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The commons in the modern city and the reproduction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7, v.27 no.2, pp.119-149
https://doi.org/10.19097/kaser.2017.27.2.119

Abstract

본 연구는 역사상의 공유 토지에서부터 현대의 공통재에 이르는 다양한 논의를검토하며, 이를 바탕으로 현대 도시에서 공통재가 어떻게 생산되고 이에 기초한대안적인 삶의 재생산은 어떻게 가능한지 논의한다. 네그리와 하트의 논의는 사회적 공장이 된 도시에서 비물질적 공통재가 생산되는 메커니즘을 잘 보여준다. 이들의 논의는, 공통재의 생산자들이 도시에 대한 권리를 갖고 있음을 주장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페데리치는 네그리와 하트의비물질적 공통재가 재생산을 담보할 수 없다고 비판하며 상대적으로 물질적 기반에 대한 접근을 강조한다. 스쾃은 페데리치가 드는 주요한 사례다. 그러나 국내에서 진행된 두 스쾃의 사례에서 예술가들과 노숙인들은 자신들이 공통재의 생산자가 될 수 있음을 깨닫고 있었고, 그것을 근거로 삼아 도시권을 스스로 실현하고자 했다. 요컨대 네그리와 하트의 비물질적 공통재는 그 자체로 재생산을 담보하기는 어려울 지라도, 페데리치가 재생산을 위해 주장하는 ‘물질적 기반에 대한접근’에 필요한 권리의 근거를 마련해줄 수 있다.

keywords
commons, the common, reproduction, the right to the city, squat, 공통재, 공통적인 것, 재생산, 도시권, 스쾃

Reference

1.

강현수. 2009. 「‘도시에 대한 권리’ 개념 및 관련 실천 운동의 흐름」. ≪공간과 사회≫, 제32호, 42∼90쪽.

2.

김강. 2008. 「삶과 예술의 실험실 Squat」. 문화과학사.

3.

김상철. 「다시 묻는다. 서울 광장은 누구의 것인가?」. ≪미디어스≫, 2015.4.3. http://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673.

4.

라인보우, 피터. 2012. 「마그나카르타 선언」. 정남영 옮김. 갈무리.

5.

볼리어, 데이비드. 2015.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배수현 옮김. 갈무리.

6.

비르노, 빠올로. 2004. 「다중」. 김상운 옮김. 갈무리.

7.

신지은. 2013. 「쓰레기와 도시 소비문화의 재구성」. ≪현대사회과학연구≫, 제17집, 17∼38쪽.

8.

오아시스프로젝트. 2007. 「점거메뉴얼북 Art of Squat」.

9.

오스트롬, 엘리너. 2010. 「공유의 비극을 넘어」. 윤홍근·안도경 옮김. 랜덤하우스코리아.

10.

윤수종. 2011. 「노숙인 점거공동체 ‘더불어사는집’의 형성과 변화과정」. ≪진보평론≫, 제50호, 260∼300쪽.

11.

페데리치, 실비아. 2013a. 「캘리번과 마녀」. 황성원·김민철 옮김. 갈무리.

12.

페데리치, 실비아. 2013b. 「혁명의 영점」. 황성원 옮김. 갈무리.

13.

하비, 데이비드. 2014. 「반란의 도시」. 한상연 옮김. 에이도스.

14.

하트, 마이클. 2012. 「공통적인 것과 코뮤니즘」. 「자본의 코뮤니즘, 우리의 코뮤니즘-공통적인 것의 구성을 위한 에세이」. 연구공간 L 엮음. 난장.

15.

하트, 마이클·네그리, 안토니오. 2014. 「공통체」. 정남영·윤영광 옮김. 사월의책.

16.

하트, 마이클. 2012. 「선언」. 조정환·유충현·김정연 옮김. 갈무리.

17.

하트, 마이클. 2008. 「다중」. 조정환·정남영·서창현 옮김. 세종서적.

18.

한윤애. 2016. 「도시공유재의 인클로저와 테이크아웃드로잉의 반란적 공유 실천 운동」. ≪공간과 사회≫, 제26권 3호(통권 57호), 42∼76쪽.

19.

황진태. 2016. 「발전주의 도시에서 도시 공유재 개념의 이론적·실천적 전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9권 2호, 1∼16쪽.

20.

Bauwens, Michel. “The new triarchy: the commons. enterprise. the state.” https://blog.p2pfoundation.net/the-new-triarchy-the-commons-enterprise-the-State/2010/08.

21.

Caffentzis, G. 2016. “commons.” Keywords for Radicals: The Contedsted Vocabulary of Late-Capitalist Struggle. Edited by Kelly Fritsch. Clare O’Connor. AK Thompson. AK Press, pp. 95∼101.

22.

Caffentzis, G. & Federici, S. 2013. “Common against and beyond capitalism.” UPPING THE ANTI, issue 15(september), pp. 83∼91.

23.

Dalla Costa, Mariarosa. 1975. “Women and the Subversion of the Community.” The Power of Women and the Subversion of the Community. edited by Mariarosa Dalla Costa and Selma James. Bristol, UK: Falling Wall Press.

24.

De Angelis, M. 2010. “On the Commons: A Public Interview with Massimo De Angelis and Stavros Stavrides.” An Architektur, Journal #17. http://www.e-flux.com/journal/17/67351/on-the-commons-a-public-interview-with-massimo-de-angelis-andstavros-stavrides.

25.

De Angelis, M. 2007. The Beginning of History: Value Struggles and Global Capital. London: Pluto.

26.

Federici, S. 2016a. “Reproduction.” Keywords for Radicals: The Contedsted Vocabulary of Late-Capitalist Struggle. Edited by Kelly Fritsch, Clare O’Connor, AK Thompson. AK Press. pp. 359∼365.

27.

Federici, S. 2016b. “Social Reproduction: Between the Wage and the Commons.” Interview with Marina Sitrin. ROAR Magazine. https://roarmag.org/magazine/social-reproduction-between-the-wage-and-the-commons.

28.

Hardin, G. 1968. “The Tragedy of the Commons.” Science, 162.

29.

Neeson, J. M. 1993. Commoners: Common Right. Enclosure. and Social Change in England. 1700~182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58~59.

30.

Tronti, M. 1966. “Factory and Society.” trans. Guio Jacinto. Operai e Capitale. https://libcom.org/library/factory-society.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