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지리학계에 보내는 편지: 지리학과를 떠난 두 여성 연구자의 이야기

A Letter for Academia of Geography: Stories of Two Women Graduate Students Who Left the Department of Geography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0, v.30 no.2, pp.13-79
https://doi.org/10.19097/kaser.2020.30.2.13
정희성 (연세대학교)
조규혜 (한국예술종합학교)

초록

본 연구는 같은 지리학과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두 여성 연구자의 경험을 데이터로 이성애규범적이고 남성중심적으로 구축된 지리학계의 젠더화된 규율권력을 협력 자문화기술지(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방법을 통해 분석한다. 두 저자는 강의실, 연구실, 학회장, 뒤풀이 장소 등 지리학과의 일상적 공간에서 겪은 경험을 분석하며 지리학계가 여성연구자를 훈육하고 규율하는 방식을 드러내고, 이를 통해 한국의 지리학계가 어떤 지식을중요하고 의미 있는 지식으로 승인하고 관리하는지를 탐문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리학계의 남성중심성을 비판하는 논의의 계보와 여성 대학원생의 위치성에 대한 논의를 살피며본 연구의 필요성을 타진한다. 다음으로는 방법론으로서의 협력 자문화기술지에 대해 자세하게 논의하며 지식의 객관성과 과학적 엄정성에 대해 질문한다. 본문에서 두 저자의 경험은 병렬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여성 연구자의 경험을 분석하는 데 대해 차이를 소거한 채 단일한 것으로 설명하지 않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논문에서는 다소생경할 수 있는 에필로그를 도입하여, 두 저자의 경험을 병렬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그치지않고 협력 자문화기술지에서 협력의 의미를 성찰하여 독자로 하여금 성찰과 연대의 가능성을 함께 모색할 수 있도록 논문을 구성하였다.

keywords
여성 연구자, 젠더화된 미시 정치, 감정문화, 규율권력, 협력 자문화기술지, 연결망, 연구실, 유리벽, women researchers, gendered micro politics, culture of emotion, disciplinary power,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network, laboratory, glass wall

Abstract

This study reveals gendered disciplinary power in Korean geography which is hetero-normative and male-dominated by analyzing two women researchers’ experiences using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methodology. We analyze our experiences and feelings that we faced in academic spaces, such as lecture rooms, labs, conferences, and wrap-up parties to explore gendered disciplinary power that works in micro level. Through our experiences inside and outside of the lab, the basic unit of academic community,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knowledge w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and meaningful under gendered surveillance over daily academic activities and how women researchers are disciplined through processes of knowledge constr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questions about the objectivity of knowledge and scientific strictness by utilizing researchers’ experiences as data.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s critical discussions about gendered power in the academia of geography. Then we discuss our main methodology named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in detail. The experiences of two authors are analyzed in a parallel structure in order to avoid describing several stories as one by erasing the differences. We put epilogue which is unusual part in a research paper at the end of this paper. Epilogue makes our paper not just parallel, but also leads for reader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seek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as an extension of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methodology.

keywords
여성 연구자, 젠더화된 미시 정치, 감정문화, 규율권력, 협력 자문화기술지, 연결망, 연구실, 유리벽, women researchers, gendered micro politics, culture of emotion, disciplinary power,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network, laboratory, glass wall

참고문헌

1.

강태경. 2018. 「대학의 변화와 하나의 직종으로서 대학원생」. ≪진보평론≫, 제76호, 202-214.

2.

김민섭. 2018. 「대학원생도 노동자다」. ≪인물과사상≫, 제241호, 139-153.

3.

김우석. 2015. 「여성 체육학자로서의 순응과 저항: 여성 대학원생의 적응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5호, 145-157.

4.

김은하·임연옥·박경숙·김남영. 2008. 「기혼여자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 경험과정」.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113-125.

5.

김현철. 2015. 『성적 반체제자와 공공 공간-2014 신촌/대구 퀴어퍼레이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현철. 2019. 「여성주의적 공간론: 언어, 존재, 공론장의 부재와 갈망 사이에서」. ≪한국공간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7.

루인·정희성. 2018. 「퀴어와 공간의 관계 재구성: 영화 <불온한 당신>(이영, 2015)의 바지씨이묵을 통해 한국이라는 공간의 이성애 규범성과 도시-촌락 이분법 탐문하기」. ≪공간과 사회≫, 제28권 1호, 194-226.

8.

루인. 2013. 「젠더, 인식, 그리고 젠더폭력: 트랜스(젠더)페미니즘을 모색하기 위한 메모, 네번째」. ≪여성학논집≫, 제30권 제1호, 199-233.

9.

민무숙. 2002. 「여자박사의 노동시장 내 지위에 대한 여성주의적 해석과 대응」. ≪한국여성학≫, 제18권 제1호, 173-201.

10.

박순용, 장희원, 조민아. 2010. 「자문화기술지: 방법론적 특징을 통해 본 교육인류학적 가치의탐색」. ≪교육인류학연구≫, 제13권 제2호, 55-79.

11.

박현선 외. 2018. 「미투 운동과 함께하는 학문공동체의 역할 토론회」. ≪문화과학≫, 제95호, 141-213.

12.

부산대 미투운동의 당사자와 연대자들. 2018. 「나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지역 대학원생의미투」. ≪문화과학≫, 제95호, 117-139.

13.

하딩 샌드라. 2007. 『누구의 과학이며 누구의 지식인가: 여성들의 삶에서 생각하기』. 조주현옮김. 파주: 나남.

14.

블로크, 샤를로테. 2019. 『열정과 망상: 학계의 감정문화』. 김미덕 옮김. 서울. 갈무리.

15.

서정원. 2015. 「엄마대학원생의 학업」. ≪여성연구≫, 제89호, 83-118.

16.

신동일. 2018. 「언어학적 전환, 비판적 언어학 전통, 그리고 비판적담론연구의 출현」. ≪질적탐구≫, 제4권 제3호, 1-42.

17.

일루즈, 에바. 2010. 『감정 자본주의: 자본은 감정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김정아 옮김. 파주:돌베개.

18.

염동규. 2017. 「마지막 몸부림, 대학원생 문제의 서사화가 보여준 가능성과 한계: <슬픈 대학원생들의 초상>의 사례」. ≪대학: 담론과 쟁점≫, 제3호, 145-155.

19.

유현미. 2018. 「성차별적 위계구조의 담장 넘기:‘교수 갑질’·성희롱 사건 대응활동과 대학 미투운동의 현재」. ≪경제와사회≫, 제120호, 90-131.

20.

이현재. 2010. 「여성주의적 도시권을 위한 시론」. ≪한국공간환경학회 2010년 추계학술대회발표집≫, 100-114.

21.

임지연·고준우·신현욱·안태언·이동현·김아람. 2019. 「미투 이후, 새로운 대학문화 형성은 가능한가」. ≪대학: 담론과 쟁점≫, 제1호, 77-119.

22.

장미혜. 2001. 「미취업 여자 박사의 경험과 좌절」. ≪한국여성학≫, 제17권 제2호, 157-177.

23.

전지은. 2012. 『남녀공학 이학계열 여성 대학원생의 젠더 인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정현주. 2012. 「이주여성들의 역설적 공간: 억압과 저항의 매개체로서 공간성을 페미니스트이주연구에 접목시키기」. ≪젠더와 문화≫, 제5권 제1호, 105-144.

25.

조규혜. 2017. 「의례공간의 변화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로즈, 질리언. 2011. 『페미니즘과 지리학: 지리학적 지식의 한계』. 정현주 옮김. 파주: 한길사.

27.

콜린스, 패트리샤 힐. 『흑인 페미니즘 사상: 지식, 의식, 그리고 힘기르기의 정치』. 박미선·주혜연 옮김. 서울: 여성이론연구소.

28.

Adams, T. E., and S. Holman Jones. 2011. “Telling Stories: Reflexivity, Queer Theory, and Autoethnography.” Cultural Studies ↔ Critical Methodologies, 11(2), pp.108-116.

29.

Adams, T. E., S. Holman Jones, and C. Ellis. 2015. Autoethnography. Understanding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0.

Akinleye, S. R. 2006. “Against the Odds: Does Geography Make a Difference?” Gender, Place & Culture, 13(1), pp.27-31.

31.

Chang, H., Ngunijiri, F., and K. C. Hernandez. 2013.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Abingdon-on-Thames, Oxfordshire: Taylor & Francis Group.

32.

Crawley, S. 2012. “Autoethnography as feminist self-interview”. In J. F. GubriumJ. A. Holstein and A. B. Marvasti(eds.) The SAGE handbook of interview research: The complexity of the craft, pp.143-160

33.

Datta, A. 2019. “‘But This Is Not Geography…! Of Ontological Circumcisions and Writing Feminist Geographies from India.” Gender, Place & Culture, 26(7-9), pp.1103-1110.

34.

Gluckman, N. 2018. “How Henrietta Schmerler Was Lost, Then Found.”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35.

Jackson, P. 2003. “Introduction: The Social in Question.” in K. Anderson, M. Domosh, S. Pile and N. Thrift(eds.). Handbook of Cultural Geography. London, Thousand Oaks, New Delhi: Sage Publications, pp.37-42.

36.

King, K. E. 1994. “Method and methodology in feminist research: What is the differ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 pp.19-22.

37.

Kobayashi, A. 2006. “Why Women of Colour in Geography?”. Gender, Place & Culture, 13(1), pp.33-38.

38.

Liu, L. Y. 2006. “On Being ‘Hen’s Teeth’: Interdisciplinary Practices for Women of Color in Geography.” Gender, Place & Culture, 13(1), pp.39-48.

39.

Mahtani, M. 2006. “Challenging the Ivory Tower: Proposing Anti-Racist Geographies within the Academy.” Gender, Place & Culture, 13(1), pp.21-25.

40.

McDowell, L. 1990. “Sex and Power in Academia.” Area, 22(4), pp.323-332.

41.

Monk, J., and S. Hanson. 1982. “On Not Excluding Half of the Human in Human Geography.”The Professional Geographer, 34(1), pp.11-23.

42.

Rose, G. 1993. Feminism and Geography. Cambridge: Polity Press.

43.

Sanders, R. 2006. “Social Justice and Women of Color in Geography: Philosophical Musings, Trying Again.” Gender, Place & Culture, 13(1), pp.49-55.

44.

Scot, J. 1992. “Experience.” in J. W. Scot and J. Butler(eds). Feminists Theorize the Political. Abingdon-on-Thames, Oxfordshire: Routledge.

45.

Sioh, M. 2006. “Against the Limits of Our History.” Gender, Place & Culture, 13(1), pp.57-65.

46.

Steffen, M. 2017. “Doing Fieldwork after Henrietta Schmerler: On Sexual Violence and Blame in Anthropology.” American Ethnologist website, November 13.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