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감금지리(carceral geography) 내 경계, 모빌리티, 순환의 위상학: 시설 교차성 논의의 비판적 확장을 위하여

Carceral Geography as Topologies of Boundary, Mobility, and Circuitry: A Critical Lens for the Intersectional Understanding of Institutionalization in South Korea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1, v.31 no.3, pp.91-135
https://doi.org/10.19097/kaser.2021.31.3.91
김현철 (University of Toronto)

초록

2000년대 이후 주로 장애인수용시설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탈시설 논의는 최근 장애인권운동 활동가들과 페미니스트 학자들의 주도로 시설화의 교차성에 대한 논의로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교차적 시설화와 관련된 공간정치에 대한 연구는 한국 내 지리학계 및 공간 연구에서도 미진하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논문은 2010년대 이후 북미와 서구 유럽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온 감금지리 논의가 현 한국사회의 교차적 시설화 논의와 어떻게 조우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감금지리의 개념과 이론을 정돈된 ‘지식’이 아닌 이중의 위상학(topology)으로 보고자 한다. 첫째, 위상학은 학자들 개개인이 딛고 있는 학술적·정치적·지역적·개인적 위상도이다. 둘째, 감금지리 개념과 이론들 간의 위상학이다. 이 이중위상학 사이의 다공적 측면을 고려하며 본문의 첫 번째 파트에서는 국제 학술지인 Progress in Human Geography의 2018년 제42권 5호 지면에서 ‘감금적인 것(the carceral)’의 의미에 대하여 영국과 북미 학자간의 학술적·정치적 입장 차이가 3편의 글들로 드러났던 일을 들뢰즈적 의미의 작은 ‘사건(événement)’으로 살펴본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주요 감금지리 학자들이 개진해 온 감금공간의 경계, 강제적/처벌적 모빌리티(coercive/punitive mobility), 감금회로망(carceral circuitry)에 대해 검토하면서 이들 개념의 위상학이 교차적 시설화 논의와 조우하거나 긴장·모순되는 지점들을 짚어본다. 결론 파트에서는 감금지리 위상학 및 언어가 어떻게 현재 한국의 여성주의 진영에서 주로 논의되고 있는 교차적 시설‘화(化)’의 의미를 구체화 및 발전시킬 수 있을지 그 잠재성에 대하여 간략히 논해본다.

keywords
감금지리, 강제적 모빌리티, 감금회로망, 시설화의 교차성, 페미니스트 인식론, carceral geography, coercive mobility, carceral circuitry, intersectionality of institutionalization, feminist epistemologies.

Abstract

Feminist activists and scholars have recently considered the intersectionalities of institutionalization politics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still a gap of research on spatial politics of de/institutionalization in various human geography fields of South Korea. In this context, I critically review the concepts of carceral geography derived from North America and Western Europe to expand the intersectional understanding of institutionalization in South Korea. For this, I intend to view theories and concepts of carceral geography as multiple topologies, not organized and neatly sorted ‘knowledge’. The first part examines these topologies by analyzing the debates among three journal articles on the meaning of the carceral published in Progress in Human Geography in 2018. I interpret these debates as small événement showing the multiple intellectual and political topologies among carceral geographers. The second part investigates topologies of carceral boundary, coercive/punitive mobility, and carceral circuitry. In conclusion, I seek to intertwine topologies of carceral geography and the intersectionalities of institutionalization discussed in South Korea.

keywords
감금지리, 강제적 모빌리티, 감금회로망, 시설화의 교차성, 페미니스트 인식론, carceral geography, coercive mobility, carceral circuitry, intersectionality of institutionalization, feminist epistemologies.

참고문헌

1.

고프먼, 어빙(Goffman, Erving). 2018. 『수용소: 정신병 환자와 그 외 재소자들의 사회적 상황에대한 에세이』. 심보선 옮김. 서울: 문학과지성사.

2.

김소영. 2017. 「정신장애를 가진 노숙 청년의 시설 이용 경험: 탈시설화의 이면, 생존을 위한 두체계의 반복 이용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8권 3호, 83~116쪽.

3.

김조은. 2018. 「프랑스 현대 철학의 사건 개념: 베르그손, 들뢰즈, 리오타르의 경우」. ≪철학사상≫, 80호, 63~94쪽.

4.

김현철. 2020. 「도시의 감금회로망적 상상: 유동하는 수용시설의 경계와 그 사이의 몸들을언어화하기 위하여」. 장애여성공감 엮음. 『시설사회: 시설화된 장소, 저항하는 몸들』. 서울: 와온.

5.

권첼, 슈테판. 2010. 『토폴로지: 문화학과 매체학에서 공간 연구』. 이기홍 옮김. 서울:에코리브르.

6.

나영정. 2020. 「누구와 함께 시설사회에 맞설 것인가」. 장애여성공감 엮음. 『시설사회:시설화된 장소, 저항하는 몸들』. 서울: 와온.

7.

들뢰즈, 질(Gilles Deleuze). 1999. 『의미의 논리』. 이정우 옮김. 서울: 한길사.

8.

들뢰즈, 질·과타리, 펠릭스(Gilles Deleuze; Felix Guattari). 2014. 『안티 오이디푸스: 자본주의와분열증』. 김재인 옮김. 서울: 민음사.

9.

르페브르, 앙리. 2013. 『리듬분석: 공간, 시간, 그리고 도시의 일상생활』. 정기헌 옮김. 서울: 갈무리.

10.

르페브르, 앙리. 2015. 『공간, 장소, 젠더』. 정현주 옮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1.

맥도웰, 린다(McDowell, Linda). 2010. 『젠더, 정체성, 장소: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이해』. 여성과공간연구회 옮김. 파주: 한울아카데미.

12.

박형진. 2012. 「배제와 포함의 복지정치: 장애인 생활시설과 탈시설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글로벌사회복지연구≫, 2권 1호, 53~78쪽.

13.

박숙경. 2018. 「‘공동체(共同體)로서의 함께 삶’을 향한 탈시설화의 철학과 의미 그리고 과제」. ≪한국장애학회≫, 2018년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69~95쪽.

14.

박숙경. 2021. 탈시설 이념 및 지역사회 거주 권리에 관한 논의. ≪월간복지동향≫, 268호, 5~10쪽.

15.

브라운, 캐스·브라운, 가빈·림, 제이슨(2018), 『섹슈얼리티 지리학: 페미니즘과 퀴어 지리학의 이론, 실천, 정치』. 김현철·시우·정규리·한빛나 옮김. 서울: 이매진.

16.

브라이언트, 레비 R. (Levi R. Bryant). 2020. 『존재의 지도: 기계와 매체의 존재론』. 김효진옮김. 서울: 갈무리.

17.

서보경·권미란·나영정·손문수·이인규. 2020. 「한국의 HIV 낙인과 장기 요양 위기」. ≪비판사회정책≫, 67호, 71~111쪽.

18.

서보경. 2021. 「가운뎃점으로 삶과 죽음이 뭉쳐질 때: HIV 감염의 만성질환화와 삶·죽음의퀴어성 」. ≪경제와사회≫, 129호, 218~257쪽.

19.

수재니스, 닉(Nick Sousanis). 2016. 『언플래트닝: 생각의 형태』. 배충효 옮김. 서울: 책새상.

20.

아감벤, 조르조(Giorgio Agamben). 2009. 『예외상태』. 김항 옮김. 서울: 새물결.

21.

아감벤, 조르조. 2010. 『장치란 무엇인가: 장치학을 위한 서론』. 양찰렬 옮김. 서울: 난장.

22.

오욱찬·김성희·박광옥·오다은, 2021. 「탈시설 장애인의 주거이동 패턴 분석」≪한국장애인복지학≫, 52호, 255~290쪽.

23.

앨러이모, 스테이시(Stacey Alaimo). 2018. 『말, 살, 흙: 페미니즘과 환경정의』. 윤준·김종갑 옮김.서울: 그린비.

24.

웬델, 수전(Susan Wendell). 2013. 『거부당한 몸: 장애와 질병에 대한 여성주의 철학』. 강진영·김은정·황지성 옮김. 서울: 그린비출판사.

25.

장애여성공감 엮음, 2020. 『시설사회: 시설화된 장소, 저항하는 몸들』. 서울: 와온.

26.

주윤정. 2019. 「탈시설 운동과 사람중심 노동: 이탈리아의 바자리아법과 장이앤 협동조합운동」. ≪담론201≫, 22권 2호, 141~171쪽.

27.

최문정. 2011. 「탈시설 장애여성의 생애체험: 대상에서 주체로」. ≪장애의재해석≫, 2011논문집, 215~268쪽.

28.

푸코, 미셸(Michel Foucault). 2020. 『감시와 처벌: 감옥의 탄생』. 오생근 옮김. 파주: 나남.

29.

한병철. 2020. 『폭력의 위상학』. 김태환 옮김. 파주: 김영사.

30.

Topologie der Gewalt 해러웨이, 도나(Donna J. Haraway). 2019. 『해러웨이 선언문: 인간과동물과 사이보그에 관한 전복적 사유』. 황희선 옮김. 서울: 책세상.

31.

해러웨이, 도나(Donna J. Haraway). 2021. 『트러블과 함께 하기: 자식이 아니라 친척을 만들자』. 최유미 옮김. 서울: 마농지.

32.

Bauman, Z. 1993. Postmodern Ethics. London: Routledge.

33.

Bauman, Z. 2000. Liquid Modernity. Cambridge: Polity Press.

34.

Ben-Moshe, L., Champman, C., Carey, A. (eds.). Disability Incarcerated: Imprisonment and Disabilit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New York: Palgrave Macmillan.

35.

Brooks, I., Best, A. 2021. “Prison fixes and flows: Carceral mobilities and their critical logistics.” Environment and Planning D: Economic and Space, Vol. 49. No. 8, pp. 1905~1921.

36.

Brown, E. 2014. “Expanding carceral geographies: Challenging mass incarceration and creating a “community orientation” towards juvenile delinquency.” Geographica Helvetica, Vol. 69, No. 5, pp. 377~388.

37.

Deleuze, G., Guattari, F. 1986. Nomodology: The War Machine. New York: Semiotext(e).

38.

Disney, T. 2017. “The orphanage as an institution of coercive mobility.” Environment and Planning A: Society and Space, Vol. 39. No. 3, pp. 469~476.

39.

Follis, L. 2015. Power in motion: Tracking time, space, and movement in the British Penal Estate. Environment and Planning D: Economic and Space, Vol. 33. No. 5, pp. 945~962.

40.

Gill, N. 2009. Governmental mobility: The power effects of the movement of detained asylum seekers around Britain’s detention estate. Political Geography, Vol. 28, No. 3, 186-196.

41.

Gill, N. 2013. “Mobility versus Liberty? The Punitive Uses of Movement Within and Outside Carceral Environments.” in D. Moran, N. Gill and D. Conlon(eds.). Carceral Spaces: Mobility and Agency in Imprisonment and Migrant Detention. London:Routledge.

42.

Gill, N., Conlon, D., Moran, D. and Burridge, A. 2018. “Carceral circuitry: New directions in carceral geography.” Progress in Human Geography, Vol. 42, No. 2. pp. 183~204.

43.

Hamlin, M. 2020. “Second chances in the second city: Public housing and prisoner reentry in Chicago.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Vol. 38. No. 4, pp. 587~606.

44.

Hamlin, M. and Speer, J. 2018. “The Politics of conceptualizing the carceral: A commentary on Moran et al. (2017).” Progress in Human Geography, Vol. 42, No. 5, pp. 799~802.

45.

Harvey, D. 1982. The Limits to Capital. Oxford: Blackwell.

46.

Harvey, D. 1985. “The urban process under capitalism: A framework for analysis” in: D, Harvey. The Urbanization of Capital.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7.

Moran, D. 2012. ““Doing time” in carceral space: TimeSpace and carceral geography.”Geografiska Annaler: Series B. Human Geogarphy, Vol. 94, No. 4, pp. 305~316.

48.

Moran, D. 2013. “Carceral geography and the spatialities of prison visiting: visitation, recidivism, and hyperincarceration.”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Vol. 31, No. 1, pp. 174~190.

49.

Moran, D. 2014. “Leaving behind the ‘total institution’? Teeth, transcarceral spaces and (re)inscription of the formerly incarcerated body.” Gender, Place & Culture, Vol. 21, No. 1, pp. 35~51.

50.

Moran, D., Turner, J. and Schliehe, A. K. 2018a. “Conceptualizing the carceral in carceral geography.” Progress in Human Geography, Vol. 42, No. 5, pp. 666~686.

51.

Moran, D. 2018b. “Response to the commentary on ‘Conceptualizing the carceral in carceral geography’ by Moran et al.” Progress in Human Geography, Vol. 42, No. 5, pp. 803~804.

52.

Morin, K. 2016. “Carceral space: Prisoner and animals.” Antipode, Vol. 48, No. 5, pp. 1317~1336.

53.

Morin, K. 2019. “Cattle towns, prison towns: Historical geographies of rural carceral archipelagoes.” Historical Geography, Vol. 47, No. 1, pp. 141~165.

54.

Schliehe, A., K. 2016. “Re-discovering Goffman: Contemporary carceral geography, the "total"institution and notes on heterotopia.” Geographiska Annaler. Series B, Human Geography, Vol. 98, No. 1, pp.19~35.

55.

Schliehe, A. 2017. “On ‘floaters’: Constrained locomotion and complex micro-scale mobilities of objects in carceral environments” in J. Turner, K. Peters (eds.). Carceral Mobilities:Interrogating Movement in Incarcera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56.

Turner, J. 2013. “Re-‘homing’ the ex-offender: constructing a ‘prisoner dyspora.’” Area, Vol. 45, No. 4, pp. 485~492.

57.

Turner, J. 2016. The Prison Boundary Between Society and Carceral Space, London :Palgrave Macmillan UK : Imprint: Palgrave Macmillan.

58.

Urry, J. 2007. Mobilities. Cambridge: Policy Press.

59.

Valentine, G. 2007. “Theorizing and researching intersectionality. A challenge for feminist geography.” The Professional Geographer, Vol. 59, No. 1, pp.10~21.

60.

Wacquant, L. 2001. “Deadly symbiosis: When ghetto and prison meet and mesh”. Punishment & Society. Vol. 3, No. 1, pp. 95~133.

61.

김현철. 2019. “‘감금’에서 ‘감금지리(carceral geographies)’로, 언어화되지 않은 착취와 소외, 감정과 트라우마, 살들의 논의를 위해.” https://bit.ly/3AEpgS6 (검색일: 2021.08.09.)

62.

대법원종합법률 정보. 1990. “대법원 1991. 12. 30.자 91모5 결정.” https://bit.ly/3jZkVlI (검색일:2021. 08.09.)

63.

비마이너. 2019. “교차적 관점으로 시설화 비판하기.” https://bit.ly/3yQPpwr (검색일:2021.08.09.)

64.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BBC]. 2016. “Big rise in drone jail smuggling incidents.”, https://bbc.in/39gbiKo (검색일: 2021.08.09).

65.

V&A webpage. 2018. “The HMP Wandsworth quilt.” https://bit.ly/3sjFUDy (검색일:2021.08.09.)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