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한반도 에너지 전환의 개념화를 위한 시론

Conceptualizing the Korean Peninsula energy transition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0, v.30 no.1, pp.124-166
https://doi.org/10.19097/kaser.2020.30.1.124
황진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초록

본 시론은 ‘예상되는 미래’를 예상하기보다 ‘바람직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한반도 공간의 미래상의 일부로서 한반도 에너지 전환을 개념화하고, 한반도 에너지 전환이라는 미래 만들기의 상상력을 촉진하고자 앙리 르페브르가 제시한 ‘도시적인 것’의 사유를 전유한다. 기존 도시 에너지전환 논의는 도시의 성장을 가능케 한 비도시 지역에 배치된 자원 매장지, 발전소, 송전선 등이 갖는 공간성과 비도시와 도시 간의 관계성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대안적으로 본 논문에서 필자는 도시적인 것의 사유를 통해 비도시 지역에 대한 관계론적 이해가 어떻게 남한과 북한을 아우른 한반도의 에너지 전환을 촉진할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지를 탐색한다. 한반도 공간을 도시적인 것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사회학적, 지리학적 상상력은 동북아시아 냉전구도가 낳은 분단체제 하에서 고착화된 국가 중심의 하향적 거버넌스의 관성으로부터 벗어날 전환의 계기를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반도 에너지 전환의 구체적인 전략으로 북한의 화석 연료 매장지를 도시녹색공유지로 규정하고, 땅 속에 내버려 둘 것을 제안한다.

keywords
한반도 에너지 전환, 도시적인 것, 미래 만들기, 화석연료를 땅 속에 내버려 두기, 도시 공유화, Korean Peninsula energy transition, the urban, futuring, keeping fossil fuels in the ground, urban commoning

Abstract

Inspired by the concept of Henry Lefebvre’s urban society, I attempt to conceptualize the Korean Peninsula energy transition as a desirable future, not an expected future. The current debate on urban energy transition has tended to downplay the spatial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ity and the non-city where resource extraction sites, power plants and power cables are placed for the growth of the city. Alternatively, by emphasizing urbanizing urban energy transition sensitive to the critical role of the non-city area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urbanization, it promotes the future wave of the urban energy transition. I expect that the new sociological and geographical imagination that sees the Korean Peninsula as an urban will make a crack on Korea’s static division system and its resultant top-down governance for a successful transition. As a concrete strategy, I suggest keeping North Korea’s fossil fuels in the ground under the logic of urban commoning.

keywords
한반도 에너지 전환, 도시적인 것, 미래 만들기, 화석연료를 땅 속에 내버려 두기, 도시 공유화, Korean Peninsula energy transition, the urban, futuring, keeping fossil fuels in the ground, urban commoning

참고문헌

1.

김경술. 2012. 『남북 에너지협력 프로젝트별 추진방안 분석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

김부헌·이승철. 2015. 「후기 사회주의 체제전환 지리학의 담론: 국가 사회주의 붕괴 이후 10년과 20년」. ≪국토지리학회지≫ 49(4)호, 517-534.

3.

김부헌. 2019. 「절합된 (비-)경제적 관행의 공간과 사회적 재생산: 북한 시장화에 대한 경제지리학적 접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4)호, 381-404.

4.

김용창. 2008a. 「수평적 지방재정조정제도에 의한 지역균형발전전략 연구(I)」. ≪대한지리학회지≫ 43(4)호, 580-598.

5.

김용창. 2008b. 「수평적 형평화 기금에 의한 지역균형발전전략 연구(II)」. ≪대한지리학회지≫43(6)호, 914-937.

6.

김인선·김용표. 2019. 「북한의 에너지 사용과 대기오염물질 배출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35(1)호, 125-137.

7.

김종안. 2020. 「에너지전환, 그린뉴딜, 농촌태양광」. ≪농정연구≫ 72호, 52-67.

8.

김준기. 1997. 「북한경제의 개혁: 동구권과 중국 경제 개혁의 교훈」. ≪행정논총≫ 35(2)호, 125-149.

9.

김현우. 2019. 「독일의 정의로운 전환, 2038년 모든 석탄화력발전 중단 결정」. ≪레디앙≫2019.01.30.

10.

김현우·이보아·김아연·김남영·조보영. 2016. 『지역 및 부문 스케일의 에너지 전환 시범 설계연구: 삼척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11.

명준표. 2016. 「미세먼지와 건강 장애」. ≪대한내과학회지≫ 91(2)호, 106-113.

12.

무페, 샹탈(Mouffe, C.). 2019. 『좌파 포퓰리즘을 위하여: 새로운 헤게모니 구성을 위한 샹탈무페의 제안』. 이승원 옮김. 문학세계사.

13.

민경태. 2018. 『서울 평양 스마트시티: 도시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한반도 경제 통합의 길』. 미래의 창.

14.

박배균. 2012. 「한국학 연구에서 사회-공간론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한지리학회지≫ 47(1)호, 37-59.

15.

박배균. 2018. 「각자도생 강요하는 사회에서 커머닝하기」. ≪프레시안≫ 2018.11.01.

16.

박배균·김동완 엮음. 2013. 『국가와 지역』. 알트.

17.

박배균·장세훈·김동완 엮음. 2014. 『산업경관의 탄생』. 알트.

18.

박배균·황진태 엮음. 2017.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 투기 지향 도시민과 투기성 도시개발의 탄생』. 동녘.

19.

박인권·김진언·신지연. 2019. 「도시 커먼즈의 내재적 모순과 도전들: ‘경의선공유지’ 사례를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9(3)호, 62-113.

20.

박인성. 2017. 「도시화를 통해 본 개혁기 중국」. 박철현 편저. 『도시로 읽는 현대중국 2』. 역사비평사, 16-43.

21.

박종문·윤순진. 2016. 「서울시 성대골 사례를 통해 본 도시 지역공동체 에너지 전환운동에서의 에너지 시민성 형성 과정」. ≪공간과 사회≫ 26(1)호, 79-138.

22.

박진희. 2012. 「독일 탈핵정책의 역사적 전개와 그 시사점」. ≪역사비평≫ 98호, 214-246.

23.

박철현. 2017. 「노후공업도시로 풀어본 동북 문제」. 박철현 편저. 『도시로 읽는 현대중국 2』. 역사비평사, 325-345.

24.

배민아·김현철·김병욱·김순태. 2018. 「수도권 초미세먼지 농도모사: (V) 북한 배출량 영향추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34(2)호, 294-305.

25.

백낙청. 1998. 『흔들리는 분단체제』. 창작과비평사.

26.

백종학·윤순진. 2015. 「서울시 원전 하나 줄이기를 위한 전략적 틈새로서 미니태양광사업과 에너지 시민성의 변화: 서울시 노원구 주민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서울도시연구≫16(3)호, 91-111.

27.

서영표. 2016. 「기후변화 인식을 둘러싼 담론 투쟁: 새로운 축적의 기회인가 체계 전환의 계기인가」. ≪경제와 사회≫ 112호, 137-173.

28.

신동천. 2007. 「미세먼지의 건강영향」. ≪대한의사협회지≫ 50(2)호, 175-182.

29.

아고라 에너지전환·오로라 에너지 연구. 이정필·김형수·하바라·권승문 옮김. 출간 예정. 『독일 탈석탄위원회: 석탄에서 재생에너지로의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로드맵』. 충남연구원.

30.

안정배·이태동. 2016. 「도시의 에너지 전환 분석: 서울시의 원전하나줄이기 정책을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 20(1)호, 105-141.

31.

앵거스, 이안(Angus, I) 엮음. 2012. 『기후정의: 기후변화와 환경 파괴에 맞선 반자본주의의대안』. 김현우·이정필·이진우 옮김. 이매진.

32.

엄은희. 2008. 「환경의 신자유주의화와 제3세계 환경의 변화: 필리핀 라푸라푸 광산 프로젝트의 정치생태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엄은희. 2012. 「환경 (부)정의의 공간성과 스케일의 정치학」. ≪공간과 사회≫ 22(4)호, 51-91.

34.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2017. 『시민 참여 에너지 시나리오』. 이매진.

35.

여기봉. 2018. 「당진에코파워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둘러싼 탈석탄 운동의 전개과정과 의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윤순진. 2018. 「원자력발전정책을 둘러싼 사회갈등 해결을 위한 쟁점과 과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118호, 49-98.

37.

이상헌·김은혜·황진태·박배균 엮음. 2017. 『위험도시를 살다: 발전주의 도시화와 핵 위험경관』. 알트.

38.

이상헌·이정필·이보아. 2014. 『지역 중심의 에너지시스템 전환을 위한 정책과제』. 충남연구원.

39.

이승원. 2019. 「도시 커먼즈와 민주주의: 도시 커먼즈 운동의 특징과 동학에 관한 이론적 재고찰」. ≪공간과 사회≫ 29(2)호, 134-174.

40.

이영희. 2018. 「신고리 5·6호기 원전 공론화와 민주주의」. ≪동향과 전망≫ 102호, 186-216.

41.

이용갑. 2002. 「통일 이후 구 동독 지역 사회계층간 소득분배의 불균등 발전, 1989년-1995년: 남북통일을 준비하는 사회정책적 시사점」. ≪한국사회정책≫ 9(1)호, 135-170.

42.

이춘근·배용호. 2006. 『체제전환국들의 과학기술체제 개편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3.

정세진. 2003. 「이행학적 관점에서 본 최근 북한경제 변화 연구」. ≪국제정치논총≫ 43(1)호, 209-230.

44.

정연미·한재각·유정민. 2011. 「에너지 미래를 누가 결정하는가?: 한국사회 탈핵 에너지전환시나리오의 모색」. ≪경제와 사회≫ 92호, 107-140.

45.

정우진. 2015. 『북한의 에너지교역실태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46.

정웅. 2005. 「북한의 체제변화경로에 관한 연구: 중국· 베트남 사례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통일전략≫ 5(1)호, 330-366.

47.

정인환·고순칠. 2004. 「우리나라 농업 에너지체계의 전환을 위한 정책대안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1(2)호, 251-265.

48.

조성찬. 2019. 『북한 토지개혁을 위한 공공토지임대론』. 한울아카데미.

49.

조용민·홍윤철. 2014.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영향과 대한의사협회의 역할」. ≪의료정책포럼≫12(2)호, 32-36.

50.

지역에너지전환을 위한 전국네트워크. 2018. 『지역에너지전환을 위한 전국네트워크 출범식/전국에너지전환을 위한 메니페스토 협의회 협약식 자료집』. 4월 26일 개최.

51.

진상현·박진희. 2012. 「한국과 독일의 원자력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1(3)호, 265-289.

52.

최병두. 2017. 「관계적 공간과 포용의 지리학」. ≪대한지리학회지≫ 52(6)호, 661-682.

53.

충청남도·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2018. 『충남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계획(2018-2030년)』.

54.

페스트라이쉬, 임마누엘(Pastreich, E). 2018. 「제대로 된 북한 발전 계획」. http://thetomorrow.kr/archives/7398.

55.

하비, 데이비드(Harvey, D.). 2014. 『반란의 도시』. 한상연 옮김. 에이도스.

56.

한재각. 2019. 「탄소가 아니라 사회를 바꿔라」. ≪창작과 비평≫ 47(1)호, 344-356.

57.

한재각·이영희. 2012. 「한국의 에너지 시나리오와 전문성의 정치」. ≪과학기술학연구≫12(1)호, 107-144.

58.

함인희. 2004. 「동구 사회주의 국가의 붕괴와 성 불평등의 재구조화 과정: 구동독 여성의 경제적 지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2)호, 105-140.

59.

황일도. 2015. 「야간 위성사진을 이용한 북한경제 관찰방법론 연구: 1992-2009 불빛 개수 증감으로 본 상황추이를 중심으로」. 조영주 편저. 『북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방법론·연구방법』. 한울아카데미, 198-227.

60.

황진태. 2016a. 「동아시아 맥락에서 바라본 한국에서의 위험경관의 생산」. ≪대한지리학회지≫ 51(2)호, 283-303.

61.

황진태. 2016b. 「발전주의 도시에서 도시 공유재 개념의 이론적·실천적 전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2)호, 1-16.

62.

황진태. 2019. 「북한도시연구방법론으로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에 관한 시론: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9(4)호, 118-156.

63.

홍덕화. 2018. 「전환적 사회혁신과 고령사회 대응: 도시 녹색 공유재를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117호, 317-348.

64.

Angel, J. 2017. “Towards an energy politics in-against-and-beyond the state: Berlin’s struggle for energy democracy,” Antipode, 49(3), pp. 557-576.

65.

Arboleda, M. 2016a. “Spaces of extraction, metropolitan explosions: planetary urbanization and the commodity boom in Latin America,”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40(1), pp. 96-112.

66.

Arboleda, M. 2016b. “In the nature of the non-city: expanded infrastructural networks and the political ecology of planetary urbanisation,” Antipode, 48(2), pp. 233-251.

67.

Brenner, N. 2013. “Theses on urbanization,” Public Culture, 25(1), pp. 85-114.

68.

Bridge, G., Bouzarovski, S., Bradshaw, M., and Eyre, N. 2013. “Geographies of energy transition: space, place and the low-carbon economy,” Energy Policy, 53, pp. 331-340.

69.

Bulkeley, H. 2005. “Reconfiguring environmental governance: towards a politics of scales and networks,” Political Geography, 24(8), pp. 875-902.

70.

Bulkeley, H. 2013. Cities and Climate Change. Routledge.

71.

Burke, M. J., and Stephens, J. C. 2018. “Political power and renewable energy futures: a critical review,” Energy Research & Social Science, 35, pp. 78-93.

72.

Buzar, S. 2007. “The ‘hidden’ geographies of energy poverty in post-socialism: between institutions and households,” Geoforum, 38(2), pp. 224-240.

73.

Callon, M. 1984. “Some elements of a sociology of translation: domestication of the scallops and the fishermen of St Brieuc Bay,” The Sociological Review, 32, pp. 196-233.

74.

Colding, J., Barthel, S., Bendt, P., Snep, R., van der Knaap, W., and Ernstson, H. 2013. “Urban green commons: insights on urban common property system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3(5), pp. 1039-1051.

75.

De Vogli, R., and Gimeno, D. 2009. “Changes in income inequality and suicide rates after ‘shock therapy’: evidence from Eastern Europe,”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63(11), p. 956.

76.

Gailing, L., Bues, A., Kern, K., and Röhring, A. 2019. “Socio-spatial dimensions in energy transitions: applying the TPSN framework to case studies in Germany,”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0308518X19845142.

77.

Gebreegziabher, Z., Mekonnen, A., Kassie, M., and Köhlin, G. 2012. “Urban energy transition and technology adoption: the case of Tigrai, northern Ethiopia,”Energy Economics, 34(2), pp. 410-418.

78.

Geels, F. W. 2014. “Regime resistance against low-carbon transitions: introducing politics and power into the multi-level perspective,” Theory, Culture & Society, 31(5), pp. 21-40.

79.

Geels, F. W., Sovacool, B. K., Schwanen, T., and Sorrell, S. 2017. “Sociotechnical transitions for deep decarbonization,” Science, 357(6357), pp. 1242-1244.

80.

Hajer, M. A., and Pelzer, P. 2018. “2050-An energetic ddyssey: understanding ‘techniques of futuring’ in the transition towards renewable energy,” Energy Research and Social Science, 44, pp. 222-231.

81.

Harvey, D. 2005. “The sociological and geographical imagin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18(3-4), pp. 211-255.

82.

Hsu, J. Y., Gimm, D. W., and Glassman, J. 2018. “A tale of two industrial zones: a geopolitical economy of differential development in Ulsan, South Korea, and Kaohsiung, Taiwan,”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50(2), pp. 457-473.

83.

Huber, M. 2015. “Theorizing energy geographies,” Geography Compass, 9(6), pp. 327-338.

84.

Hwang, J. T. 2016. “Escaping the territorially trapped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thesis,” The Professional Geographer, 68(4), pp. 554-560.

85.

Hwang, J. T., Lee, S. H., and Müller-Mahn, D. 2017. “Multi-scalar practices of the Korean state in global climate politics: the case of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Antipode, 49(3), pp. 657-676.

86.

Jessop, B. 1990. State Theory: Putting the Capitalist State in its Place. Polity Press.

87.

Kanai, J. M. 2014. “On the peripheries of planetary urbanization: globalizing Manaus and its expanding impact,”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32(6), pp. 1071-1087.

88.

Kanai, J. M., and da Silva Oliveira, R. 2014. “Paving (through) Amazonia: neoliberal urbanism and the reperipheralization of Roraima,” Environment and Planning A, 46(1), pp. 62-77.

89.

Kim, Y., Tanaka, K., and Zhang, X. 2017. “A spatial analysis of the causal factors influencing China’s air pollution,”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11(3), pp. 194-201.

90.

Kip, M. 2015. “Moving beyond the city: conceptualizing urban commons from a critical urban studies perspective,” in M. Dellenbaugh, M. Kip, M. Bienioik, A. K. Mueller, M. Schwegmann(eds.). Urban Commons: Moving Beyond State and Market. Birkhaeuser, pp. 42-59.

91.

Kip, M., Bienioik, M., Dellenbaugh, M., Mueller, A.K., Schwegmann, M. 2015. “Seizing the (every)day: Welcome to the urban commons!,” in Dellenbaugh, M. Kip, M. Bienioik, M. Mueller, A.K. Schwegmann, M.(eds.). Urban Commons: Moving Beyond State and Market. Birkhaeuser, pp. 9-25.

92.

Leach, G. 1992. “The energy transition,” Energy Policy, 20(2), pp. 116-123.

93.

Lefebvre, H. 2003[1970]. The Urban Revolu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94.

Lee, S. H., Hwang, J. T., and Lee, J. 2018. “The production of a national riskscape and its fractures: nuclear power facility location policy in South Korea,” Erdkunde, 72(3), pp. 185-195.

95.

Lee, S. O. 2014. “China’s new territorial strategies towards North Korea: security, development, and inter-scalar politics,” Eurasian Geography and Economics, 55(2), pp. 175-200.

96.

Lee, T., Lee, T., and Lee, Y. 2014. “An experiment for urban energy autonomy in Seoul:the one ‘less’ nuclear power plant policy,” Energy Policy, 74, pp. 311-318.

97.

Ma, T., Zhou, Y., Zhou, C., Haynie, S., Pei, T., and Xu, T. 2015. “Night-time light derived estimation of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urbanization dynamics using DMSP/OLS satellite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58, pp. 453-464.

98.

Merrifield, A. 2013. “The urban question under planetary urbaniz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7(3), pp. 909-922.

99.

Monstadt, J., and Wolff, A. 2015. “Energy transition or incremental change? Green policy agendas and the adaptability of the urban energy regime in Los Angeles,”Energy Policy, 78, pp. 213-224.

100.

Ostrom, E. 1990.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

Pandey, B., Joshi, P. K., and Seto, K. C. 2013. “Monitoring urbanization dynamics in India using DMSP/OLS night time lights and SPOT-VGT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23, pp. 49-61.

102.

Princen, T., Manno, J. P., and Martin, P. (eds.). 2015. Ending the Fossil Fuel Era. The MIT Press.

103.

Rose, G. 2016. Visual Methodologies: An Introduction to Researching with Visual Materials. London: Sage.

104.

Rutherford, J., and Coutard, O. 2014. “Urban energy transitions: places, processes and politics of socio-technical change,” Urban Studies, 51(7), pp. 1353-1377.

105.

Sachs, J. D. 1995. “Shock therapy in Poland: perspectives of five years,” delivered at the University of Utah, April 6 and 7.

106.

Saguin, K. 2017. “Producing an urban hazardscape beyond the city,” Environment and Planning A, 49(9), pp. 1968-1985.

107.

Seto, K. C., Golden, J. S., Alberti, M., and Turner, B. L. 2017. “Sustainability in an urbanizing plane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4(34), pp. 8935-8938.

108.

Shaffer, B., Flores, R., Samuelsen, S., Anderson, M., Mizzi, R., and Kuitunen, E. 2018. “Urban energy systems and the transition to zero carbon-research and case studies from the USA and Europe,” Energy Procedia, 149, pp. 25-38.

109.

Sin, H. Y., Heo, E., Yi, S. K., and Kim, J. 2010. “South Korean citizen’s preferences on renewable energy support and cooperation policy for North Korea,”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4(5), pp. 1379-1389.

110.

Sonn, J. W., and Kim, S. H. forthcoming. “Industrial complexes in South Korea: Anurban planning approach,” in A. Oqubay., and J. Y. Lin. (eds.), Oxford Handbook of Industrial Hubs and Economic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11.

Swyngedouw, E. 2010. “Apocalypse forever?” Theory, Culture & Society, 27(2-3), pp. 213-232.

112.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2.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Outlook.

113.

Wachsmuth, D. 2019. “The territory and politics of the post-fossil city,” Territory, Politics, Governance, 7(2), pp. 135-140.

114.

Wachsmuth, D., Cohen, D. A., and Angelo, H. 2016. “Expand the frontiers of urban sustainability,” Nature, 536(7617), pp. 391-393.

115.

World Bank. 1994. The East Asian Economic Miracle. World Bank.

116.

Wright J. 2014. “Korean Peninsula seen from space station,” Feb. 25 NASA homepage https://www.nasa.gov/content/korean-peninsula-seen-from-space-station.

117.

Yi, S. K., Sin, H. Y., and Heo, E. 2011. “Selecting sustainable renewable energy source for energy assistance to North Korea,”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5(1), pp. 554-563.

118.

≪경향신문≫. 2018.05.08. “남북 접경지에 ‘평화발전소’ 건설 추진.”

119.

≪뉴스1≫. 2019.09.09. “두산重, 인니 화력발전소 설비 공급 계약… 1200억 원 규모.”

120.

≪동아사이언스≫. 2018.06.15. “북한 지하 100-300m 매장 광물자원, 원격으로 찾는다.”

121.

≪아이뉴스24≫. 2019.10.07. “현대건설, 인니 찌레본 ‘검은 뇌물’ 의혹…500억 원 이상 벌금가능성↑.”

122.

≪이데일리≫. 2019.12.17. “동서발전, 인도네시아 칼셀-1 발전소 종합 준공.”

123.

≪전자신문≫. 2019.08.28. “중부발전, 인니 ‘찌레본 발전소’ 주변에 복지시설 짓는다.”

124.

≪정책브리핑≫. 2018.05.08. “남북 접경지에 발전소 건설, 동서발전이 아이디어 차원 자체검토.”

125.

≪조선일보≫. 2019.12.27. “北 남포항, 올해 석탄·유조선 110여 척 드나들어.”

126.

≪파이낸셜뉴스≫. 2019.09.30. “삼성물산, 방글라데시 복합화력 발전소 공사 수주.”

127.

≪한겨레≫. 2018.05.02. “북한 광물자원 어마어마… 땅 밑에 ‘삼성·현대’ 있는 셈.”

128.

≪한국경제≫. 2019.11.14. “北, 서울 42배 산림 소멸… 석탄협력으로 경협 단추 끼워야.”

129.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홈페이지 https://www.nasa.gov/content/korean-peninsula-seen-from-space-station 2019.12.28. 접속.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