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This study examines core features of the ‘homeland investment’ of ethnic Korean entrepreneurs and responses of the Korean society. It is well-known that the postcolonial linkage of the Korean economy with Japanese capitalism was a major factor for the start of Korea’s export-led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 in which process ethnic Korean entrepreneurs in Japan played a central role. This paper selects three major investment projects of ethnic Koreans in Japan in 1960s and analyses specific motivations, strategies and varied outcomes of the model cases: Fist one is Korea export industrial complex or so-called ‘Guro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Seoul-Incheon Industrial Region, and second one is Masan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Southeastern Maritime Industrial Region. Third one is Gumi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Gyeonsangbukdo province. These three different examples of the historical makings of industrial complexes can be contrasted sharply in terms of the process of the mobilization of the ‘homeland investment’ of ethnic Korean entrepreneur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thnic Korean entrepreneurs, local society and central government.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hree cases, this study reveals not only the motivations and strategies of homeland investment by ethnic Korean entrepreneurs but addresses the socio-cultural results and impacts of the ‘homeland investment’ of ethnic Korean entrepreneurs on Korean society of the 1960s.
≪경향신문≫
≪동아일보≫
≪매일경제신문≫
강상중·현무암. 이목 옮김. 2012. 『기시 노부스케와 박정희』. 서울: 책과함께.
구미수출산업공단. 1991. 『龜尾工團二十年史』. 대구: 구미수출산업공단.
국토개발연구원. 1996. 『국토50년: 21세기를 향한 회고와 전망』. 서울: 서울프레스.
권혁태. 2007. 「‘재일조선인’과 한국사회-한국사회는 재일조선인을 어떻게 ‘표상’해왔는가」. ≪역사비평≫ 78, 234-267.
기미야 다다시(木宮正史). 2008. 『박정희 정부의 선택: 1960년대 수출지향형 공업화와 냉전체제』. 서울: 후마니타스.
김인덕. 2014.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과 구로공단-해방 이후 재일동포의 국내 경제활동과 관련하여」. ≪숭실사학≫ 32.
김헌규. 2012. 『공업도시 50년 ‘촌락’에서 ‘산업수도’로』(울산학연구보고서). 울산발전연구원.
김형아 지음. 신명주 옮김. 2005. 『박정희의 양날의 선택』. 서울: 일조각.
나가노 신이치로(長野慎一郎) 엮음. 2010. 『한국의 경제발전과 재일한국기업인』. 서울: 말글빛냄.
나가노 신이치로. 2009. 『상호의존의 한일경제관계』. 서울: 이른아침.
류상영. 2003. 「한국의 경제개발과 1960년대 한일 경제관계: 민간 경제외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4(2), 291∼318쪽.
박기주 외. 2014. 『한국 중화학공업화와 사회의 변화』. 서울: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박배균·김동완 엮음. 2013. 『국가와 지역: 다중스케일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지역』. 서울: 알트.
박배균·장세훈·김동완 엮음. 2014. 『산업경관의 탄생』. 서울: 알트.
박배균·최영진. 2014. 「마산수출자유지역의 형성을 둘러싼 국가-지방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9(2), 113∼138쪽.
박영구. 2015.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공업별 연구: 제1차 금속공업/기계공업』. 서울: 해남.
서울특별시 구로구. 1997. 『九老區誌』. 서울: 구로구.
손정원. 2006. 「개발국가의 공간적 차원에 관한 연구: 1970년대 한국의 경험을 사례로」. ≪공간과 사회≫ 25, 41∼79쪽.
오원철. 2006.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서울: 동서문화사.
왕혜숙·김준수. 2015. 「한국의 발전국가와 정체성의 정치: 박정희 시기 재일교포 기업인들의 민족주의 담론과 인정투쟁」. ≪경제와 사회≫ 107, 244∼286쪽.
이병천 엮음. 2003. 『개발독재와 박정희 시대』. 서울: 창비.
이상철. 2008. 「마산 수출자유지역의 초기 발전 과정」. ≪경제발전연구≫ 14(2), 51∼90쪽.
이상철. 2012. 「수출산업단지의 형성과 변모-구로공단(1963∼1987년)」. ≪동향과 전망≫ 85, 223∼263쪽.
이원만. 1977. 『나의 政經五十年』. 서울: 코오롱20년사편찬위원회.
이헌창. 2016. 『한국경제통사(제7판)』. 서울: 해남.
장세훈. 2014. 「구로 수출산업공단 조성의 재해석」. ≪대한지리학회지≫ 49(2), 160∼177.
재일동포모국공적조사위원회. 2008. 『모국을 향한 재일동포의 100년 족적』. 서울: 재외동포재단.
전국경제인연합회40년사편찬위원회. 2001. 『全經聯四十年史 上卷』. 서울: 전국경제인연합회.
조석곤 엮음. 2005. 『1950~1960년대 한국형 발전모델의 원형과 그 변용과정』. 서울: 한울아카데미.
최영진. 2014. 「지리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창원공단 설립 전사(前史)」. ≪대한지리학회지≫ 49(2), 178∼199쪽.
최영진. 2015. 「한국 중화학공업화의 지리-정치경제학적 연구: 현대조선과 창원공단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통상산업부 마산수출자유지역관리소. 1997. 『馬山輸出自由地域 二十五年史』. 경남: 마산수출자유지역관리소.
허정도. 2005. 『전통도시의 식민지적 근대화: 일제강점기의 마산』. 서울: 신서원.
황진태·박배균. 2014. 「구미공단 형성의 다중스케일적 과정에 대한 연구: 1969-73년 구미공단 제1단지 조성과정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1∼27쪽.
安倍誠·金都亨 編. 2015. 『日韓関係史 1965-2015 Ⅱ 経済』. 東京: 東京大学出版会.
在日韓國人商工會連合會. 1982. 『韓商連20年史 1961~1982年』. 東京: 在日韓國人商工會連合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