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수도의 재구성과 수도권의 탄생 : 1960년대 초반 서울특별시의 변화를 중심으로

The Re-organization of territory and the birth of Sudogwon (capital region) in the South Korean developmental state, 1960s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7, v.27 no.4, pp.218-251
https://doi.org/10.19097/kaser.2017.27.4.218
김동완 (경남대학교)

초록

이 글은 발전주의 국가가 들어서던 1960년대 초반, 서울을 중심으로 일어난 일련의 국가공간 프로젝트를 다룬다. 쿠데타에 성공한 박정희와 군사정부는 1962년서울특별시장의 지위를 장관 수준으로 격상시키고, 이듬해인 1963년 전격적으로서울의 행정구역을 확장한다. 그리고 당시로는 생소했던 수도권이라는 언어를 동원해 국가공간을 위계적으로 조직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작업은 주권 권력이 응당 행하는 영토화의 일부인 동시에, 당시 정권의 전략적 선택이 드러나는 계기였다. 이 글은 수도권이 만들어진 정책결정과정을 역사적으로 해석해 발전주의 국가의 공간성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전쟁 이후 지속된 수도만들기의 국가 실천, 수도 서울로 몰려드는 인구 관리 전략, 산업화를 위한 영토 기획은 수도 서울과 서울 주변을 재구성한다. 요컨대 발전주의 영토기획에 필요했던 주권 논리와 구획방식이 수도와 수도권을 만들어냈다는 것이 이 글의 핵심 주장이다.

keywords
수도권, 스케일, 국가공간, 지역계획, 통치성, capital area, scale, state space, regional planning, governmentality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a series of state’s spatial projects centered in Seoul in the early 1960s, when Korean developmentalist state came in. While enhancing Seoul’s legal status, that time’s government expanded the scale of city of Seoul and established a regional scale of Seoul Capital Area combining Seoul and its satellite cities (combined Seoul and its satellite cities into Seoul Capital Area). Such project composed a part of territorialization that the state (sovereign) power ought to do and at the same time, a process that spatially express the strategic selection of that time’s political regime. This article aims to offer an explanation on a critical part of developmental state’s spatiality by historically examining major decision-making processes since the Korean War, which has been limitedly address as unofficial history. Also, by analytically identifying political issues that were entangled with the capital region in 1960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state spatial processes can not only mobilize urban political resources, but also create urban developmental discourses.

keywords
수도권, 스케일, 국가공간, 지역계획, 통치성, capital area, scale, state space, regional planning, governmentality

참고문헌

1.

건설부. 1963. 「국토건설종합계획대강」, 제1∼5부.

2.

김동완. 2009. 「1960년대 광주 지방의 지역개발담론과 아래로부터 지역주의」. ≪정신문화연구≫, 32(4), 247∼279쪽.

3.

김동완. 2013. 「통치성의 공간들: 한국의 정치지리를 고려한 시론적 검토」. ≪공간과사회≫, 44호, 129∼162쪽.

4.

김동완. 2014. 「울산공업단지의 서막, 정유공장 건설의 정치지리」. ≪대한지리학회지≫, 49(2), 139∼159쪽.

5.

김동완. 2017. 「강남 어셈블리지」. 박배균·황진태 편저.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 파주: 동녘.

6.

김범수. 2006. 「중세 주권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6년 6월호, 578∼595쪽.

7.

김하나. 2014. 「1930년대 전후 공업도시 담론과 영등포의 서울 편입」. ≪도시연구≫, 11호, 37∼68쪽.

8.

김현수. 2004. 「전원도시운동과 뉴타운의 태동」.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편, ≪서양도시계획사≫, 서울: 보성각, 263∼297쪽.

9.

르페브르. 앙리(Lefebvre, Henri), 2011. 「공간의 생산」. 양영란 옮김. 서울: 에코리브르.

10.

박배균. 2012. 「 한국 지역균형정책에 대한 국가공간론적 해석」. ≪기억과전망≫, 27호, 81∼130쪽.

11.

박배균·김동완. 2013. 「국가와 지역」. 서울: 알트.

12.

박상섭. 2008. 「국가·주권」. 서울: 소화.

13.

서울연구원. 2013. 「지도로 본 서울」. 서울: 서울연구원.

14.

서울특별시. 1977. 「1977년도시계획연혁집: 관계도집」. 서울: 서울특별시.

15.

성백용. 2013. 「백년전쟁 말기 ‘영국령 프랑스’에서의 ‘저항’과 ‘협력’」. ≪한국서양중세사학회 연구발표회≫, 75호, 19∼31쪽.

16.

손정목. 2005. 「한국 도시 60년의 이야기 1」. 파주: 한울.

17.

안창모. 2010. 「강남개발과 강북의 탄생과정 고찰」. ≪서울학연구≫, 41호, 63∼97쪽.

18.

염복규. 2008. 「일제말기 지방· 국토계획론과 경인시가지계획」. ≪서울학연구≫, 32호, 171∼204쪽.

19.

염복규. 2016.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 서울: 이데아.

20.

윤정섭. 1955. 「새로운 서울 도시계획」. ≪경향신문≫, 1955년 3월 11일자.

21.

이주영. 2015. 「한국의 국토 계획과 지역 과학 이론: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 수립의 실행, 1963-1972」.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임덕순. 1985. 「서울의 수도기원과 전개과정」. ≪지리학논총≫, 별1호, 1∼162쪽.

23.

임송자. 2013. 「민주당 정권기 국토건설사업의 추진과정」. ≪사림≫, 46호, 443∼480쪽.

24.

주원. 1953. 「國土政策의 理論과 運用」. 서울: 韓國産業科學硏究所.

25.

푸코, 미셸(Foucault, Michel). 2011. 「안전, 영토, 인구」. 오트르망 옮김. 서울: 난장.

26.

飯沼一省. 1927. 「都市計劃の理論と法制」. 良書普及會.

27.

Agricola, E. M. 2000. “The Hague as the disputed showcase of the Dutch State and Dutch national identity 1814∼1917.” GeoJournal, 51(1-2), pp. 47∼56.

28.

Amsden, A. 1989. Asia next giant: South Korea and late industrializ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9.

Claval, P. 2000. “The European system of capital cities.” GeoJournal, 51(1-2), pp. 73∼81.

30.

Dijkink, G. 2000. “European capital cities as political frontiers.” GeoJournal, 51(1-2), pp. 65∼71.

31.

Geddes, S. P. 1915. Cities in evolution: an introduction to the town planning movement and to the study of civics. London: Williams & Norgate.

32.

Gimm, D. W. 2013. “Fracturing hegemony: Regionalism and state rescaling in South Korea, 1961∼71.”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7(4), pp. 1147∼1167.

33.

Kristof, L. K. 1959. “The nature of frontiers and boundarie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49(3), pp. 269∼282.

34.

Le Maître, A. 1682. La Métropolitée ou De l’établissement des villes Capitales, de leur Utilitépassive et active, de l’Union de leurs parties et de leur anatomie, de leur commerce, etc.

35.

Lefebvre, H. 1977. “Space and the state.” in Brennner, N., Jessop, B., Jones, M. and MacLeod, G. (eds.). State/Space: A Reader, Blackwell, pp. 84∼100.

36.

Paasi, A. 1996. Territories, boundaries and consciousness. The changing geographies of the Finnish-Russia border. Chichester: Wiley.

37.

Smith, N. 1996. The new urban frontier: Gentrification and the revanchist city. London; New York: Routledge.

38.

Smith, N. 2000. “Scale.” in Johnston, R. J., Gregory, D., Pratt, G. and Watts, M. (eds.).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4th edn), Oxford: Blackwell, pp. 724∼727.

39.

Van der Wusten, H. 2000. “The cityscapes of European capital cities.” GeoJournal, 51(1-2), pp. 129∼133.

40.

Wagenaar, M. 2000. “Townscapes of power.” GeoJournal, 51(1-2), pp. 3∼13.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