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지역소득의 형태에 따라 상이한 지역 간 격차의 상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시론 인 차원에서 이를 해명하기 해 지역 간 험공유의 개념을 도입하고, 1인당 GRDP 항등식의 분산 분해를 통해 생산소득과 지출소득 간의 격차가 완화되는 기 제를 악하고, 이를 실증으로 분석한다. 지역 간 험공유에 한 실증분석 결 과 지역 차원에서 신용과 자본시장과 같은 시장기반 경로가 소득충격을 흡수하는 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정부의 재분배 경로도 이에 못지않게 요 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다소 경기 순응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차이는 자본시장 경로의 차이로 드러나는데, 자에서 이 경로의 역할이 매우 요하다. 반면에 후자에서는 조세·이과 신용시장 경로가 더 요하다. 이러한 분석 결과 는 우리나라의 지역문제가 단순히 일부 지역, 특히 수도권으로의 집 문제만이 아니라 구조 문제와 연되어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There are different regional disparities dependent upon the type of regional income.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inter-regional risk sharing in order to clarify this and grasp the mechanism by which the gap between production income and expenditure income(consumption) is relaxed through the variance decomposition of GRDP identity, and analyze it empirically. An empirical analysis of risk sharing shows that market-based channels such as credit and capital markets play an important role in absorbing shocks to income at the regional level. Also, the redistribution channel of the government also plays a significant role, but it appears to be pro-cyclic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pital region and the non-capital regions in risk sharing is contrasted with the difference of the capital market channel. In the former, this channel plays a very important role, but the tax and transfer and credit market channels are more important in the latter. This analysis implies that the regional problem in Korea is related not only to regional concentration in the Capital region, but also to structural problems.
김광호. 2008. 「지역개발 정책의 목표와 전략 재정립」. 고영선 엮음. 『지역개발정책의방향과 전략』, 21∼76쪽.
김종일. 2008. 「지역경제력 격차에 관한 연구」. 고영선 엮음. 『지역개발정책의 방향과전략』, 77∼135쪽.
문형표. 2003. 「지역 간 형평성과 재정분권화」. 문형표 엮음. 『2003년도 국가예산과정책목표』. 한국개발연구원, 49∼83쪽.
박경. 2011. 「우리나라 지역 간 소득의 역외 유출 현상: 충남을 중심으로」. ≪공간과사회≫, 제38호, 83∼113쪽.
정준호•김동수•변창욱. 2012. 「역외 소득의 유출입을 고려한 지역 간 소득격차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ISSUE PAPER≫, 2012-293. 산업연구원.
통계청. 2013. 『2013년 지역소득통계』. 통계청.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2011. 『충남지역 경제의 특징 및 발전방향』.
한국은행. 2015. 『우리나라의 국민계정체계』. 한국은행.
허문구•이상호•김낙현. 2015. 『지역소득 역외유출경로 추적과 생산•분배소득 격차요인 분석』. 조사연구자료. 한국은행 경남본부.
Areaza, A., B. Sorensen and O. Yosha. 1998. “Consumption Smoothing through Fiseal Poliey in OECD and EU Countries.” NBER Working Paper No. 6372.
Asdrubali, P. and Soyoung Kim. 2004. “Dynamic Risk sharing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51(4), pp.809∼836.
Asdrubali, P., B. Sorensen and O. Yosha. 1996. “Channels of Interstate Risk Sharing: United States: 1963-1990.”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02, pp.293∼328.
Becker, S. and M. Hoffmann. 2003. “Intra-and international risk-sharing in the short run and the long run.” CESifo Working Paper, No. 1111.
Foster, J., S. Seth, M. Lokshin, and Z. Sajaia. 2013. A Unified Approach to Measuring Poverty and Inequality: Theory and Practice. Washington D. C.: World Bank.
Lanhard, V. and M. Sawicki. 2006. “International and Intranational Consumption Risk Sharing: the Evidence for the United Kingdom and OECD.” Bank of England. Working Paper No.302.
Li, J. 2012. “On the Empirics of China’s Inter-regional Risk Sharing,” MIRA Paper No. 37805.
Melitz, J. and F. Zumer. 1999. “Interregional and international risk-sharing and lessons for EMU.” Carnegie-Rochester Series for Public Policy, 51, pp.149∼188.
Sorensen, B. and O. Yosha. 1998. “International Risk Sharing and European Monetary Unific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45(2), pp.211∼238.
Sorensen, B. and O. Yosha. 2000. “Is Risk Sharing in the United States: A Regional Phenomenon?” Economic Review Second Quarter, Federal Reserve Bank of Kansas City, pp.3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