthesis of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m the social capital initiative.” Center for institutional reform and the informal sector(IRIS). University of Maryland working paper. No. 24.

23.

Klandermans, B. 1993.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omparison of social movement Participation.” Sociololgical Forum, 8(3), pp. 383~401.

24.

Lee, Young A. 2009. “The changing role of local civil society in Korea.” Thesis (Ph.D.), University of Bristol.

25.

Miller, Byron A. 2000. Geography and social movement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6.

Painter, Joe. 1995. Politics, Geography, and ‘Political Geography’. London: Arnold Press.

27.

Routledge, Paul. 1996. “Critical geopolitics and terrains of resistance.” Political Geography, 15(6/7), pp. 509~531.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