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지방소멸과 저성장 시대의 국토공간전략: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Future Prospects and Strategies for National Territorial Development in an Era of New Normal: Implications of Japan’s Compact and Network Strategie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8, v.28 no.2, pp.45-70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2.45
임보영 (중앙대학교)
이경수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마강래 (중앙대학교)

초록

일본에서는 ‘대도시권화’와 ‘지방소멸’이라는 변화에 대응한 공간전략의 마련에 고심해왔다. 2000년대 초반부터는 인구 감소, 장기불황, 전통산업 쇠퇴에 관한 위 기의식이 더욱 고조되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국토공간전략을 준비해 왔다. 우리나라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인구 감소, 저성장, 산업구조 변화 등과 같은 대내외적 여건 변화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저성장, 저출산·고령화, 산업 구조 변화 등의 메가트렌드는 우리 국토공간의 유례없는 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상 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의 국토, 도시 및 지역정책에 관한 노력을 고찰하고, 우리 나라의 국토 및 도시의 공간구조 재편 논의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먼 저, 본 연구는 일본이 1990년대부터 시작된 경제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여 러 노력들을 고찰하며, 이러한 노력이 ‘공간전략’과 긴밀히 맞물려 있음을 고찰했 다. 특히, 일본의 대도시권, 중소도시, 농산어촌의 공간 정책이 ‘압축+연계 전략’ 속에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 지를 검토했다. 이후, 일본의 국토공간략 수립에 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토공간 략 구상에 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큰 방향을 정리했다. 첫째로, ‘성장하는 도 시권’과 ‘축소·쇠퇴하는 소도시’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공간략을 구상해야 한다. 둘째, 압축+연계 공간략을 기반으로 한 국토공간략은 국가 지역 경제 정책과의 정합성을 높이도록 구상되어야 한다. 이상의 국토공간략에 한 논의 는 성장, 출산·고령화라는 거한 변화 속에서 도시 간 상생발의 미래상을 제시하고 있다는 에서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도시권, 소도시, 인구 감소, 압축+연계 략, 공간략, Metropolitan Area,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Declining Population, Compact and Network, Spatial Strategies

Abstract

In Japan, there has been a huge migration of young people from regional areas to three major metropolitan areas of Tokyo, Osaka and Nagoya from the 1950 ’s.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regional areas struggling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public or private services due to insufficient population density. A gradual increase in regional polarization has been reinforced by decreasing job opportunities in non-metropolitan regions. Japanese government introduced the spatial concept of “compact and networks” by developing ‘Grand Design of National Spatial Development towards 2050’ which aims to respond to the challenges Japan faces including an unprecedented population decreasing society, as well as economic depression. South Korea have the similar problems as the Japan has undergone in the several decad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ich discussion of spatial development strategies by reviewing Japanese government’s recent efforts to reshape spatial structures. This paper suggests that firstly, spatial development strategies should reinforce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growing metropolitan areas and adjacent areas in decline. Secondly,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need to be tightly linked with ‘compact and networks’ spatial strategies in order to not only develop the local economies, but als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entire nation.

keywords
도시권, 소도시, 인구 감소, 압축+연계 략, 공간략, Metropolitan Area,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Declining Population, Compact and Network, Spatial Strategies

참고문헌

1.

강명구. 2012. 「콤팩트시티(압축도시)형 도시재생을 둘러싼 사회적 후생과 개별적 이해 간의 근원적 갈등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4권, 4호, 27∼40쪽.

2.

고주연•이승일. 2017. 「일본의 지속가능 도시재생 계획에 관한 사례 연구: 입지적정화계획의 도시기능유도구역 설정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52권 6호, 5∼25쪽.

3.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4. 『낙후지역개발사업의 통합에 관한 기초연구』.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연구보고서.

4.

국토교통부. 2017.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첫 발을 내딛습니다』. 2017.9.

5.

국토연구원. 1998. 『일본의 21세기 국토 그랜드디자인: 지역의 자립촉진과 아름다운국토의 창조』.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6.

국토연구원. 2014. 『국토관리의 지속가능성 제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7.

국토연구원. 2016. 『미래 대도시권 전망과 대응전략 연구』. 국토연구원.

8.

권영섭 외. 2016. 『국토계획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평가제도 발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9.

김양희•김은지. 2009. 『최근 일본경제의 디플레이션 실태와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0.

김은혜•박배균. 2016. 「2000년대 이후, 일본의 국가 스케일 재편과 특구 전략」. ≪공간과사회≫, 제26권 2호, 10∼43쪽.

11.

김종학•정진규•김준기•배윤경•최재성. 2016. 『호남KTX 개통에 따른 국토공간 이용변화 연구』. 국토연구원.

12.

김준형. 2012. 「계획인구는 왜 정확히 추정되지 못하는가?: 경북의 23개 시•군을 대상으로」. ≪국토연구≫, 제72권, 141∼160쪽.

13.

김태환•송지은. 2017. 「광역도시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계획체계 발전 방향」. 국토정책 Brief 629, 1∼8쪽.

14.

김철영•박찬돈. 2014. 「민간 도시재생사업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일본 동경의 미드타운(Midtown)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9권4호, 221∼231쪽.

15.

마상진•남기천•최윤지. 2016. 「역 귀농• 귀촌 의향 영향 요인 분석」. ≪농촌사회≫, 제26권 1호, 37∼63쪽.

16.

박상준. 2016. 『불황터널』. 매일경제신문사.

17.

박세훈•조만석•송지은•임준홍. 2017. 『인구 감소시대 지방중소도시 활력증진을 위한정책과제』. 국토연구원.

18.

박승현. 2016. 「‘지방소멸’과 ‘지방창생’: ‘재후(災後)’의 관점으로 본 ‘마스다 보고서’」. ≪일본비평≫, 제16호, 158∼183쪽.

19.

박재곤 외. 2014. 『지역산업정책의 주요 이슈 분석과 개선방향(연구보고서 2014-713)』. 산업연구원(KIET).

20.

변필성. 2014. 「일본의 과소지역 정책동향과 시사점」. ≪국토정책 Brief≫, 492, 1∼6쪽.

21.

서연미•김광익•박정일•홍사흠. 2016. 『경제산업구조 재편에 대응한 대도시권 발전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22.

성은영•임유경•심경미•윤주선. 2015.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3.

송태민•이중순. 2010. 「일본의 저출산•고령화 현황과 대책」. ≪보건복지포럼≫, 제169호, 100∼116쪽.

24.

원광희•채성주•송창식. 2010. 『인구 감소시대 축소도시 활성화 전략: 한국의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충북연구원.

25.

이동우. 2013. 「외국의 대도시권 정책 동향과 시사점」. ≪도시문제≫, 제48권 537호, 100∼116쪽.

26.

이상호. 2016. 『한국의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27.

이용우•변필성•김동한•임지영•임용호•유현아. 2016. 「미래 대도시권 전망과 대응전략 연구」. ≪국토정책 Brief≫, 521, 1∼12쪽.

28.

이용우•변필성•김동한•임지영•임용호•유현아. 2018. 「대도시권 미래와 역할을 제시하는 균형발전정책 필요」. ≪국토정책Brief≫, 645, 1∼12쪽.

29.

이정환. 2017. 「인구 감소와 지속가능한 지방만들기-지방소멸 (地方消滅) 을 둘러싼논점」. ≪일본공간≫, 제21권, 194∼223쪽.

30.

이홍배. 2003. 『일본 지역특구의 특징과 한국에의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지역문제 Close-up.

31.

임상연. 2017. 「일본 지역특구의 특징과 한국에의 시사점」.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 2017.6.

32.

임정민. 2017. 「‘콤팩트시티+네트워크’의 마을만들기,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 ≪도시정보≫, 제424호.

33.

장민영•송혜승•이명훈. 2014. 「일본 지역활성화 정책의 관리체계 및 추진방향에 대한고찰」. ≪국토계획≫, 제50권 6호, 91∼107쪽.

34.

장철순. 2009. 「일본 구조개혁특구사업의 성과와 시사점」. ≪국토≫, 통권336호, 44∼50쪽.

35.

조경엽•허원제. 2012. 『일본의 “잃어버린 20년”과 한국에의 시사점』.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36.

조윤애. 2014. 「압축화경제 전략을 통한 도시재생방안」. ≪국토계획≫, 제49권 5호, 67∼80쪽.

37.

차미숙. 2016. 「인구 감소시대, 일본의 지방창생전략과 지역공간」. ≪국토정책Brief≫, 555, 1∼8쪽.

38.

최용준•강태환•임준홍. 2008. 「일본 지방재생전략이 우리나라 지방 중소도시재생에주는 시사점」. ≪지역정책연구≫, 제19권 2호, 113∼130쪽.

39.

최해옥•최병삼•김석관. 2017. 「일본의 제4차 산업혁명 대응 정책과 시사점」. ≪동향과 이슈≫, 제30호, 1∼25쪽.

40.

충남발전연구원. 2008.4. 「일본의 지방 중소도시 재생정책 및 사례」. 충남발전연구원국제세미나 발표자료.

41.

허재완. 2009. 「글로벌 경쟁시대, 서울대도시권의 역할과 과제」. ≪서울도시연구≫, 제10권 4호, 3∼14쪽.

42.

国土交通省. 2014a. 「国土のグランドデザイン2050」.

43.

国土交通省. 2014b. 「地域公共交通確保維持事業」.

44.

国土交通省. 2016. 「立地適正化計画作成の手引き及びQ&Aについて」.

45.

東海ライフスタイルラボ. 2017. 「暮らし&街レポート: リニア中央新幹線~中部圏における展望と課題」.

46.

http://www.mlit.go.jp/

47.

http://www.aurum.re.kr/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