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 주거문제의 구조적 기원(1970~1985): 자원동원형 주택공급연쇄와 그 내부 긴장

The Structural Origin of Housing Question in S. Korea, 1970~1985: Focusing on the Resource Mobilization-Based Housing Provision Chain and its Internal Tension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8, v.28 no.2, pp.158-205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2.158
김명수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한국의 주거문제는 주로 자가주택 근의 격차와 주택 소비의 계층화 상을 둘러싼 사회갈등의 형태로 분출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이러한 주거문제의 고유성과 그 발생 기제를 충분히 밝히지 못했다. 이 논문은 한국 사회 고유의 주 거문제가 ‘자원동원형 주택공연쇄’로 규정한 독특한 주거서비스 공방식에서 배태되었다고 주장한다. 자원동원형 연쇄는 사 행자에 한 재원 의존과 그 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편익의 불균등 교환을 핵심 특징으로 하는 공 연결망을 뜻한다. 이 연쇄는 정부와 형 주택사업자, 자가 소유 가구 사이에 이해계의 결속을 구조화했지만, 투기 공구조에 따른 주거비 상승 문제와 비용부담과 편익 수혜 사이의 불균형에서 유래하는 사회 행자 사이의 립과 긴장 한 낳 았다. 이 에서, 한국 사회의 주거문제는 자원동원형 주택공연쇄와 그 비용-편 익 구조를 둘러싼 사회 불화가 폭발한 사회기의 성격을 갖는다.

keywords
The housing question, the resource mobilization-based housing provision chain, cost-benefit structure, coalition building based on property right, rising housing costs, 주거문제(주택문제), 자원동원형 주택공연쇄, 비용-편익 구조, 자산연 형성, 주거비 상승

Abstract

The housing question in S. Korea are mainly spawning in the form of social conflicts surrounding the gap in access to owner-occupied house and the stratification effect of housing consumption. However, previous researches have not fully clarified the uniqueness of these housing problems and their origins. This paper argues that the housing question inherent in Korean society is derived from the special housing service supply system defined as ‘the resource mobilization-based housing provision chain’. This chain refers to the provision network,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dependence of private actors on financial resources and uneven exchange of costs and benefits resulting therefrom. This chain structured the bonds of interest between the government, large developers & house builders, and home-owning households, but also produced conflicts and strains between social actors due to the imbalance between cost burden and benefits,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rising housing costs derived from speculative supply structure. In this regard, the housing question in Korea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a social crisis in which the social disagreement surrounding the resource mobilization-based model and its cost-benefit structure explodes.

keywords
The housing question, the resource mobilization-based housing provision chain, cost-benefit structure, coalition building based on property right, rising housing costs, 주거문제(주택문제), 자원동원형 주택공연쇄, 비용-편익 구조, 자산연 형성, 주거비 상승

참고문헌

1.

강문수•김중웅. 1988. 『주택금융의 현황과 발전방향』.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

건설교통부. 1997. 「주택분양가 규제 현황」. 국가기록원 기록물철(DA0517062).

3.

건설부. 1976. 「인구정책」. 국가기록원 기록물철(DA0224894).

4.

건설부. 1977.8. 「국민주택 우선공급에 관한 규칙(안)」. 국가기록원 기록물철(DA0224895).

5.

건설부. 1977.10.10. 「주택건설촉진법개정법률(안): 경제장관회의 안건」. 국가기록원기록물철(DA0157358).

6.

건설부. 1977.11. 「해외취업 근로자의 주택 마련 지원방안에 대한 회의」. 국가기록원기록물철(DA0224896).

7.

건설부. 1978.2. 「아파트 분양제도 개선방안」. 국가기록원 기록물철(DA0224896).

8.

건설부. 1978.2. 「주택건설촉진법 시행령 일부조정」. 국가기록원 기록물철(DA0517364).

9.

건설부. 1978.3.29. 「APT 분양제도 개선」. 국가기록원 기록물철(DA0224896).

10.

건설부. 1980a. 「도시주택부족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주택건설 및 주택개발기본계획」. 국가기록원 기록물철(DA0517370).

11.

건설부. 1980b. 「제목 미상」(국민 주거생활 안정을 위한 특별조치법(안)에 대한 설명자료). 국가기록원 기록물철(DA0517371).

12.

건설부. 1981.7.3 「무사고 및 유공운전자 육성에 대한 협조요청에 대한 회신」. 국가기록원 기록물철(DA1076414).

13.

건설부. 1983. 「보도자료: 주택건설촉진법 시행령 개정」. 국가기록원 기록물철(DA0517385).

14.

건설부. 1985a. 『주택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2: 주택관련 제도 개선』. 서울: 건설부.

15.

건설부. 1985b. 『주택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3: 주택관련조세 및 금융』. 서울: 건설부.

16.

공동주택연구회. 1999.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역사』. 서울: 세진사.

17.

국세청. 1996. 『국세청 30년사』. 서울: 국세청.

18.

국토개발연구원. 1979. 『80년대 주택정책 방향의 모색』. 서울: 국토개발연구원.

19.

국토개발연구원. 1981. 『주택자료편람』. 서울: 국토개발연구원.

20.

국토개발연구원. 1987. 『주택분양제도에 관한 연구: 채권 입찰제도를 중심으로』. 서울: 국토개발연구원.

21.

국토개발연구원. 1991. 『전환기의 주택정책 방향모색』. 서울: 국토개발연구원.

22.

국토개발연구원. 1996. 『국토 50년: 21세기를 향한 회고와 전망』. 서울: 서울프레스.

23.

국토교통부. 2016. 『2016년도 주택도시기금 업무편람』. 세종: 국토교통부.

24.

김광수경제연구소. 2011. 『대한민국 부동산시장의 미래: 부동산 패러다임 시프트』. 고양: 더팩트.

25.

김명수. 2014. 「보유세 개혁의 좌절에 관한 조세정치적 해석: 종합부동산세의 사례」. ≪경제와사회≫, 101호, 184∼225쪽.

26.

김미경. 2009. 「동아시아 국가에서의 조세와 국가의 경제적 역할: 비교의 시각」. ≪국제정치논총≫, 49권 5호, 197∼224쪽.

27.

김수현. 1996. 「한국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전개과정과 성격」.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박사학위논문.

28.

김정호•김근용. 1998. 『주택정책의 회고와 전망』. 안양: 국토개발연구원.

29.

김창곤. 1973. 「도시화와 주택건설의 방향: 정부시책면에서」. ≪주택≫, 14권 1호, 19∼20쪽.

30.

김태동•김헌동. 2007. 『문제는 부동산이야, 이 바보들아』. 서울: 궁리.

31.

김헌동•선대인. 2005. 『대한민국은 부동산공화국이다? 공공의 적, 개발 5적의 실체를밝힌다』. 서울: 궁리.

32.

내무부. 1981.6.30. 「무사고 및 유공운전자 육성에 대한 협조요청」. 국가기록원 기록물철(DA1076414).

33.

노영훈. 1997. 「재산과세」. 최광•현진권 엮음. 『한국 조세정책 50년 제1권: 조세정책의 평가』. 서울: 한국조세연구원, 531∼605쪽.

34.

대한주택공사. 1977. 『주택유효수요추정연구』. 서울: 대한주택공사.

35.

대한주택공사. 1983. 『한국주택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4: 민간주택건설업의 역할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 대한주택공사.

36.

대한주택공사. 1986•1987. 『주택통계편람』. 서울: 대한주택공사.

37.

대한주택공사. 1992. 『대한주택공사 30년사』. 서울: 대한주택공사.

38.

박상현. 2012. 『신자유주의와 현대 자본주의 국가의 변화: 세계헤게모니 국가 미국을중심으로』. 서울: 백산서당.

39.

손낙구. 2008. 『부동산 계급사회』. 서울: 후마니타스.

40.

손정목. 2003.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3: 서울 격동의 50년과 나의 증언』. 서울: 한울.

41.

신진욱•이은지. 2012. 「금융화 시대의 주택체제 변동의 네 가지 경로: 국제 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 주택불평등 구조의 특성」. ≪경제와사회≫, 95호, 218∼253쪽.

42.

엥겔스, 프리드리히(Friedrich Engels). 1990. 「주택 문제에 대하여」.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4』. 최인호•김석진 옮김. 서울: 박종철출판사, 163∼267쪽.

43.

오성훈•송영일•손정락. 2005. 「주거복지와 한국주택공사의 문제」. 홍성태 엮음. 『개발공사와 토건국가: 개발공사의 생태민주적 개혁과 생태사회의 전망』. 파주:한울, 210∼241쪽.

44.

이석희•김수현. 2014. 「한국 주택체제의 성격과 변화: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의 특성을 중심으로」. ≪공간과사회≫, 통권 48호, 5∼37쪽.

45.

이정전. 2007. 『전정판 토지경제학』. 서울: 박영사.

46.

이진순. 1991. 「조세정책」. 한국재정40년사편찬위원회 엮음. 『한국재정 40년사 제7권: 재정운용의 주요과제별 분석』.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167∼285쪽.

47.

임서환. 2005. 『주택정책 반세기: 정치경제환경 변화와 주택정책의 전개과정』. 서울:기문당.

48.

장세훈. 1996. 『자본의 토지 소유 및 개발에 관한 국가정책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49.

재무부. 1979. 『한국의 금융정책: 기본전략과 정책수단의 발전과정』. 서울: 재무부.

50.

전상인. 2009. 『아파트에 미치다: 현대 한국의 주거사회학』. 서울: 이숲.

51.

정희남•김승종•박동길•周藤利一•맥클러스키(W. McCluskey)•코넬란(O. Connellan). 2003. 『토지에 대한 개발이익환수제도의 개편방안』. 안양: 국토연구원.

52.

총무처. 1981.6.23. 「무주택공무원 주택 마련 사업협조」. 국가기록원 기록물철(DA1076414).

53.

하성규. 2006. 『주택정책론』. 서울: 박영사.

54.

한국조세연구원. 2002. 『한국조세정책 50년』. 서울: 한국조세연구원.

55.

한국주택은행. 1992. 『주택배분의 기준과 정책』. 서울: 한국주택은행.

56.

한국주택은행. 1997. 『한국주택은행 30년사』. 서울: 한국주택은행.

57.

현대건설주식회사. 1977.9.1 「해외취업 근로자를 위한 주택 마련 및 재산형성 저축에대한 건의사항」. 국가기록원 기록물철(DA0224895).

58.

홍성태. 2005. 「개발국가와 토건국가: 개발독재와 고도성장의 구조적 유산」. 홍성태엮음. 『개발공사와 토건국가: 개발공사의 생태민주적 개혁과 생태사회의 전망』. 파주: 한울, 9∼36쪽.

59.

홍성태. 2011. 『토건국가를 개혁하라』. 파주: 한울.

60.

Amenta, Edwin. 1998. Bold Relief: Institutional Politics and the Origins of Modern American Social Policy.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1.

Bourne, Larry S. 1981. The Geography of Housing. London: Arnold.

62.

Burgess, Rod. 1978. “Petty Commodity Housing or Dweller Control? A Critique of John Turner’s Views on Housing Policy.” World Development, 6(9/10), pp.1105∼1133.

63.

Castells, Manuel. 1978. City, Class and Power. London: Macmillan.

64.

Castles, Francis G. 1998. “The Really Big Trade-Off: Home Ownership and the Welfare State in the New World and the Old.” Acta Politica, 33(1), pp.5∼19.

65.

Chiu, Rebecca L. H. 2006.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Economic Performance and the Housing Markets of the Asian Tigers since the Financial Crisis.” Housing Finance International, 20(3), pp.12∼17.

66.

Chua, Beng Huat. 1997. Political Legitimacy and Housing: Stakeholding in Singapore. London:Routledge.

67.

De Angelis, Massimo. 2000. Keynesianism, Social Conflict, and Political Economy. Basingstoke:Palgrave Macmillan.

68.

Doling, John. 1999. “Housing Policies and the Little Tigers: How Do They Compare with Other Industrialised Countries?” Housing Studies, 14(2), pp.229∼250.

69.

Doling, John. 2002. “The South and East Asian Housing Policy Model.” in Razali Agus, John Doling and Dong-Sung, Lee(eds.). Housing Policy Systems in South and East Asia.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pp.178∼188.

70.

Gough, Ian. 1998. “Social Policy and Economic Policy.” in Pete Alcock, Abgus Erskine, and Margaret May(eds.). The Student’s Companion to Social Policy. Oxford: Malden.

71.

Groves, Richard, Alan Murie and Christopher Watson(eds.). 2007. Housing and the New Welfare State: Perspectives from East Asia and Europe. Aldershot: Ashgate.

72.

Harloe, Michael. 1995. The People’s Home: Social Rented Housing in Europe and America. Oxford and Cambridge: Blackwell.

73.

Hodkinson, Stuart. 2012. “The Return of the housing question.” Ephemera: Theory and Politics in Organization, 12(4), pp.423∼444.

74.

Hoekstra, Joris. 2003. “Housing and the Welfare State in the Netherlands: An Application of Esping-Andersen’s Typology.” Housing, Theory and Society, 20(2), pp.58∼71.

75.

Hoekstra, Joris. 2010. Divergence in European Welfare and Housing Systems. Amsterdam: IOS Press.

76.

Holliday, Ian. 2000. “Productivist welfare capitalism: Social policy in East Asia.” Political Studies, 48(4), pp.706∼723.

77.

Kemeny, Jim. 1980. “Home Ownership and Privatiz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4(3), pp.372∼388.

78.

Kemeny, Jim. 1992. Housing and Social Theory. London: Routledge.

79.

Kemeny, Jim. 1995. From Public Housing to the Social Market. London: Routledge.

80.

Korpi, Walter. 1978. The Working Class in Welfare Capitalism: Work, Unions, and Politics in Sweden. London and Boston: Routledge & Kegan Paul.

81.

Lee, James, Ray Forrest, and Wai Keung Tam. 2003. “Home-ownership in East and South East Asia: Market, State and Institutions.” in Ray Forrest and James Lee(eds.). Housing and Social Change: East-West Perspectiv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20∼45.

82.

Martin, Isaac William. 2008. The Permanent Tax Revolt: How the Property Tax Transformed American Politics.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83.

PADCO(Planning and Development Collaborative International). 1977. A Case Study of the Korean Housing Investment Guaranty Program 1971-1977. presented for Office of Housing,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84.

Park, Bae-Gyoon. 1998. “Where Do Tigers Sleep at Night? The State’ s Role in Housing Policy in South Korea and Singapore.” Economic Geography, 74(3), pp.272∼288.

85.

Ronald, Richard. 2007. “Comparing Homeowner Societies: Can We Construct an East-West Model?” Housing Studies, 22(4), pp.473∼493.

86.

Ronald, Richard and John Doling. 2010. “Shifting East Asian Approaches to Home Ownership and the Housing Welfare Pillar.” European Journal of Housing Policy, 10(3), pp.233∼254.

87.

Ronald, Richard and John Doling. 2002. “Testing Home Ownership as the Cornerstone of Welfare: Lessons from East Asia for the West.” Housing Studies, 27(7), pp.940∼961.

88.

Ronald, Richard and Kyung, Shinwon. 2013. “Housing System Transformations in Japan and South Korea: Divergent Responses to Neo-liberal Forces.”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43(3), pp.1∼23.

89.

Skocpol, Theda. 1988. “The Limits of the New Deal System and the Roots of Contemporary Welfare Dilemmas.” in Margaret Weir, Ann Shola Orloff and Theda Skocpol(eds.). The Politics of Social Policy in the United States.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293∼311.

90.

Turner, John F. C. 1972. “Housing as a Verb.” in John F. C. Turner and Robert Fichter(eds.). Freedom to Build: Dweller Control of the Housing Process. New York:Collier Macmillan, pp.148∼175.

91.

Weir, Margaret, Ann Shola Orloff and Theda Skocpol. 1988. “Introduction: Understanding American Social Policy.” The Politics of Social Policy in the United States.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92.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main.html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