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상대적으로 동등한 권한을 가진 조직인 기초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 사례인동북4구 거버넌스 분석을 통해, 협력적 거버넌스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을 도출한다. 기존의 협력적 거버넌스 연구는 성공 요인으로 참여자의 자율성과 그들 사이의 합의를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자치구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현실에서 자율성에 기반한 합의를 구현하는 일과 협력을 지속가능하게 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이 연구는 각 조직의 자율성이 높아서 합의 도출이 어려운 상황에서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조건들이 무엇인지 탐구한다. 저자들은 협력에 대한 암묵적 규범과 의사결정구조, 반복된 협력과 중간의 작은 성과, 혜택의 균등 배분 조정 기제, 공유된 내부통제, 호혜성과 신뢰에 기반한 사회규범이 그 조건임을 제시한다. 분석 결과, 동북4구 거버넌스는 자치구 간 협력에 대한 규범을 공유하고 중간성과를 달성하는 것을 통해 동북4구 지역의 종합적 발전을 추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있었다. 반면 내부통제 미흡과 일부 자치구에 편중된 혜택, 낮은 수준의 호혜성과 신뢰 등의 한계들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사례연구법에 따라 문헌분석,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수행하였다.
In this study, we explore essential conditions under which collaborative governance across local districts of a city works. The existing literature has emphasized the autonomy of individual actors and, at the same time, the consensus among the actors for a successful collaboration, but we argue that autonomy and consensus are likely to be incompatible in practice. We identify five condition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governance: shared implicit norms for collaboration and a relevant decision-making structure, interim achievements, a system for fair distribution of benefits, a shared mechanism for internal control, and a social norm of reciprocity and trust. We then analyze the structure, the process, and the interim outcomes of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across the four local districts in northeastern Seoul, South Korea. We find out that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due to the unevenly distributed benefits, the lack of internal control mechanisms, and the low level of reciprocity and trust. Our case study is based on an archival study,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강용기. 2004. 「정부간 관계(IGR)의 거버넌스(Governance)」.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6권 2호, 5~19쪽.
김순은. 2004. 「우리나라 로컬 거버넌스에 관한 논의의 실제와 함의」. ≪지방정부연구≫, 8권4호, 73~98쪽.
이재경. 2018. 「동북4구 미래비전과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동북4구 생태적 도시재생 국제포럼』. 동북4구 생태적 도시재생 국제포럼 자료집(2018.10.15).
이종규. 2006. 「민속학적 연구방법론」. 『질적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임화진·임상연·김종수. 2015. 「상업지역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50권 7호, 87~110쪽.
한표환. 1999. 「도시간 협력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행정학회보≫. 33권 3호, 345~362쪽.
Agranoff, R., and M. McGuire. 2003. 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New Strategies for Local Governments.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Ansell, C., and A. Gash. 2008.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8(4), pp. 543~571.
Axelrod, R. 1984.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New York, NY: Basic Books.
Cropper, S. 1996. “Collaborative working and the issue of sustainability.” In C. Huxham (ed.). Creating Collaborative Advantage.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Bardach, E. 1998. Getting Agencies to Work Together: The Practice and Theory of Managerial Craftsmanship.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Bryson, J. M., B. C. Crosby and M. M. Stone. 2006.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ross-sector collaborations: Propositions from the literatur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6(s1), pp. 44~55.
Emerson, K., T. Nabatchi and S. Balogh. 2011.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collaborative governanc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22(1), pp. 1~29.
Huxham, C. 1996. Collaboration and collaborative advantage. In C. Huxham (ed.). Creating Collaborative Advantage.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Huxham, C., and S. Vangen. 2005. Managing to Collaborate: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llaborative Advantage. Abingdon: Routledge.
Oliver, C. 1990. “Determinants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Integration and future direc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5(2), pp. 241~265.
Ostrom, E. 1990.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Ostrom, E. 1998. “A behavioral approach to the rational choice theory of collective action: Presidential address,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1997.”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2(1), pp. 1~22.
O’Toole, L. J. 1997. “Treating network seriously: Practical and research-based agendas in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7(1), pp. 45~52.
Powell, W. W. 1990. “Neither market nor hierarchy: Network forms of organization.”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2, pp. 296~336.
Thomson, A. M., and J. L. Perry. 2006. “Collaboration processes: Inside the black box.”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6(s1), pp. 20~32.
Warren, R. L. 1967. “The interorganizational field as a focus for investigation.”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2(3), pp. 396~419.
Wood, D. J., and B. Gray. 1991. “Toward a comprehensive theory of collaboration.”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27(2), pp. 139~162.
동북4구 도시재생협력지원센터. 2017. 『사구뭉치』, 1.
서울 동북4구 발전연구 사업단. 2013a. 『서울 동북4구 발전을 위한 연구: 문화예술지구 조성과 도시활력 증진방안 연구』.
서울 동북4구 발전연구 사업단. 2013b. 『서울 동북4구 발전을 위한 연구: 서울 동북4구 마을만들기 협력사업과 협동조합 및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서울 동북4구 발전연구 사업단. 2013c. 『서울 동북4구 발전을 위한 연구: 자연역사문화관광벨트 만들기와 북한산 최고고도지구 개선방안』.
서울 동북4구 발전연구 사업단. 2013d. 『서울 동북4구 발전을 위한 연구: 총론』.
서울 동북4구 발전연구 사업단. 2013e. 『서울 동북4구 발전을 위한 연구: 혁신클러스터와 도시형제조업을 통한 일자리창출방안』.
서울특별시. 2014a.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특별시. 2014b. 『행복4구 Plan: 동북4구 행복4구 동행 발전전략』. 서울특별시 발표자료 (2014.1.27).
서울특별시. 2017a. 『창동·상계 도시재생활성화계획(도시경제기반형)』.
서울특별시 교육협력국. 2014.3.3. 『서울형 교육우선지구 추진 계획』.
행정자치부. 2016. 『지방자치단체 협력·갈등관리 업무 편람』.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법률 제 16904호, 2017.7.26., 타법개정).
지방자치법(법률 제16057호, 2018.12.24. 타법개정).
내 손안에 서울. 2015.11.24. “서울 동북4구 컨퍼런스.” http://mediahub.seoul.go.kr/attention/939540(검색일: 2018.7.24).
뉴스1. 2018.2.8. “강북·성북·도봉·노원구, 도봉산서 ‘지방분권 버스킹’.” https://www.news1.kr/articles/?3231434(검색일: 2020.6.15).
뉴시스. 2020.4.19. “노원 차량기지 일대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시민 아이디어 공모.”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419_0000998509&cID=14001&pID=14000(검색일: 2020.6.15).
도봉구청. 2016. “동북4구발전위원회 운영.” http://www.dobong.go.kr/WDB_dev/majorWork/MajorView.asp?lidx=130&(검색일: 2018.3.15).
도봉구청. 2019. “동북4구 행정협의회 운영.” http://www.dobong.go.kr/WDB_dev/majorWork/MajorView.asp?lidx=487&(검색일: 2019.10.22).
동북4구 도시재생협력지원센터. 2020.8.2. “센터가 걸어온 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b4gur&logNo=222048989408&categoryNo=6&parentCategoryNo=6&from=thumbnailList(검색일: 2020.10.2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1.28. “서울 동북4구 3대 잠룡, 기술사업화를 위해 뭉쳤다.” https://www.seoultech.ac.kr/intro/infobox/press/?do=commonview&searchtext=&searchtype=1&nowpage=21&bnum=6306&bidx=432821&qidx=6306&cate=10&allboard=false&nowpage=21(검색일: 2018.3.15).
서울경제. 2018.9.17. “도봉구, 창동에 ‘동북권 세대융합형 복합시설’ 착공.” https://www.sedaily.com/NewsView/1S4JMQMOEY(검색일: 2020.6.15).
서울특별시. 2017b. “청책토론회가 걸어온 길.” http://news.seoul.go.kr/gov/archives/103297 (검색일: 2018.7.22).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2013.9.9. “서울시, ‘2~3개 행정동’ 단위 생활권계획 최초 수립.” http://opengov.seoul.go.kr/press/407448(검색일: 2020.6.15).
서울특별시교육청. 2015.2.10. “동북4구 지역사회 교육협력 거버넌스 구축.” https://enews.sen.go.kr/news/view.do?bbsSn=112360&step1=3&step2=1(검색일: 2018.3.15).
성북마을. 2013.7.8. “동북4구가 힘을 합치다! 동북4구 청책토론회 “Oh!합지존”.” https://sbnet.or.kr/8886(검색일: 2018.3.15).
시정일보. 2012.5.24. “‘동북4구 발전협의회’ 출범에 부쳐.” http://www.siju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632(검색일: 2018.1.16).
연합뉴스. 2014.3.27. “‘도시 곳곳을 학교로’ 서울시 교육도시 기본계획(종합).” 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4/03/27/0703000000AKR20140327059900004.HTML(검색일: 2018.1.18).
지역연합신문. 2013.10.28. “서울 동북4구 자체감사 업무협약.” http://www.yonhap21.com/detail.php?number=4938&thread=22r03r01(검색일: 2019.2.21).
희망제작소. 2013.7.24. “서울시 동북4구 100인회의, 어떻게 진행됐나.” http://www.makehope. org/%EC%9E%90%EB%8F%99-%EC%A0%80%EC%9E%A5-%EB%AC%B8%EC%84%9C-119/(검색일: 2018.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