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에너지전환과 지속가능한 농촌사회를 위한 전략적 틈새로서 영농형 태양광: 가능성과 쟁점들

Possibilities and Issues of Agrophotovoltaics as a Strategic Niche for Energy Transition and a Sustainable Rural Society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1, v.31 no.4, pp.122-170
https://doi.org/10.19097/kaser.2021.31.4.122
오수빈 (서울대학교)
신수민 (서울대학교)
윤순진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영농형 태양광은 농업생산과 발전사업을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농촌의 고령화와 농가 소득 감소라는 농촌사회의 경제위기와 기후위기를 동시에 해결하는 돌파구로 등장하였지만, 농민들에게 환영받지 못한 채 사회적 갈등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궁극적으로 영농형 태양광이 ‘지속 가능한 농촌사회 유지’와 ‘에너지전환’을 함께 해결할 수 있는 틈새로서의 가능성이 있는지, 틈새 확대를 위해서는 어떤 요소가 필요한지를 전략적 틈새 관리의 세 가지 과정인 ‘기대, 사회적 네트워크, 학습’을 통해 파악해 보았다. 분석 결과 영농형 태양광은 농가의 추가 수익 증대와 농민 주도의 에너지전환이라는 기대치가 여러 세미나와 공청회를 통해 이해관계자에서 광범위하게 논의·공유되고, 긍정적 측면을 경청하여 반영하고자 하는 노력이 보인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하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쟁점들과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이 존재하기에 이해당사자들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학습 과정의 정책·제도와 경제적 논의에서 나타나는 표면적 갈등의 내면에 반대측 우려 지점이 내재해 있었다. 이에 각 지자체가 소규모 프로젝트로 영농형 태양광 사업을 시범적으로 설치하여 농민의 수용성을 함양하거나 주민참여형 협동조합 구성 및 공동 사업 절차 관리를 통한 우려 해소를 꾀할 수 있다. 영농형 태양광의 진정한 가치는 농지의 환경을 보전하면서 영농을 지속하고 재생에너지 전력을 생산하는 데 있다. 영농형 태양광이 에너지전환을 위한 전략적 틈새가 되기 위해서는 농민이 사업 주체임을 명확히 하고 임차농을 비롯한 다양한 상황에 놓인 농민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에너지전환이란 방향성을 분명히 하고 보다 깊은 사회적 논의를 거쳐 농민이 혁신 주체로 활동할 공간을 열어주어야 한다.

keywords
영농형 태양광, 에너지전환, 기후변화, 재생에너지, 전략적 틈새 관리, Agrophotovoltaics, Energy Transition, Climate Change, Renewable Energy, Strategic Niche Management

Abstract

Agrophotovoltaics has emerged as a breakthrough in resolving both climate crisis and economic crisis of rural reality, such as aging and declining farm household income, by simultaneously carrying out agricultural production and power generation projects. However, they have not been welcomed by farmers and become subject to social conflicts. Thus, this study explored whether agrophotovoltaics have a possibility to be a strategic niche to achieve a ‘sustainable rural society’ and ‘energy transition’ and what factors are needed to expand the niche through three processes of strategic niche management, ‘expectation, social network, and learning.’ After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surrounding agrophotovoltaics and analyzed the current issues concerning agrophotovoltaics, this study found that agrophotovoltaics are encouraging in that there is expectation of additional income increase for farmers and they are widely discussed through seminars and public hearings by stakeholders in various fields as a way of farmer-led energy transi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till unresolved issues and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so the stakeholders'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points of concern for the opposite side within the surface conflict arising from the policy-system and economic discussions of the learning process. As a result, local governments can set up small-scale projects on a trial basis to foster farmers' acceptance or form residents' participatory cooperatives to resolve difficulties through the management of joint project process. The true value of agrophotovoltaic lies in the continuous farming and generation of renewable energy power while preserving the farmlands environment. In order to become a strategic niche for energy transition, it should be clear that farmers are main agents of the project, fully considering the position of farmers in various situations including tenant farmers and clarifying the direction of energy transition, and space for farmers need to be opened to make them as innovative agents.

keywords
영농형 태양광, 에너지전환, 기후변화, 재생에너지, 전략적 틈새 관리, Agrophotovoltaics, Energy Transition, Climate Change, Renewable Energy, Strategic Niche Management

참고문헌

1.

국회예산처, 2021, 농가소득 증진을 위한 농촌태양광 사업 분석.

2.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전국농민회총연맹. 2021. 「농업진흥지역 영농형 태양광 설치 법률안 발의 규탄 공동성명서」 (2021.01.14.)

3.

김덕현·서종분·이승현·하지영·박향자. 2019. 「영농형 태양광시스템 하부 재배작물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대한 농가인식 비교 – 수도작과 비수도작 경영체를 중심으로 -」, 한국품질경영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2019.11.01.).

4.

김병윤. 2008. 「전환 및 전환관리: 배경과 논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Working Paper≫, 1~30쪽

5.

김봉균·김덕영·김경남·김동환. 2014. 「해상풍력 기술의 사회-기술시스템전환과정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2호, 355~379쪽.

6.

김연중. 2020. 「농촌 태양광발전 보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농정연구≫, 73호, 96~120쪽.

7.

김지혜·박종문·김우창·윤순진. 2020. 「에너지 전환의 행위공간 분석을 통한 전환 관리 방안의 모색: 서울시 미니태양광 보급정책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1권 1호: 3~29쪽

8.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2021, 농지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9.

농지법. 2020. https://www.law.go.kr/lsSc.do?section=&menuId=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060101&query=%EB%86%8D%EC%A7%80%EB%B2%95#undefined (검색일: 2021.08.12.).

10.

농지법 일부개정법률안. 2021a. 농지법 일부개정법률안(김승남의원 대표발의).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SearchResult.do. (검색일: 2021.08.12.).

11.

농지법 일부개정법률안. 2021b. 농지법 일부개정법률안(김정호의원 대표발의).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SearchResult.do. (검색일: 2021.08.12.).

12.

매일경제용어사전. n.s.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69&cid=43659&categoryId=43659 (검색일: 2021.11.21.)

13.

바비 얼(Babbie Earl). 2013. 『사회조사방법론』 . 고성호·김광기·김상욱·문용갑·민수흥·이성용·이정환·장준오·정기선·정태인 옮김. 도서출판 CENGAGTE, 박영사.

14.

박윤석. 2018. 「농가, 태양광을 만나다, 쌀전기한꺼번에 생산」, ≪Electric Power≫, 제12권 5호, 36~39쪽.

15.

배상훈. 2020. 「[ZOOM UP : 한국동서발전] 파주 영농형태양광 설비 준공: 재생에너지 확대•농촌경제 활성화 기여_주요기자재 전량 국내기업 제품으로 사용」, ≪Electric Power≫, 제14권 1호, 72쪽.

16.

배성수. 2018. 「[電력질주] 변화와 혁신을 거듭하고 있는 태양광발전소를 주목하라」, ≪전기저널≫, 16~19쪽.

17.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검색일: 2021.08.11.).

18.

산림청, 2020, 2020 임업통계연보.

19.

산림청, 2016, 2016 산림기본통계.

20.

산업통상자원부, 2017,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안).

21.

산업통상자원부, 2018, 2017-2018 산업통상자원백서 –에너지편-.

22.

산업통장자원부·한국에너지공단, 2020, 신·재생에너지 백서.

23.

송위진. 2013. 「지속가능한 사회· 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 ≪과학기술정책≫, 193호, 4~16쪽.

24.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농어촌지역 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의 갈등요인 분석과 해결방안 연구.

25.

온실가스종합센터, 2020, 2020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26.

윤순진. 2002. 「지속가능한 발전과 21 세기 에너지정책: 에너지체제 전환의 필요성과 에너지정책의 바람직한 전환방향」, ≪한국행정학보≫, 제36권 3호: 147~167쪽.

27.

윤순진·심혜영. 2015.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략적 틈새로서 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의 가능성과 제도적 한계: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제25권 1호, 140~178쪽.

28.

이무진. 2021. 「지역에서 농민이 주도하는 에너지전환 방안과 농촌의 미래」.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에너지전환포험 토론회(2021.5.3.).

29.

이유진. 2016. 「에너지전환을 위한 주민주도에너지자립마을의 틈새전략-성대골에너지자립마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재용. 2018. 「[PHOTO NEWS] 한국수력원자력 신재생에너지사업청정에너지원통한 종합에너지기업으로 도약」, ≪Electric Power≫, 제12권 8호, 64~65쪽.

31.

이정수. 2019.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법정책, 경제, 인식적 요인의 관점」, ≪한국정책연구≫, 제19권 2호, 67~87쪽.

32.

임철현·김근호·이석호·남재우·장영섭·이상록. 2018. 「국내외 영농형태양광 발전 시스템 추진동향 및 가치사슬 분석」, ≪태양에너지≫, 제16권 2호, 31~38쪽.

33.

임현지·윤순진. 2019.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 갈등에 대한 기초지자체 이격거리 규제의 정책과정 분석」, ≪태양에너지≫, 제15권 2호, 61~73쪽.

34.

조영혁·조석진·권혁수·유동희. 2019. 「영농형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축 및 활성화방안연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제28권 1호, 115~132쪽.

35.

지식경제용어사전, 201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01328&cid=50305&categoryId=50305 (검색일: 2021.11.21.)

36.

최승국·최근희. 2016. 「에너지전환을 위한 태양광발전 활성화 방안 연구」, ≪도시행정학≫, 제29권 3호, 275~295쪽.

37.

통계청. 2020. 농가경제조사. https://kosis.kr. (검색일: 2021.08.12.).

3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 농촌 태양광 보급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3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1, 탄소중립, 농촌 태양광의 이슈와 과제.

40.

한국영농형태양광협회. 2019. 2019 영농형태양광 정책 사업 설명회.

41.

한재각. 2020. 「한국 에너지전환의 미래: 다양한 스케일의 전환 경로 탐색」, ≪공간과 사회≫, 제71권, 214~246쪽.

42.

한재웅·전명진·이효재·이승기·서동수·서지현·김웅. 2020.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스템 하에서의 배추 생육특성」,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2020.06.15).

43.

한재웅·전명진·김락우·이승기·서동수·서지현·김웅. 2021.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의 고구마 생육특성」,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2021.04.30).

4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미래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중장기 발전방향: 육상태양광발전 보급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45.

변상근. 2020.10.31. “남동발전 삼천포발전본부, 영농형 태양광 수확 쌀 기탁”. ≪뉴스메이커≫ http://www.newsmak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107158 (검색일: 2021.08.15.)

46.

변상근. 2020.11.17. “[기획] 남동발전, 영농형 태양광으로 농가 사업모델 구축”.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01117000067 (검색일: 2021.08.15.)

47.

원재정. 2021.03.10. “경남도, 함양 '영농형 태양광' 실증사업 시작”. ≪한국농정≫ http://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3522 (검색일: 2021.08.05.)

48.

유형동. 2021.01.14. “[태양광, 지구 살리는 기술] ③전남도, 신재생·디지털도입…“대기업·자본가들이 돈 버는 구조에서 농촌·농민 살리는 구조로”. ≪AI 타임스≫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5655 (검색일: 2021.08.12.)

49.

유형동. 2021.01.17. “[태양광, 지구 살리는 기술] ④ 문병완 보성농협 조합장 “영농형 태양광, 활력 넘치는 농촌 만든다”. ≪AI 타임스≫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5734 (검색일: 2021.08.12.)

50.

유형동. 2021.01.20. “[태양광, 지구 살리는 기술] ⑤ 이개호 국회의원 “영농형 태양광, 농촌 경제 활성화 대안…농업진흥구역 일부 해지 검토해야”. ≪AI 타임스≫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5844 (검색일: 2021.08.12.)

51.

유형동. 2021.01.27. “[태양광, 지구 살리는 기술] ⑥ “영농형 태양광, 도‧농 모두 살리는 특효약” 정우식 한국태양광산업협회 상근부회장 인터뷰“. ≪AI 타임스≫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006 (검색일: 2021.08.12.)

52.

이건오. 2020.11.02. “전남농기원, 400kW급 영농형 태양광 표준시스템 개발”. ≪솔라투데이≫ http://www.solartodaymag.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87.(검색일: 2021.08.12.)

53.

이원희. 2021.06.29. “농민단체 ‘소형 영농형 태양광 지원법’ 입법 강력히 촉구”. ≪에너지경제≫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10629010005454. (검색일: 2021.07.20.)

54.

장수지. 2021.03.14. “반발 여전한 가운데 영농형 태양광 농민 ‘지원’ 법안 나와”. ≪한국농정≫ http://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3543. (검색일: 2021.07.20.)

55.

진경남. 2021.05.03. “영농형태양광 REC가중치 기준 신설되나”. ≪이투뉴스≫ https://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327. (검색일: 2021.08.03.)

56.

Elmustapha, H., Hoppe, T., & Bressers, H. 2018. “Comparing two pathways of strategic niche management in a developing economy; the cases of solar photovoltaic and solar thermal energy market development in Lebanon.”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 186, pp. 155~167.

57.

Geels, Frank W. 2019. “Socio-technical transitions to sustainability: a review of criticisms and elaborations of the Multi-Level Perspective,” Current Opinions i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39: 187-201.

58.

Geels, Frank W. 2002. “Technological transition as evolutionary reconfiguration process: a multi-level perspective and a case-study.” Research Policy, Vol. 31, No. 8, pp. 1257~1274.

59.

Kemp, R., Schot, J., & Hoogma, R. 1998. “Regime shifts to sustainability through processes of niche formation: the approach of strategic niche management.”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Vol. 10, No. 2, pp. 175~198.

60.

Schot, J., & Geels, F. W. 2008. “Strategic niche management and sustainable innovation journeys: theory, findings, research agenda, and policy.”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Vol. 20, No. 5, pp. 537~554.

61.

Sovacool, B. K. 2009. “Rejecting renewables: The socio-technical impediments to renewable electricity in the United States.” Energy Policy, Vol. 37, No. 11, pp. 4500~4513.

62.

Van der Laak, W. W. M., Raven, R. P. J. M., & Verbong, G. P. J. 2007. “Strategic niche management for biofuels: Analysing past experiments for developing new biofuel policies.” Energy Policy, Vol. 35, No. 6, pp. 3213~3225.

63.

Wüstenhagen, R., Wolsink, M., & Bürer, M. J. 2007. “Social acceptance of renewable energy innovation: An introduction to the concept.” Energy policy, Vol. 35, No. 5, pp. 2683~2691.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