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사회적 재생에서 공동체 참여와 배제: 해방촌 신흥시장 상생협약을 사례로

Community participation and exclusion in social regeneration: in the case of Haebangchon Shinheungshijang Market Urban Renewal Project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8, v.28 no.2, pp.115-157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2.115
주대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초록

한국의 근린도시재생은 경제 자본의 투자보다는 주민들의 사회 실천을 통 해 공간의 가치를 제고하고자 한다는 에서, ‘사회 재생’으로 규정될 수 있다. 반면에 도시재생이 지향하는 공동체는 그 인인 지리 범의 설정으로 인해 분배공동체의 성격을 가지게 되어, 이해계자들의 공동체 지배가 시도될 경우에 는 약자-성원에 한 배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더 많은 주민들의 공동 체 참여가 억압되고 사회 재생이 어렵게 될 수 있다. 이 논문은 해방도시 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신흥시장 상생약 체결과정에 한 사례분석을 통 해, 상생약에 미친 그러한 가능성에 해 고찰했다. 결과로서, 신흥시장 상생 약은 임료를 안정화하는 데에 아무런 효력을 발휘하지 못했으며, 이는 의체 구성에서 상생약에 이르는 과정에서 건물주-이해계인들의 주도에 의해 그 들의 이해와 상충하는 세입자-상인/청년-술가들의 참여가 억압되고 배제된 것과 한 계가 있었다.

keywords
urban renewal, social regeneration, rent stabilization agreement, artificial geographic community, distributive community, 도시재생, 사회 재생, 상생약, 인인 지리 공동체, 분배공동체

Abstract

The urban renewal of residential area in Korea can be defined a s ‘social regeneration’ in that it aims to enhance the value of space through social practice of residents rather than investment of economic capital.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ty that urban renewal is aimed at has the character of a distribution community due to the establishment of its artificial geographical scope, and if stake-holders try to dominate the community, the exclusion of the weaker-member may occur, community participation of residents can be suppressed and social regeneration can be difficult.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by analyzing the case of concluding for rent stabilization agreement in Shinheungshijang Market. As a result, rent stabilization agreement in Shinheungshijang Market have had no effect in stabilizing rents,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suppression and exclusion of tenant-merchant/young-artist’s participation which conflicted with their interest by leading of the land-owners in the full process, from the composing of the association to the concluding of the agreement.

keywords
urban renewal, social regeneration, rent stabilization agreement, artificial geographic community, distributive community, 도시재생, 사회 재생, 상생약, 인인 지리 공동체, 분배공동체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 2013.12.31.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

2.

그레이버, 데이비드(David Graeber). 2009. 『가치이론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서정은옮김. 그린비.

3.

김동수. 1993. 「현대 공동체주의의 사상적 기초: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26(3), 7∼21쪽.

4.

김미영. 2015.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여러 형식」. ≪사회와 이론≫, 27, 181∼218쪽.

5.

김찬호. 2000. 「도시계획의 패러다임과 의사소통이론」. ≪사회발전연구≫, 2000, 167∼196쪽.

6.

김현주. 2012. 「독일 도시재생프로그램 ‘Soziale Stadt’의 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8(10), 93∼104쪽.

7.

네그리(Antonio Negri)‧하트(Michael Hardt). 2014/2009. 『공통체』. 정남영‧윤영광 옮김. 사월의 책.

8.

라클라우(Ernesto Laclau)‧무페(Chantal Mouffe). 2012/1985.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 급진민주주의 정치를 향하여』, 2판. 이승원 옮김. 후마니타스.

9.

르페브르, 앙리(Henry Lefebvre). 2011/1991. 『공간의 생산』. 양영란 옮김. 서울: 에코리브르.

10.

무페, 샹탈(Chantal Mouffe). 2007/1993. 『정치적인 것의 귀환』. 이보경 옮김. 후마니타스.

11.

박종관. 2012. 「지역공동체 형성전략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7), 183∼193쪽.

12.

배영욱. 2015.8. 「해방촌 도시재생사업을 바라보는 한 전공자의 도시설계 기대 그리고 다짐」. ≪남산골해방촌≫, 8, 4∼8쪽.

13.

배영욱. 2016.1. 「어떤 해방촌을 꿈꾸시나요」. ≪남산골해방촌≫, 9, 24∼27쪽.

14.

베버, 막스(Max Weber). 2009. 『경제와 사회: 공동체들』. 볼프강 몸젠‧미하엘 마이어엮음. 박성환 옮김. 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 번역총서 서양편 247. 파주: 나남.

15.

베버, 막스(Max Weber). 1997/1972. 『경제와 사회 I』. 박성환 옮김. 문학과지성사.

16.

서울시. 2015.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종합대책』.

17.

서울시. 2016.11.8. “도시재생지역 '해방촌 신흥시장' 임대료 6년간 동결 합의” 보도자료.

18.

서울시. 2017. 『해방촌도시재생활성화계획』.

19.

손동욱. 2008. 「도시재생사업과 주민참여」. ≪건축≫, 52(7), 22∼24쪽.

20.

신중진. 2016. 「마을만들기로 꿈꾸는 도시 지역공동체」. 황익주 외. 『한국의 도시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87∼259쪽.

21.

신중진•김일영•배기택. 2013. 「지역공동체 역량강화를 위한 마을만들기 추진방안 연구」. ≪국토계획≫, 48(6), 43∼56쪽.

22.

신중진•신효진. 2008.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계획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4(2), 9∼120쪽.

23.

신중진•신효진. 2010. 「마을만들기 사업에서 주민의 역할변화에 따른 지원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6(10), 233∼244쪽.

24.

신중진•정지혜. 2013.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한 마을만들기의 역할과 과제-수원화성과 행궁동 사람들의 도전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36(4), 59∼96쪽.

25.

신효진. 2015. 「주거환경관리사업에서 주민공동체 활성화의 필요성과 과제-구로구개봉3동 이심전심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와 빈곤≫, 108, 18∼34쪽.

26.

양재영•신현준. 2016. 「해방촌: 도시난민의 정착지 또는 실험실」. 신현준‧이기웅.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푸른숲, 417∼464쪽.

27.

엄진아•이한솔. 2016.12. 「신흥시장, 살아나는 혹은 사라지는」. ≪남산골해방촌≫, 11, 6∼12쪽.

28.

유재원. 2003. 「시민참여의 확대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보≫, 7(2), 105∼125쪽.

29.

유창복. 2013.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 사업의 배경과 과제-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의 개설에 즈음하여」. ≪환경철학≫, 15, 173∼226쪽.

30.

이동수. 2004. 「탈현대사회의 대안공동체」. ≪한국정치학회보≫, 38(1), 105∼125쪽.

31.

이명석. 2006. 「거버넌스 이론의 모색: 민주행정이론의 재조명」. ≪국정관리연구≫, 1(1), 36∼63쪽.

32.

이민우•이명식•정성원. 2016.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사업 추진에 있어서 참여자 간갈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2(1), 117∼128쪽.

33.

이선미. 2004. 「자원결사체가 개인 간 신뢰의 상징적 제도인가?」. ≪한국사회학≫, 38(5), 81∼108쪽.

34.

이선미. 2006. 「능동적 시민과 차이의 정치」. ≪한국여성학≫, 22(1), 147∼183쪽.

35.

이신철. 2000. 「월남인 마을 ‘해방촌’(용산2가동) 연구: 공동체 성격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14, 83∼116쪽.

36.

이영아. 2013.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의 참여와 배제: 영주시 삼각지 국토환경디자인 시범사업을 사례로」. ≪공간과사회≫, 23(4), 102∼130쪽.

37.

장석관. 2016. 「공동체와 공통감각: 해방촌의 생성과 오늘+1」. http://experiment or.net/bbs/board.php?bo_table=b0402&wr_id=145/

38.

정성훈. 2013. 「도시공동체의 친밀성과 공공성」. ≪철학사상≫, 49, 311∼340쪽.

39.

정철모. 2009. 「선진국의 도시재생을 위한 파트너십 제도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2(1), 69∼91쪽.

40.

최병두. 2000. 「공동체 이론의 전개과정과 도시공동체운동」. ≪도시연구≫, 6, 32∼50쪽.

41.

하비, 데이비드(David Harvey). 1983/1973. 『사회정의와 도시』. 최병두 옮김. 종로서적.

42.

하비, 데이비드(David Harvey). 2014/2012. 『반란의 도시』. 한상연 옮김. 에이도스.

43.

하성규. 2006. 「커뮤니티 주도적 재개발의 새로운 접근」. ≪도시행정학보≫, 19(2), 25∼47쪽.

44.

한국도시연구소 엮음. 2003. 『도시공동체론』. 한울아카데미.

45.

허길수 외. 2016. 『n개의 장소로 해방촌 마을읽기#2: [신흥시장]』.

46.

황익주 2016. 「서론: 왜 한국 도시에서의 지역공동체 형성에 주목하는가」. 황익주외. 『한국의 도시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0∼60쪽.

47.

Atkinson, Rowland. 2000. “The hidden costs of gentrification: displacement in central London.” Journal of Housing and the Built Environment, 15, pp.307∼326.

48.

Cameron, Stuart. 2003. “Gentrification, Housing Redifferentiation and Urban Regeneration: ‘Going for Growth’ in Newcastle upon Tyne.” Urban Studies, 40(12), pp.2367∼2382.

49.

Habermas, J. 2005. Between Naturalism and Religion. Polity Press.

50.

Ley, David. 1986.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inner-city gentrification: a Canadian assessment.”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76, pp.521∼535.

51.

Redfern, P. 2003. “What makes gentrification ‘gentrification’?” Urban Studies, 40(12), pp.2351∼2366.

52.

Slater, Tom. 2006. “The Eviction of Critical Perspectives from Gentrification Research.”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0(4), pp.737∼757.

53.

Smith, Neil. 1979. “Toward a theory of gentrification: a back to the city movement by capital, not peopl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45, pp.538∼548

54.

Wirth, Louis. 1938. “Urbanism as a Way of Lif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44, pp.1∼24.

55.

Walzer, M. 1983. Spheres of Justice-A Defense of Pluralism and Equality. Basic Book.

56.

≪동아일보≫. 1979.2.23. “재개발 해방촌주민 아파트建立 취소 진정.”

57.

≪동아일보≫. 2007.4.30. “해방촌이 투자 해방구라고?” http://news.donga.com/3/all/20070430/8436093/1

58.

≪서울신문≫. 2009.7.8. “해방촌 철거발표 이후 지역주민들 만나 보니….”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708026020#csidx37595cc93cc93d7b77e3f6cfa04b4a2

59.

≪머니투데이≫. 2016.7.9. “60년 전 피난민 보금자리 해방촌, 지금은 ‘임대료 해방구’”. http://news.mt.co.kr/mtview.php?no=2016070612085353275&outlink=1&ref=http%3A%2F%2Fsearch.daum.net

60.

≪머니투데이≫. 2016.12.16. “‘건물주 잘 만나야 산다’ 불황에 뛰는 상가 임대료, 상생은 빈말?” http://news.mt.co.kr/mtview.php?no=2016121513310657497&outlink=1&r ef=http%3A%2F%2Fsearch.daum.net.

61.

≪이데일리≫. 2015.12.3. “서울시는 해방촌을 지켜낼 수 있을까.” http://www.edaily. c o . k r / n e w s / N e w s R e a d . e d y ? S C D =J D 1 1 & n e w s i d = 0 1 3 4 4 8 0 6 6 0 9594912&DCD=A00401&OutLnkChk=Y

62.

≪조선비즈≫ 인터넷판. 2016.8.3. “‘강남 큰손과 연예인 투자 몰려’ 해방촌 상권은 ‘햇볕’.” http://biz.chosun.com/site/data/html dir/2016/08/01/2016080101342.html

63.

≪조선일보≫ 인터넷판. 2016.8.6. “익선동•사이길•해방촌… 동네는 뜨는데 우린 또 떠나야 하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05/2016080502884.html

64.

≪조선일보≫ 인터넷판. 2017.3.25. “‘가수 정엽이 또 건물 샀다며…’ 들뜬 해방촌.”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24/2017032402621.html

65.

≪중앙일보 조인스랜드≫. 2016.11.8. “해방촌 신흥시장 임대료 6년간 동결…건물주 만장일치 합의.” http://news.joins.com/article/20839917

66.

≪중앙일보≫ 인터넷판. 2017.10.17. “비싼 달동네, 해방촌의 명암: 살(live)만한 동네, 살(buy)만한 동네.” http://news.joins.com/DigitalSpecial/216?cloc=joongang|hom e|topnews1&cloc=joongang|home|newsround

67.

≪한겨레≫ 인터넷판. 2016.2.4. “부동산중개인들 결의대회한 까닭은.” http://www.ha 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29391.html

68.

≪한겨레 서울앤≫. 2016.11.24. “해방촌 신흥시장엔 젠트리피케이션 없다.” http://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1228.html

69.

≪헤럴드경제≫. 2011.7.14. “후암동~해방촌 연결 ‘남산 그린웨이’ 사업은 무산.”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10714000558

70.

해방촌도시재생카페. http://cafe.naver.com/hbc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