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코로나19 이후 거주환경의 차이가 초등학생의 학습, 게임, 놀이 시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부천시 소사구 세 학교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VID-19 on Elementary Education at Three Schools in Bucheon City, Korea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0, v.30 no.4, pp.172-207
https://doi.org/10.19097/kaser.2020.30.4.172
이시효 (독립연구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19 사태가 거주환경이 다른 초등학생의 학습, 게임, 가족관계, 놀이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연구를 위해 부천시 소사구 내 세 학교 3~6학년 449명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온라인 수업의 경우 내용의 다양성과집중도, 흥미, 학습효과가 모두 미흡했으며, 저소득층 거주지역 학생일수록 집중도와 학습효과가 떨어졌다. 부(wealth)는 학부모의 교육 정도와 연관이 있었으며 이는 코로나19 이후 계층별 학력 격차를 유지 또는 강화했다. 게임 시간은 저소득층 학생의 경우 더 많이 증가했으며,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는 개선되었다. 초등학생이 성인의 보호 없이 낮 시간을보내는 비율이 32.3퍼센트로 매우 높았다. 저소득층 주거지에는 초등학생의 놀이공간이충분하지 못했다.

keywords
코로나19, 초등학생, 교육, 공간, 불평등, COVID-19,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pace, inequality

Abstract

This research addresses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education, game, child-parent relationship, and playing spa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esearcher surveyed 449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three schools in different living conditions in the Sosa district of Bucheon City, Kore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dicate that since COVID-19 appeared, online classes have been insufficient for including various content, retaining students’ concentration and interest, and producing an educational effect. For students living in poorer conditions, the educational effect of online classes has been even wors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educational discourse, according to the classes with living conditions, is maintained through private educ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ncerning schoolroom classes during COVID-19, students’ interaction with their teachers and friend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time children spend with their parents has increased due to COVID-19, family relations have improved. However, game use time has increased by 13 minutes. Moreover, the rate of children living without adult supervision during the day is now 32.3%, and the recreational space in the areas with poor living conditions is unprepared for this change.

keywords
코로나19, 초등학생, 교육, 공간, 불평등, COVID-19,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pace, inequality

참고문헌

1.

구성옥·맹승렬·유관희. 2005. 「컴퓨터 게임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제8권 제4호, 79~86쪽.

2.

권선중·김교헌·이홍석. 2005. 「아동의 컴퓨터 게임 중독과 신체 증상: 불안의 매개효과」. ≪한국조사연구학회≫, 제6권 2호, 33~50쪽.

3.

노혜진. 2014. 「부모의 교육적 동질혼에 따른 자녀 돌봄시간의 불평등」. ≪사회복지정책≫. 제41권 4호, 181~200쪽.

4.

솔닛, 레베카(Rebecca Solnit). 2012. 『이 폐허를 응시하라: 대재난 속에서 피어나는 혁명적 공동체에 대한 정치사회적 탐사』, 정해영 옮김, 서울:펜타그램.

5.

우종민·김원·박상미·임성견. 2012. 「산림활동이 우울증 환자들의 호전에 미치는 영향: 산립치우 프로그램 집단과 병원 프로그램 집단, 산림욕 집단, 대조군 비교 연구」, ≪한국산림과학회지≫, 제101권 4호, 677~685쪽.

6.

이광현·임현정. 2014. 「초등학생의 비만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한국초등교육≫, 제25권, 3호, 275~291쪽.

7.

이유진·김수정. 2011.「공적서비스와 소비지출 불평등: 한국과 영국의 교육 및 보건의료비 지출 비교」. ≪한국사회정책≫, 제18집 1호, 239~265쪽.

8.

이철현·정계환. 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게임 중독과 공격성 및 인성과의 관계」. ≪한국정보교육학회≫, 제9권 3호, 417~437쪽.

9.

장상수. 2016. 「벌어지는 틈새: 보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 성적에 미치는 영향의 증가」. ≪학국사회학≫, 제50권 5호, 107~140쪽.

10.

전은미·강선희·김규곤. 2006. 「중학생의 컴퓨터 게임중독, 학업수행 및 신체병리 증상과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 제8권 4호, 1465~1477쪽.

11.

정재훈·김경민. 2014. 「교육의 공간 불평등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7권 2호, 385~401쪽.

12.

조영민·신원섭·연평식·이효은. 2011. 「숲 체험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과 우울에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15권 2호, 69~75쪽.

13.

최진오. 2016. 「초등학생의 모바일게임중독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조절효과」, ≪청소년시설환경≫, 제14권 2호, 187~197쪽.

14.

퍼트넘, 로버트(Rovert David Putnam). 2016. 『우리 아이들: 빈부격차는 어떻게 미래 세대를파괴하는가』, 정태식 옮김, 서울:페이퍼로드.

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청소년의 건강권 보장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I』,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2018 게임 과몰입 종합 실태조사』, 전남: 한국콘텐츠진흥원.

17.

Jolanta, Burke and Dempsey, Majella. 2020. Covid-19 Practice in primary schools in Ireland report,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Maynooth.

18.

Brown, Natalie. et al. 2020. Learning at home during COVID-19: Effects on vunerable young Australians, University of Tasmania.

19.

Doyle, Orla. 2020. COVID-19: Exacerbating Educational Inequalities?, Public Policy.IE.

20.

Blasko, Zsuzsa and Schnepf, Sylke V. 2020. Educational inequalities in Europe and physical school closures during Covid-19, Science For Polivy Briefs.

21.

김영선, 이도경. ”한국 아동·청소년 행복 수준 개선됐지만... OECD 바닥권“. ≪국민일보≫. 2019년 8월 28일자.

22.

김주연. ”자정 이후 잠든다, 올빼미형 아동·청소년 급증“. ≪서울신문≫. 2020년 5월 3일자.

23.

뉴시스. ”장석웅 전남교육감... 학습결손 학습격차가 큰 문제“. ≪뉴시스≫. 2020년 8월 3일자.

24.

박진우. ”등교 막아 만든 ‘학교방역’... ‘방역만 성공, 교육은 실패’ 지적도“. ≪조선비즈≫. 2020년 7월 30일자.

25.

이성희. ”엄마, 우울해요“... 아이들에게 번지는 ‘코로나 블루’”. ≪경향신문≫. 2020년 6월 29일자.

26.

이성희. ”감염병 상황 끝나도 등교, 원격수업 병행“. ≪경향신문≫. 2020년 8월 4일자.

27.

임우선, 최예나. ”아무 준비 없이 원격수업 시작... 출석체크 매달리다 수업 뒷전“. ≪동아일보≫. 2020년 7월 20일자.

28.

Byun Hee-jin. 2017.5.2. ”Korea still has OECD’s least happy students“. Koreaherald.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