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Making ‘My home’: spatial strategies of young women as housing precariat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8, v.28 no.3, pp.271-301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3.271

Abstract

불안계급 논의는 불안정한 노동자들을 하나의 계급으로 명명하여 새로운 정치적 주체 형성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노동 시장 불안정과 연결된 심리적 양상을드러냈다. 하지만 기존의 논의는 불안계급을 형성하는 요인으로 젠더를 고려하지않았으며, 불안정성의 양상을 강조하여 불안계급의 주체성을 간과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불안정성(precarity)과 불안계급(precariat) 개념을 이용해 20대 초반~30대 초반 청년 여성들의 주거 경험을 분석하여 이들을 주거불안계급으로 개념화하고, 청년 여성들이 주거불안계급을 형성하는 요인, 이들이 경험하는 주거불안의 양상과 공간전략을 조명한다. 주거불안계급은 경제적 불안정성과 도시 공간의 젠더 편향으로 인해 편안함과 안전함을느끼며 사생활을 보호받을 수 있는 주거 공간의 부재로 불안을 느끼는 집단이다. 신자유주의로 인한 경제적 불안정성 증가와 한국의 가부장적 역사·문화적 맥락이결합하면서 청년 여성들은 주거불안계급을 형성하고 있는데, 생애과정의 규범적이행을 당연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이들의 주거불안은 일시적인 문제로 인식되어주거복지 정책에서도 사각지대에 위치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청년 여성들은 주거불안계급의 위치에 안주하지 않고 이동 전략, 공동 주거, 대안적 장소 만들기 등다양한 공간전략을 실천함으로써 독립 주거 공간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주체적인면모를 보인다. 본 논문은 그동안 논의의 주변부에 머물렀던 한국의 청년 여성들이 경험하는 주거 불안정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주거복지정책에 성 주류화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
불안계급, 주거불안계급, 공간전략, 청년, 여성, precariat, housing precariat, spatial strategy, youth, female

Reference

1.

곽노완. 2013. 「노동의 재구성과 기본소득」. ≪마르크스주의 연구≫, 10(3), 94~114쪽.

2.

국토교통부. 2017. 「사회통합형 주거사다리 구축을 위한 주거복지로드맵」.

3.

김두나. 2008. 「‘홈리스’여성을 찾아서」. ≪환경과생명≫, 56, 166~176쪽.

4.

김정선. 2012.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변화하는 ‘home’의 의미와 시민으로 주체되기」. ≪여성학논집≫ 29, 61~105쪽.

5.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 2007. 비혼 1인 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 조사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

노미선. 2008. 「고학력 30대 비혼여성의 성별/나이의 위치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여성학과 석사학위논문.

7.

박미선. 2017. 「한국 주거불안계급의 특징과 양상: 1인 청년을 중심으로」. ≪공간과사회≫, 27(4), 110∼140쪽.

8.

박미선·강미나·임상연. 2017. 1인 청년가구를 한 주거복지 정책 방향 . 국토연구원.

9.

박인권. 2017. 「도시의 사회적 약자 불안정화 과정: 불안계급 이론의 비판과 확장」. ≪공간과 사회≫, 27(4), 36∼78쪽.

10.

백미록. 2015. 「주거 불안을 통해 본 20, 30대 비혼 여성의 주체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여성학과 석사학위논문.

11.

송제숙. 2010. 혼자 살아가기: 비혼여성, 임대주택, 민주화 이후의 정동 . 동녘.

12.

신경아. 2016.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여덟 가지 질문」. ≪페미니즘 연구≫, 16(1), 321~359쪽.

13.

신혜란. 2017. 「이동통치와 불안계급의 공간전략」. ≪공간과 사회≫, 62, 9~35쪽.

14.

안숙영. 2011. 「젠더와 공간의 만남을 위한 시론」. ≪여성학연구≫, 21(2), 7~37쪽.

15.

양동옥. 2015. 「성행동 상황에서 여성의 거절 이유 평가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0(2), 205~224쪽.

16.

이광일. 2013. 「신자유주의 지구화시대, 프레카리아트의 형성과 ‘해방의 정치’」. ≪마르크스주의 연구≫, 10(3), 115∼143쪽.

17.

이삼식. 2015.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

이순미. 2015. 「외환위기 이후 노동시장의 성불평등」. ≪한국여성학≫, 31(2), 91~129쪽.

19.

이영아. 2017. 「불안 공간과 도시 빈곤층의 불안한 삶」. ≪공간과 사회≫, 62, 79~109쪽.

20.

이현재. 2012. 「여성 “공간”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젠더와 문화≫, 5(1), 41~69쪽.

21.

장봄·천주희. 2014. 「안녕! 청년 프레카리아트」. ≪문화과학≫, 78, 57~72쪽.

22.

조순경. 2011. 노동의 유연화와 가부장제 . 푸른 사상사.

23.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2017년 성별임금격차 변화와 여성 내 임금 불평등 경향분석」.

24.

Banki, S. 2013. “Precarity of place: A complement to the growing precariat literature.”Global Discourse, 3(3-4), pp. 450∼463.

25.

Castells, M. 1977. The Urban Question: A Marxist Approach. Cambridge, MA: MIT Press.

26.

Choi, S., Yang, D., & Youn, G. 2015. “Late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ir peers who report a large number of sex partners.” Psychology and Behavioral Science, 4, pp. 1~4.

27.

Colic-Peisker, V., Ong, R., & Wood, G. 2015. “Asset poverty, precarious housing and ontological security in older age: an Australian cas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Housing Policy, 15(2), pp. 167∼186.

28.

Finnerty, J. and O’Connell, C. 2017. “Changing precarities in the Irish housing system:supplier-generated changes in security of tenure for domiciled households.” Global Discourse, 7(4), pp. 473~488.

29.

Foti, A. 2004. “Precarity and N/european Identity. Interview with Merjin Oudenampsen and Gavin Sullivan.” Greenpepper Magazine.

30.

Frase, P. 2014. “The Precariat: A Class or Condition?” New Labor Forum, 22(2), pp. 11∼14.

31.

Greenop, K. 2017. “Understanding housing precarity: more than access to a shelter, housing is essential for a decent life.” Global Discourse, 7(4), pp. 489~495.

32.

Janelli, R. and D. Janelli. 1992. Ancestor worship and Korean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33.

Johnston, L. and G. Valentine. 1995. “Wherever I lay my girlfriend, that’s my home.”Mapping desire: Geographies of sexualities, pp. 99~113.

34.

Köppe, S. 2017. “Britain’s new housing precariat: housing wealth pathways out of homeownership.” International Journal of Housing Policy, 17(2), pp. 177~200.

35.

Lewis, H. et al. 2015. “Hyper-precarious lives: Migrants, work and forced labour in the Global North.”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9(5), pp. 580∼600.

36.

Mitchell, K. 2000. “The culture of urban space.” Urban geography, 21(5), pp. 443~449.

37.

Neilson, B. and Rossiter, N. 2008. “Precarity as a Political Concept, Or, Fordism as Exception.” Theory, Culture & Society, 25(7-8), pp. 51∼72.

38.

Pitrou, A. 1978. La vie précaire, des familles face à leurs difficultés. Paris, France: Études CNAF.

39.

Rose, G. 1993. Feminism & geography: The limits of geographical knowledg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0.

Rose, G. 1995. “Place and identity: a sense of place.” A Place in the World, pp. 87~132.

41.

Song, J. 2010. “‘A room of one’s own’: the meaning of spatial autonomy for unmarried women in neoliberal South Korea.” Gender, Place & Culture, 17(2), pp. 131~149.

42.

Standing, G. 2011. The Precariat: The New Dangerous Class. London: Bloomsbury Academic.

43.

Standing, G. 2012. “The Precariat: From Denizens to Citizens?” Polity, 44(4), pp. 588∼608.

44.

Waite, L. 2009. “A Place and Space for a Critical Geography of Precarity?” Geography Compass, 3(1), pp. 412∼433.

45.

Waldron, J. 1991. Homelessness and the Issue of Freedom. UCLA L. Rev., 39, p. 295.

46.

White, N. R. 2002. “‘Not Under My Roof!’ Young People’s Experience of Home.” Youth & Society, 34(2), pp. 214~231.

47.

≪국민일보≫. 2017.12.21. “특정인 점수 조작·전형 바꾸기도 … 30명 기소”.

48.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870365&code=11131900&cp=nv(검색일: 2018.6.30)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