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교육과 한국 중산층 주거지 근린의 구성

The Intrusion of Shadow Education into the Middle Class Neighborhood in Korea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0, v.30 no.1, pp.356-400
https://doi.org/10.19097/kaser.2020.30.1.356
심한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사교육 공간과 결합된 중산층 주거지의 경험적 사례를 통해 사교육이 근린공간을 구성하는 실천적 힘을 획득했다는 사실을 밝히고, 그 근원에는 계층성을 강화할 수밖에 없는 한국의 주거지 계획 모델과 공간 생산 방식의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중산층 거주지 근린은 가구 구성원의 일상생활을 구체적으로 조직하는 공간이므로 그것의 주요한 구성 요소나 배치 형태는 계급재생산을 위한 아비투스(Habitus)적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애초 일제의 토지구획정리사업부터 중산층의 주거지 계획원리로 도입되었던 ‘근린주구’ 모형은, 이후 대규모 주택공급 정책이 만들어낸 단지형 아파트 계획에서의 반복적 적용을 통해 집합주거 구성을 위한 설계 기준으로 변형되어 제도화되었다. 서울 강남을 필두로 신시가지, 아파트, 아파트단지 형식이 한국 중산층 주거의 주류로 정착되는 과정의 한편에서, 근린주구 모형이 강조했던 보행권 내의 공교육과 생활권을 공유하는 커뮤니티로서의 공적 모델은 공교육과 사교육의 일상을 선택적으로 편성하는 계층적 주거지 모델로 재편되어 왔다. 입시에서 사교육 의존이 강화되고 민간 기업이 기존단지를 재건축하게 되면서 입주자만의 사교육 공간과 배타적 커뮤니티 공간을 단지 안으로 내부화하는, 계층성이 한층 강화된 모델 또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계급재생산 조건으로서의 거주지 근린의 의미를 뒷받침하며, 향후 한국 중산층 주거지의 물리적 재생 과정 또한 그들의 계급재생산 조건과 맞물려 진행될 것임을 시사한다.

keywords
residential site planning, neighborhood unit, apartment complex, housing supply, Gangnam, class reproduction, 주거지 계획, 근린주구, 아파트단지, 주택 공급, 강남, 계급재생산

Abstract

This paper reveals that shadow education has acquired the practical power to construct middle class neighborhood with illustrating their residential practice combined with shadow education, and argues that problem lies both in Korean residential planning model and space production mode that are prone to strengthen the hierarchical class coherence. As the residential neighborhood for middle class is the space that organizes their daily lives specifically, its components or arrangements are Habitus conditions for their class reproduction. The ‘neighborhood unit’ model, which was quoted from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s for middle class residence by Japanese colonial authority, has been transformed and institutionalized into the legalistic design standard for housing plan through iterative projects of complex-type apartment construction triggered by the large-scale housing supply policy. Starting with Gangnam, as apartments, apartment complexes, and newtown developments turned into the mainstream of Korean middle class residence, the public model of neighborhood unit, which used to believe in the public education within walkable vicinity and common sphere of community living, was deformed into a stratum model that selectively organizes public and shadow education. Increasing dependence on shadow education and frequent reconstruction of aging apartment complexes by private companies bolster the classist neighborhood planning model with internalized facilities for shadow education and elite enclave only for the dwellers. As this transformation illuminates the significance of the neighborhood as Habitus, one can predict that the upcoming regeneration of middle class residence in Korea lies in line with the class reproduction condition.

keywords
residential site planning, neighborhood unit, apartment complex, housing supply, Gangnam, class reproduction, 주거지 계획, 근린주구, 아파트단지, 주택 공급, 강남, 계급재생산

참고문헌

1.

강병운. 2001. 「대학입시제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연구≫ 7(2)호, 19-43.

2.

강예린. 2000. 「중산층 교외주거지의 사회공간적 특성-분당신도시의 주부정체성을 중심으로」. ≪지리학 논총≫ 36호, 1-31.

3.

강인호 외. 1997. 「우리나라 주거형식으로서 아파트의 일반화 요인 분석(An Analysis on Factors of Generalization of Apartment as an Urban Housing Type in Korea)」.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3(9)호, 101-112.

4.

구미경. 2016. 「도시 저층주거지의 생활권 중심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7호, 19-29.

5.

권용찬. 2013. 「대량생산과 공용화로 본 한국 근대 집합주택의 전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기홍. 2012. 「집합적 재개발 도입을 위한 정비사업 계획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주택도시연구≫ 2호, 57-69.

7.

김명수. 2018. 「한국의 주거정치와 계층화: 자원동원형 사회서비스 공급과 생존주의 주거전략의 탄생, 1970-2015」.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미숙·상종렬. 2015. 「중산층 주거지역의 자녀교육과 이웃효과: 분당구 사례」. 『한국교육사회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3-54.

9.

김백영. 2009. 『지배와 공간: 식민지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 서울: 문학과지성사.

10.

김주연. 2019. 「서울 대치4동 다세대주택 밀집 지역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대한주택공사 편. 1992. 『大韓住宅公社 三十年史』. 서울: 大韓住宅公社.

12.

대한주택공사. 2009. 「아름다운 미래 행복을 짓는 사람들」. 『대한주택공사 47년 발자취: 1962-2009』. 성남: 대한주택공사.

13.

도광훈. 2016. 「근린주구 계획개념의 한국적 적용과 변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4.

박배균·장진범. 2016.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와 한국의 도시 이데올로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호, 287-306.

15.

박병주. 1966. 「주택단지개발과 토지구획정리사업」. 대한주택공사. ≪주택≫ 16호, 20-24.

16.

박인석. 2013. 『아파트 한국사회: 단지 공화국에 갇힌 도시와 일상』. 서울: 현암사.

17.

박지혁·황진태. 2017. 「수성구는 어떻게 ‘대구의 강남’이 되었나?」. ≪지역사회학≫ 18(1)호, 43-77.

18.

박철수. 2017. 「(박철수의) 거주 박물지(居住 博物誌)』. 서울: 집.

19.

박해천. 2013. 『아파트 게임: 그들이 중산층이 될 수 있었던 이유』. 서울: 휴머니스트.

20.

부르디외, 피에르. 2006.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서울: 새물결.

21.

서울역사박물관. 2018. 『대치동: 사교육 1번지』.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22.

양영근. 2010. 「공동주택 상품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10(2)호, 31-38.

23.

양희진. 2017. 「한국 아파트단지화·대형화의 경제논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염복규. 2013. 「식민지 도시계획과 ‘교외’의 형성」. ≪역사문화연구≫ 46호, 35-64.

25.

유기현·서순탁. 2014.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토지구획정리사업의 변천과정에 관한연구」. ≪공간과 사회≫ 48호, 178-219.

26.

윤정섭. 1954. 「近隣住區(Residental Neighborhood) 計劃 構成」.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7.

이두휴. 2008. 「자녀교육지원활동에 나타난 학부모 문화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8(3)호, 135-165.

28.

이우종. 1981. 「近隣住區單位로서의 아파트團地內 共同施設의 計劃에 關한 硏究」. 서울: 서울大學校.

29.

이재열. 2003. 「사회적 자본과 시민의식」. ≪지역사회학≫ 5(1)호, 41-81.

30.

이종화. 2009. 「생활권 개념의 변화에 따른 주거지 계획의 시기별 특성 변화」.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0(4)호, 79-88.

31.

이진경. 1997.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서울: 푸른숲.

32.

이현정. 2015. 「생애사를 통해 본 중산층 기혼 여성의 첫 자가 마련을 위한 주거경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6호, 89-101.

33.

임서환. 2002. 『住宅政策 半世紀: 政治經濟環境 變化와 住宅政策의 展開過程』. 성남: 대한주택공사.

34.

장세훈. 2007. 「주택소유의 관점에 입각한 중산층의 재해석」. ≪경제와사회≫ 6호, 199-226.

35.

장세훈. 2009. 「‘아파트 공화국’의 사회학적 해부, 『아파트에 미치다: 현대 한국의 주거사회학』, 전상인 지음, 이숲, 2009, 198쪽」. ≪한국사회학≫ 43(2)호, 203-207.

36.

장세훈. 2017. 「중산층 프로젝트로서 ‘분당 만들기’」. ≪지역사회학≫ 18(1)호, 5-42.

37.

전상인. 2009. 『아파트에 미치다: 현대한국의 주거사회학』. 서울: 교보문고.

38.

정헌목. 2015. 「가치 있는 아파트 만들기: 수도권 대단지의 사례를 통해 본 아파트 공동체의사회문화적 함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조르주, 발레리. 2007. 『아파트 공화국: 프랑스 지리학자가 본 한국의 아파트』. 서울: 후마니타스.

40.

주종원. 1966. 「커뮤니티 설계에 있어서 아파트와 단독주택」. 대한주택공사. ≪주택≫ 16호, 32-36.

41.

지주형. 2016. 「강남 개발과 강남적 도시성의 형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2)호, 307-330.

42.

천현숙. 2004. 「대도시 아파트 주거단지의 사회자본」. ≪한국사회학≫ 38(4)호, 215-247.

43.

최은영. 2004. 「학력자본 재생산의 차별화와 빗장도시의 형성」. ≪대한지리학회지≫ 29(3)호, 374-390.

44.

페리, 클래런스. 2013. 『근린주구론: 도시는 어떻게 오늘의 도시가 되었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지식을만드는지식).

45.

Porteous, J. D. 1989. 『환경과 행태: 계획 및 일상적인 도시생활』. 서울: 명보문화사.

46.

한국교육개발원. 2013. 「대학입학전형 정책의 성과와 개선방안 연구」.

47.

하성규·서종균. 2000. 「아파트 공동체 운동과 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7(1)호, 271-299.

48.

홍두승. 1988. 「都市中産層의 生活樣式-住居生活을 중심으로」. ≪성곡논총≫ 제19집, 485-533.

49.

황성희. 2014. 「중소도시 중산층 학부모의 자녀 사교육 지원 문화에 관한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4(2)호, 277-303.

50.

황진태. 2016. 「발전주의 도시 매트릭스의 구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2)호, 331-352.

51.

Bray, M., et al. 2012. “Shadow education: private supplementary tutoring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in Asia,” Mandaluyong City, Metro Manila, Philippines, Asian Development Bank.

52.

Bray, M. 2013. “Shadow Education: Comparative Perspectives on the Expansion and Implications of Private Supplementary Tutoring,”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77, pp. 412-420.

53.

Butler, T., and C. Hamnett. 2007. “The Geography of Education: Introduction,” Urban Studies, 44(7), pp. 1161-1174.

54.

Choi, Y., and H. Park. 2016. “Shadow education and educational inequality in South Korea: Examining effect heterogeneity of shadow education on middle school seniors’ achievement test scores,” Research in Social Stratification and Mobility, 44, pp. 22-32.

55.

Entrich, S. R., et al. 2018. Shadow Education and Social Inequalities in Japan. Springer.

56.

Garnham, N., and R. Williams. 1996. “Pierre Bourdieu and the sociology of culture: An introduction,” in Dodson, M., and J. Palmer ed. Design and aesthetics: a reader. New York: Routledge.

57.

Loyalka, P., and A. Zakharov. 2016. “Does shadow education help students prepare for college? Evidence from Russia,”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49, pp. 22-30.

58.

Manzon, M., and S. Areepattamannil. 2014. “Shadow educations: mapping the global discourse,”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 34(4), pp. 389-402.

59.

Rohe, W. M. 2009. “From Local to Global: One Hundred Years of Neighborhood Planni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5(2), pp. 209-230.

60.

Runte-Geidel, A., and P. F. Marzo. 2015. “Shadow Education in Spain: Examining Social Inequa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PISA Results,” European Education, 47(2), pp. 117-136.

61.

Trent, J. 2016. “Constructing professional identities in shadow education: perspectives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ors in Hong Kong,” Educational Research for Policy and Practice, 15(2), pp. 115-130.

62.

Zhang, W., and M. Bray. 2018. “Equalising schooling, unequalising private supplementary tutoring: access and tracking through shadow education in China,” Oxford Review of Education, 44(2), p. 221.

63.

≪매일경제신문≫. 2015.10.1. “커뮤니티가 주거 패러다임 바꾼다... 이젠 아파트도 마을 공동체.”

64.

≪파이낸셜 뉴스≫. 2017.8.17. “아파트 내 교육특화로 ‘3040’세대 잡아라: 3040 구매층, 주변 학군과 특화 교육 서비스 관심 많아 건설사들 교육단지 내세워.”

65.

≪한국경제신문≫. 2019.10.30. ““리조트 같은 커뮤니티” 대림산업, 한남3구역 ‘아크로 한남카운티 공개’.”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