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안정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Contribution of Social Housing to Residential Stability in Korea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8, v.28 no.4, pp.142-175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4.142
박준 (서울시립대학교)
김현정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이신 (서울시립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유형의 임대주택 간 주거안정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황 자료 분석, 문헌 분석, 전문가 FGI, AHP 전문가 설문조사 방법 등을 활용해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안정효과 종합지표를 도출했다. 문헌분석과 전문가 FGI를 통해 주거안정효과의 상위요인으로 주거비 부담, 주거 점유안정, 입주자 자격 제한 등 3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들에 대한 하위요인으로는임대료 수준, 보증금 수준, 면적, 운영 기간, 거주 기한, 임대료 상승률, 주택소유여부, 소득수준, 특수계층 여부 등 총 9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후 AHP 전문가설문조사를 통해 각 요인별 가중치와 주거안정 기여도 점수를 도출하고 이를 종합해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안정효과 종합지표를 도출했다. 분석 결과 영구 임대를 선두로 매입 임대, 50년 임대, 국민 임대 등이 주거안정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5년 임대, 舊준공공 임대 및 舊뉴스테이 등의 민간 임대는 주거안정효과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정된 재원 및 정책 수단을 고려할 때 임대주택 지원정책은 이러한 유형별 주거안정효과에 기반을 두고 정비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주거안정효과에 기초한 임대주택 지원정책의 체계화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임대주택, 주거안정효과, 지표, AHP, social housing, residential stability, index, AHP

참고문헌

1.

고철. 1991. 「공공임대주택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

국토교통부. 2016. 「2016 주택도시기금 업무편람」. 국토교통부.

3.

국토교통부. 2016. 「2016 주택업무편람」. 국토교통부.

4.

국토교통부. 2017. 「2017 주택업무편람」. 국토교통부.

5.

김선미·최옥금. 2009. 「근로빈곤층의 주거실태 및 주거안정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6권, 213∼238쪽.

6.

김태섭·김지은·권성문·황은정·이재형. 2017. 「민간건설 공공임대주택 적정임대료 산정체계 및 임대료 관련 분쟁 조정반안 연구」. 주택산업연구원.

7.

김혜승·김태환. 2008. 「최저주거기준과 최저주거비부담을 고려한 주거복지정책 소요 추정」. ≪국토연구≫, 통권 제59호, 223∼245쪽.

8.

김혜승·홍형옥. 2003. 「저소득층의 주거비지불능력을 고려한 주거비보조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통권 제39호, 85∼102쪽.

9.

김혜승. 2007. 「최저주거기준을 활용한 2006년 주거복지 소요 추정 연구」. 국토연구원.

10.

박소연·정승우·나인수·이경훈. 2016. 「호주의 공공임대주택 정책 및 주요 특성 연구」. ≪국토연구≫, 통권 제89호, 131∼148쪽.

11.

박윤영. 2007. 「경기도 영구임대주택 입주민의 주거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0집 제3호, 99∼129쪽.

12.

박은철·이재수·이시우·이자은. 2015. 「장기공공임대주택의 입주자격 및 임대료체계 개선방향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8권 제1호, 1∼31쪽.

13.

박천규. 2006. 「Housing Welfare Indicators for the Quality of Life in Korea」. 주거 서비스 수준과 주거지표에 관한 국제 세미나. 국토연구원과 한국주택학회 공동.

14.

오동훈. 1997. 「Housing Affordability and Urban Renters Characteristics: A Budget Share Approach」. ≪국토계획≫, 제32권 제5호, 317∼329쪽.

15.

오정석·심영미. 2009. 「주거복지향상을 위한 임대주택의 관리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제27권 제1호, 69∼87쪽.

16.

윤주현. 2004. 「Housing Service in Korea and Housing Policy Implications」. 주거서비스 수준과 주거지표에 관한 국제 세미나. 국토연구원과 한국주택학회 공동.

17.

윤주현. 2005. 「주거복지지표의 개발」. 국토연구원.

18.

윤주현·김혜승. 1997. 「주거복지제도의 평가와 개선방안」. 국토연구원.

19.

이종권·김경미·권치홍·박상학. 2013. 「공공임대주택 50년 성과와 과제」. 토지주택연구원.

20.

진미윤·한도용. 2016. 「공공임대주택 임대조건 조정과 효과 분석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21.

홍형옥·채혜원·최은희. 2008. 「주거복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I」.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9권 제5호, 77∼84쪽.

22.

Department of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s(DCLG). 2015. “English Housing Survey: Households”.

23.

Morris, E. W. and M. Winter. 1978. Housing, family, and society. John Wiley and Sons.

24.

국토교통 통계누리 http://stat.molit.go.kr.

25.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6.

국토교통부 LH 주거복지 포털 http://myhome.go.kr.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