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This paper regards that South Korea as developmental state has achieved splendid success in terms of economic growth while experiencing se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damage. Facing of new challenges, such as climate emergency, it argues that South Korean society must adopt “green transition policies”. It reviews several papers and books related ‘green state’ and ‘ecological welfare state’ discourses. And, comprehensive transition framework which merges various transition theories is adopted for implementation process of green transition policies. Based on such review, it suggests that ‘green transition’ should be based on the ideology of ‘ecological democracy’. And,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South Korean society where neo-liberalism prevails, the sustainability which can be understood as ‘equal relationship’ within-and-between generations and human and non-human beings has been seriously degraded. Therefore, it suggests ‘green transition policies’ to enhance sustainability as followings; green new deal, basic income, political system change for future generation, enhancing commonality of land, development within carrying capacity, and to overcome urban bias in development paradigm.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for green transition policies are also suggested.
가라타니 고진 지음. 박유하 옮김. 2010.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 도서출판 b.
강남훈. 2019. 『기본소득과 정치개혁-모두를 위한 실질적 민주주의』. 진인진.
구도완. 2018. 『생태민주주의』. 한티재.
국민권익위원회. 2018. 「한 눈에 보는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 at a glance), 2017」. ≪기업윤리 브리프스≫ 2018년 1월호.
김동춘. 2006. 『전쟁과 사회-우리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돌베개.
김동춘. 2018. 「한국형 신자유주의의 기원으로서 반공자유주의: 반공국가, 발전국가와 신자유주의의 연속성」. 비판사회학회. ≪경제와 사회≫ 2018.6호, 240-276.
김종철. 2019. 『근대문명에서 생태문명으로-에콜로지와 민주주의에 관한 에세이』. 녹색평론사.
김준한·한재각. 2018. 「에너지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한국 리빙랩의 경험-성대골의 도시지역 미니태양광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학회. ≪과학기술학연구≫ 18(1)호, 219-265.
김지원. 2018. 「‘가습기 살균제’ 그 이후의 삶: 위험사회에서 부모의 피해자 되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철규. 2006. 「함께 꾸는 녹색의 꿈: 문순홍 편. 2006. 『개발국가의 녹색성찰』, 『녹색국가의탐색』. 아르케」. ≪환경사회학연구 ECO≫ 10(2)호, 235-242.
김형국 편. 2011. 『녹색성장 바로알기』. 나남.
데스마레이즈, 아네트 아우렐리 지음. 2011. 『비아캄페시나-세계화에 맞서는 소농의 힘』. 허남혁·엄은희·이소영·박신규 옮김. 한티재.
드라이젝, 존 지음. 2005. 『지구환경정치학 담론』. 정승진 옮김. 에코리브르.
라투슈, 세르쥬 지음. 2014. 『탈성장사회-소비사회로부터의 탈출』. 양상모 옮김. 오래된 생각.
래첼, 노라 & 데이비드 우젤 엮음. 2019. 『녹색 노동조합은 가능하다-기후변화의 시대, 정의로운 전환의 이론과 현장』. 김현우 옮김. 이매진.
레이, L. 랜덜 지음. 2017. 『균형재정론은 틀렸다-화폐의 비밀과 현대화폐이론』. 홍기빈 옮김. 책담
류현수. 2019. 「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따른 피해 신청자들의 폐질환 발생 영향요인 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맥마이클, 필립 지음. 2013. 『거대한 역설-왜 개발할수록 불평등해지는가』. 조효제 옮김. 교양인.
모심과 살림 연구소. 2010. 『죽임의 문명에서 살림의 문명으로-한살림선언, 한살림선언 다시읽기』. 한살림.
문순홍 지음. 2006a. 『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 아르케.
문순홍 . 2006b. 『개발국가의 녹색성찰』. 아르케.
문순홍 . 2006c. 『녹색국가의 탐색』. 아르케.
바람과 물 연구소 엮음. 2002. 『한국에서의 녹색정치, 녹색국가』. 당대.
박배균. 2009. 「한국에서 토건국가 출현의 배경」. ≪공간과 사회≫ 2009년 통권 제31호, 49-87.
스턴, 앤디 & 리 크래비츠 지음. 2019. 『노동의 미래와 기본소득-21세기 빈곤 없는 사회를위하여』. 박영준 옮김. 갈마바람.
신유미·변금선·최혜지·한동우·김형용. 2019. 「노인 일자리사업 전달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연구: 참여자와 공급자 대상 질적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74(2), 123-162.
신호은. 2017. 「화학안전관리법제와 공법상 권리구제방안에 대한 연구: 가습기 살균제 등 가정용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안현효. 2019. 「‘헬리콥터 머니’와 기본소득」. ≪녹색평론≫ 167호(2019년 7-8월), 62-71.
오수길. 2003. 「파트너십 거버넌스의 가능성과 한계: ‘지방의제21’ 추진 과정의 경험」. 한국정부학회. ≪한국행정논집≫ 15(2)호, 283-313.
유인호. 1973. 「경제성장과 환경파괴」. ≪창작과 비평≫ 통권 29호, 868-896.
이상헌. 2009. 「MB정부 ‘저탄소 녹색성장 전략’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고찰」. 환경사회학회. ≪환경사회학연구, 에코≫ 13(2)호, 7-41.
이상헌. 2011. 『생태주의』. 책세상.
이상헌. 2018. 「서울시 전환정책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환경사회학연구, ECO≫ 22(2)호, 41-76.
이영석·김병근. 2014. 「사회-기술 전환이론 비교 연구: 전환정책 설계와 운영을 위한 통합적접근」.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 23(4)호, 179-209.
이유진. 2019. 「2020대한민국 그린뉴딜플랜」(미간행).
전철. 2018. 「종교와 과학의 거울로서의 생태문명-생태문명의 전환을 향한 종교와 과학의대화」. ≪신학연구≫ 73호, 7-28.
정건화. 2018. 「생태문명으로의 전환과 사회적경제」. iCOOP협동조합연구소. ≪생협평론≫ 제31호(2018년 여름), 89-108.
정규호. 2006a. “녹색국가에 대한 이론적 함의”. 문순홍 편. 『녹색국가의탐색』. 아르케.
정규호. 2006b. “녹색국가로의 전환 방향과 과제”. 문순홍 편. 『녹색국가의탐색』. 아르케.
정병걸. 2015. 「이론과 실천으로서의 전환-네덜란드의 전환이론과 전환정책」. 한국과학기술학회. ≪과학기술학연구≫ 15(1)호, 109-143.
조명래. 2006. 『개발정치와 녹색진보』. 환경과 생명.
주요섭. 2015. 『전환이야기-열망의 유토피아가 온다』. 모시는 사람들.
지주형. 2011.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책세상.
클라인, 나오미 지음. 2016. 『이것이 모든 것을 바꾼다-자본주의 대 기후』. 이순희 옮김. 열린책들.
튜더, 다니엘 지음. 2013. 『기적을 이룬 나라, 기쁨을 잃은 나라』. 노정태 역. 문학동네.
판 파레이스, 필리프·야니크 판데르보흐트 지음. 2018. 『21세기 기본소득-자유로운 사회, 합리적인 경제를 향한 거대한 전환』. 홍기빈 옮김. 흐름출판.
한삼인·강홍균. 2006. 「자연의 권리 소송에 관한 고찰」. 한국법학회. ≪법학연구≫ 통권 24호, 453-472.
한상진. 2018. 『한국형 제3의 길을 통한 생태복지국가의 탐색』. 한국문화사.
홍성태 엮음. 2005. 『개발공사와 토건국가: 개발공사의 생태민주적 개혁과 생태사회의 전망』. 한울아카데미.
홍성태 . 지음. 2011. 『토건국가를 개혁하라-개발주의를 넘어 생태복지국가로』. 한울아카데미.
홍성태. 지음. 2019. 『생태복지국가를 향하여』. 진인진.
Agyeman, J. 2005. Sustainable Communities and the Challenge of Environmental Justice. New York University Press.
Glassman, J., & Young-Jin Choi. 2014. “The Chaebol and the US Military-Industrial Complex: Cold War Geopolitical Economy and South Korean Industrialization,”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vol. 46, pp. 1160-1180.
UNEP. 2019. “The Emissions Gap Report 2019”(A UN Environment Synthesis Report), https://www.unenvironment.org/resources/emissions-gap-report-2019. 2019년12월 30일 검색.
Vansintian, A. 2019. “Degrowth vs. the Green New Deal,” https://briarpatchmagazine. com/articles/view/degrowth-vs.-the-green-new-deal?fbclid=IwAR2I656l22Vo4m En2GzK_YqEDtkInRcxbPfzty8K81D6mTRw8W-2vxopRN0.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e-나라지표)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3.
김기영. 2019. “[ME분석] ‘3분기 소득분배지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 감소 의미,” ≪메가경제≫ 2019.11.21. http://www.megaeconomy.co.kr/news/articleView. html?idxno=92306.
김종면. 2019. “[기획] 한국사회 양극화 진단 ①소득불평등,” ≪시사경제신문≫ 2019.6.10. http://www.sisa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39731.
연합뉴스. 2019.10.22.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32% 감축 나선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1022022000004?section=society%2Fenvironment&site=major_news02&fbclid=IwAR2SLrYp_HaYI7HIXv8J90rCberu5mA wCJqVf74vMp0nEGRYRHaL_vlyqgg.
이상현. 2018. “정동영, ‘재벌·대기업·다주택자’, 10년간 부동산 투기에만 골몰,” ≪日刊 NTN≫2018.10.8. http://www.intn.co.kr.
이필혁. 2020.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 해산해야,” ≪경주신문≫ 2020.1.16. http://m.gjnews.com/view.php?idx=66785.
정의길. 2018. “영국서 ‘모든 청년에게 1500만 원 기본자산 줘야’ 제안,” ≪한겨레신문≫201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