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기업도시의 위기와 대응: 철강도시 포항의 도시 재활 실험

The Crisis and Responses of A Company City: An Experiment of Urban Revitalization in Steel City, Pohang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9, v.29 no.4, pp.195-241
https://doi.org/10.19097/kaser.2019.29.4.195
장세훈 (동아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산업도시인 포항을 사례로 도시정치적 관점에서 도시 쇠락의 위기 상황에서 도시 내 사회세력들이 어떻게 위기에 대응하는가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성장의 도시정치’와 구별되는 ‘위기의 도시정치’ 개념을 이론적으로 재구성하고, 이에 입각해서 도시 위기 상황에서 주요 이해집단들을 중심으로 한 위기 대응 체제의 구축과 이를 바탕으로 한 도시 재활성화 시도를 살펴볼 것이다. 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포항은 포항제철의 설립과 함께 전형적인 기업 지배 도시로 성장해 왔으나, 1990년대 후반 이후 정치·경제적 여건의 변화로 기업과 도시 모두 성장의 지체를 경험하는 저강도 위기 단계에 접어들었다. 이에 위기의 확산 및 심화를 저지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위기 대응에 나섰다.그러나 위기 대응은 사회적 통합과 연대에 기초한 것이 아니었다. 한편에서는 포스코가 기존의 철강산업 위주의 성장 노선을 공고히 하는 ‘성장의 도시정치’ 노선을 추구했고, 다른 한편에서는 포항시가 관·산·학이 연대하는 위기 대응 체제를 구축해서 탈산업화 전략을 통해 도시 위기에서 탈출하려는 ‘위기의 도시정치’ 노선을 추구했다. 이 같은 사회세력들의 균열과 위기 대응 전략의 경합은 기업도시의 위기를 극복하고 도시 재활의 대안을 구현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keywords
urban politics, company city, politics of urban crisis, urban revitalization, anti-crisis regime, POSCO, 도시정치, 기업도시, 위기의 정치, 도시 재활, 위기 대응 체제, 포항제철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major social forces try to respond to the urban crisis in Pohang, a leading industrial city of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politics. For this, I will theoretically reconstruct the conceptual framework of ‘politics of urban crisis’ in contrast to that of ‘politics of urban growth’ and explore how the main interest groups should construct the crisis-response regime and pursue the urban revit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Pohang has grown as a typical corporate-dominating city since the establishment of POSCO. But after the second half of 1990s the change of its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s brought the low-level crisis to Pohang, which means that the growth of the POSCO and the city was retarded. The main social forces took preemptive countermeasures to this weak crisis in order to prevent its expansion in advance. But the crisis response is not based on the social integration and solidarity among them. On the one hand, POSCO sought ‘politics of urban growth’ to stabilize the previous growth strategy focusing on strengthening the steel industry. And on the other hand, local government pursued ‘politics of urban crisis’, which means that local government tried to form the crisis-response regime among government, corporation and research group and escape from the urban crisis by means of de-industrialization strategy. These troubles among social forces and rivalries over crisis-response strategies are getting in the way of overcoming the urban crisis and realizing the alternatives of urban revitalization.

keywords
urban politics, company city, politics of urban crisis, urban revitalization, anti-crisis regime, POSCO, 도시정치, 기업도시, 위기의 정치, 도시 재활, 위기 대응 체제, 포항제철

참고문헌

1.

골드스타인, 에이미. 2019. 『(공장이 떠난 도시에서) 제인스빌 이야기』. 이세영 옮김. 세종서적.(Goldstein, Amy. 2017. Janesville: An American Story. New York: Simon & Schuster.)

2.

국토연구원(편). 2008. 『상전벽해 국토 60년』. 국토연구원.

3.

김무형. 2005. 「철강산업의 사양화에 따른 지역경제발전전략」. ≪아태연구≫ 4호, 71~97쪽.

4.

김영곤 외. 1991. 「포항 지역사회의 발전과 포항지역 기업의 과제」. ≪포항연구≫7호.

5.

김인영. 1995. 『박태준보다 나은 사람이 되시오』. 자작나무.

6.

김준한. 2011. 「한국 철강산업의 미래와 포스코의 글로벌 전략」.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31쪽.

7.

김현철. 2018a. 「위기를 기회로: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과정과 대응」. 『2018 한국지역고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39~352쪽.

8.

김현철. 2018b. “지엠의 글로벌 전략 변화는 성공적이었는가?」. ≪생산성논집> 32권4호, 141~158쪽.

9.

로간, 존 · 하비 몰로치. 2013. 『황금도시: 장소의 정치경제학』. 김준우 옮김.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Logan, John & Harvey Molotch. 1987. Urban Fortunes: The Political Economy of Place. Berkeley: Univ. of California Press.)

10.

문성후·박영렬. 2017. 「POSCO’s Growth History and Stakeholders’ Interests」. ≪경영사학≫ 32집 1호, 107~138쪽.

11.

박복재·우진경. 2011. 『(매력 있는 삶의 공간을 창조하는) 도시 브랜드 마케팅』. 광주:전남대학교 출판부.

12.

박양춘. 2001. 「울산 중화학공업의 재구조화 특성: IMF 체제 이후의 기업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권 2호, 17~34쪽.

13.

박양춘(편). 2003. 『지역경제의 재구조화와 도시 산업공간의 재편: 영남 지역 연구』. 한울아카데미.

14.

박영렬·김경찬·이경훈. 2009. 「글로벌 확장을 통한 포스코의 성장 전략」. ≪연세경영연구≫ 46권 1호, 119~149쪽.

15.

박재욱. 1996. 「대기업 주도형 도시정치의 특성」.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박준식. 2007. 「철강산업의 상생협력과 뉴패러다임」.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편), ≪한국노사관계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38쪽.

17.

서갑경(윤동진 옮김). 2011. 『철강왕 박태준: 경영 이야기』. 한언.

18.

서병철. 2011. 『포항철강공단 조성에 따른 지역사회의 변화와 원주민 공동체 해체의 기록』. 포항시(미발간 보고서).

19.

서병철. 2018. 「기업도시 포항의 도시레짐 변동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88. 『포항종합제철의 국민경제 기여 및 기업문화 연구』.

21.

서정일·남윤성. 2012. 「한국 기업의 기업 지배구조 개혁에 관한 사례 연구」. ≪전문경영인연구≫ 15권 3호, 343~373쪽.

22.

신희영. 2006. 「지역사회의 정치권력 구조 분석: 포항시를 중심으로」. ≪포항연구≫38호.

23.

신희영. 2008. 「도시의 성장지향적 정치와 정책 네트워크 형성 과정: 전략 관계적 접근」. ≪한국행정논집≫ 20권 2호, 437~469쪽.

24.

야하기 히로시. 2013. 『도시 축소의 시대』. 서금홍·오용식 옮김. 서울: 기문당.(矢作弘. 2009. 『都市縮小の時代』, 東京: 角川書店.)

25.

양승훈. 2019.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 산업도시 거제, 빛과 그림자』. 오월의봄.

26.

염미경. 2001. 『일본의 철강도시』. 경인문화사.

27.

염미경. 2003. 「지방산업도시 성장정치의 현재와 미래」. ≪경제와 사회≫ 60호, 67~100쪽.

28.

염미경. 2004. 「철강대기업의 재구조화 전략과 지역사회의 대응: 일본 기타큐슈와 미국 피츠버그의 비교」. ≪한국사회학≫ 38권 1호, 131~159쪽.

29.

염미경. 2005. 「포항 철강산업 재구조화와 노사관계」. ≪아태연구≫ 4권, 43~70쪽.

30.

이대환. 2004. 『세계 최고의 철강인, 박태준』. 현암사.

31.

이수열 · 정상철. 2010. 「철강산업의 도요타 생산방식 적용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21권 4호, 363~382쪽.

32.

이태원 외. 2005. 『폐광촌과 카지노: 강원 폐광지역 사회 변동 연구』. ㈜일신사.

33.

임정성·이민근·심상형. 2018. 「글로벌 철강사의 사업 다각화 추진 사례와 교훈」(POSRI 이슈리포트). 포스코 경영연구원.

34.

장세훈. 2010a. 「지방자치 이후 지역엘리트의 재생산 과정」. ≪경제와 사회≫ 86호, 162~198쪽.

35.

장세훈. 2010b. 「기업도시 포항의 기업과 지역사회의 역학관계」. ≪지역사회학≫ 11권 2호, 165~197쪽.

36.

장세훈. 2013a. 「포항제철 설립의 정치사회학」. ≪공간과 사회≫ 44호, 199~228쪽.

37.

장세훈. 2013b. 「포항1: 기업도시의 사회생태학」. 박배균·김동완(편). 『국가와 지역』. 알트.

38.

장철순 외. 2014. 『산업도시의 진단 및 지속적 발전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39.

정건화 외. 2005. 『근대 안산의 형성과 발전』. 한울아카데미.

40.

정장식. 2006. 「한국테크노파크의 성공요인 및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41.

조형제. 2009. 『산업과 도시: 내생적 지역 발전은 가능한가』. 서울: 후마니타스.

42.

차미숙·박형서·정윤희 외. 2003. 『지역발전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및 운용 방안연구』. 국토연구원.

43.

채헌. 2017. 「주력산업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 위기 극복을 위한 테크노파크의 역할과 대응 방안: 포항 철강 산업과 포항 테크노파크 사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44.

최병두. 2007. 「기업주의 도시 전략의 논리와 한계」. ≪경제와 사회≫ 75호, 106~138쪽.

45.

최병두. 2011. 「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기업주의 도시 프로젝트」.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권 3호, 263~285쪽.

46.

통계청. 각년도. 『인구주택 센서스』.

47.

카스텔, 마누엘 · 피터 홀. 2006. 『세계의 테크노폴 』. 강현수 · 김륜희 옮김. 한울아카데미.(Castells, Manuel & Peter Hall. 1994. Technopoles of the World: The Making of 21st Century Industrial Complexes. London: Routledge.)

48.

포스코. 2018. 『포스코 50년사: 1968-2018』. 포스코.

49.

포항시. 각년도. 『포항 통계연보』. 포항시.

50.

포항시사편찬위원회(편). 1999. 『포항시사(상·하)』. 포항시사편찬위원회.

51.

포항테크노파크. 2010. 『포항테크노파크 10년사』. 매일신문사 출판부.

52.

하비, 데이비드. 2016. 「관리주의에서 기업주의로: 후기 자본주의 도시 거버넌스의전환」. 『데이비드 하비의 세계를 보는 눈』. 최병두 편역. 창비.(Harvey, David. 1989. “From Managerialism to Entrepreneurialism: The Transformation in Urban Governance in Late Capitalism.” Geografiska annaler. series B, Vol.71 No.1, pp. 3~17.)

53.

鎌田とし子·鎌田哲宏(가마다 도시코·가마다 테츠히로). 1983. 『社會諸階層と現代家族:重化學工業都市における勞働者階級の狀態』. 東京: 御茶の水書房.

54.

島崎稔·安原茂(編). 1987. 『重化學工場都市の構造分析』.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55.

布施鐵治(후세 테츠지)(編). 1982. 『地域産業變動と階級·階層: 炭都夕張勞動者の生産·勞働·生活史』. 東京: 御茶の水書房.

56.

Alice, Mah. 2012. Industrial Ruination, Community and Place: Landscapes and Legacies of Urban Decline.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7.

Beauregard, Robert, Paul Lawless & Sabina Deritrick. 1992. “Collaborative Strategies for Reindustrialization: Sheffield and Pittsburgh.”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Vol.6 No.3.

58.

Carter, Donald. (ed.). 2016. Remaking Post-industrial Cities: Lessons from North America and Europe. New York: Routledge.

59.

Crowley, Gregory. 2005. The Politics of Place: Contentious Urban Redevelopment in Pittsburgh. Pittsburgh: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60.

Dieterich-Ward, Allen. 2015. Beyond Rust: Metropolitan Pittsburgh and the Fate of Industrial America.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1.

DiGaetano, Alan & John Klemanski. 1999. Power and City Governance: Comparative Perspectives on Urban Development.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62.

DiGaetano, Alan & Paul Lawless. 1999. “Urban Governance and Industrial Decline.”Urban Affairs Review, Vol.34 No.4, pp. 546~577.

63.

Eisinger, Peter. 2000. “The Politics of Bread and Circuses: Building the City for the Visitor Class.” Urban Affairs Review, Vol.35 No.3, pp. 316~333.

64.

Ferman, Barbara. 1996. Challenging the Growth Machine: Neighborhood Politics in Chicago and Pittsburgh. Kansas: Univ. of Kansas.

65.

Hayter, Teresa & David Harvey. (eds.) 1993. The Factory and the City: The Story of the Cowley Automobile Workers in Oxford. London: Mansell Publishing Ltd.

66.

Healey, Patsy, et. al. 1992. Rebuilding the City: Property-led Urban Regeneration. London:E. & FN Spon.

67.

High, Steven & Lachlan MacKinnon. (eds.) 2017. The Deindustrialized World: Confronting Ruination in Postindustrial Places. Vancouver: UBC Press.

68.

Jessop, Bob. 1998. “The Narrative of Enterprise and the Enterprise of Narrative: Place Marketing and the Entrepreneurial City.” in Tim Hall & Phil Hubbard (eds.). The Entrepreneurial City. New York: Wiley, pp. 77~99.

69.

Jezierski, Louise. 1990. “Neighborhoods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Pittsburgh.”Urban Affairs Review, Vol.26 No.2, pp. 217~249.

70.

Judge, David, Gerry Stoker & Harold Wolman. 1995. Theories of Urban Politics. London:Sage Publications.

71.

Markusen, Ann & Virginia Carlson. 1989. “Deindustrialization in the American Mid-West: Causes and Responses.” in Rodwin, Lloyd & Hidehiko Sazanami (eds.). Deindustrialization and Regional Economic Transformation: The Experience of the United States. Boston: Unwin Hyman Press.

72.

Neumann, Tracy. 2016. Remaking the Rust Belt: The Postindustrial Transformation of North America.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73.

Orr, Marion & Valerie Johnson (eds.). 2008. Power in the City: Clarence Stone and the Politics of Inequality. Lawrence: Univ. Press of Kansas.

74.

Rodwin, Lloyd & Hidehiko Sazanami (eds.). 1989. Deindustrialization and Regional Economic Transformation: The Experience of the United States. Boston: Unwin Hyman.

75.

Rousseau, Max. 2009. “Re-imaging the City Centre for the Middle Classes: Regeneration, Gentrification and Symbolic Policies in ‘Loser C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Vol.33 No.3, pp. 770~788.

76.

Shapira, Philip. 1989. “Steel Town to Space World?: Industrial and Regional Restructuring Strategies in Japanese Heavy Industry.”(Research Paper) Morgan Town: Regional Research Institute, West Virginia University.

77.

Short, John, et. al. 1993. “Reconstructing the Image of an Industrial City.”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Vol.83 No.2, pp. 207~224.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