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지역정책의 건강효과성과 건강형평성: 상충과 어울림

Reconciling Health-effectiveness and Health-equity of Local Policies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1, v.31 no.4, pp.171-197
https://doi.org/10.19097/kaser.2021.31.4.171
이시철 (경북대학교)

초록

지역 단위의 정책이나 계획이 개별 시민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새로운 주장이 아니지만, 다양한 건강친화 정책이 효과성과 함께 모든 시민에게 골고루 혜택이 갈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이 논문에서는 지역정책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성과 형평성 측면으로 나누되 교차하여 살핀다. 관련 이론과 제도를 포괄하는 가운데 한국의 ‘건강도시’ 등 사례의 시사점도 언급하면서 두 가치의 접점을 찾는다. 건강형평성은 정책의 혜택이 지역 안팎에서 균형 있게 배분되는지의 이슈인데, 학술연구뿐 아니라 실천적 의미 또한 상당하다. 이 논문은 효과성-형평성의 양립 가능성, 상호배타성을 관찰하는 분석틀을 제시하면서 그 둘이 어떻게 어우러질 수 있을지를, 또한 이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를 모색한다. 비록 동반-상충관계가 있지만, 지역단위의 건강정책이 의미 있게 지속가능하려면 두 가치가 조화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지금까지 이 둘의 상호 작용 가능성을 직접 탐색한 연구가 별로 없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미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 경험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체화하게 될 것이다.

keywords
지역정책, 도시계획, 건강효과성, 건강형평성, 건강도시, local policy, urban planning, health effectiveness, health equity, health cities

Abstract

While the argument that local policy or planning affects individual’s health is not new, it has yet to be further explored how effective it is and how fairly citizens benefit from diverse health-friendly policy or programs. This manuscript examines local policies’ health impact from two perspectives: effectiveness and equity. At the outset, we review relevant theories and practices, including health disparities and Korea’s health city initiatives. The issue of health equity embraces both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this paper shows a different way to measure if the two values are compatible or mutually-exclusive, employing a new conceptual framework to analyze how the two can be reconciled. Possible measurements for both values are also examined. Future empirical analyses, based on a framework explored in this paper, would reveal more empirical evidence to explain the interaction between health effectiveness and health equity.

keywords
지역정책, 도시계획, 건강효과성, 건강형평성, 건강도시, local policy, urban planning, health effectiveness, health equity, health cities

참고문헌

1.

강영호. 2006. 한국의 건강불평등 현황과 과제. <한겨레-한국건강형평성학회 대토론회> 발표문.

2.

경상북도. 2014.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워크샵 자료. 2014.8.26. (경상북도 통합건강증진사업 지원단)

3.

경상북도. 2019. 건강마을 조성사업백서: 이웃과 함께 하는 건강공동체 5년간의 발자취. (경상북도-건강마을 도협의체).

4.

강영호. 2015. 우리나라 광역시·도와 시·군·구의 소득수준별 기대여명 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 개방 2차년 성과공유 심포지엄> 2015.11.10. 국민건강보험공단.

5.

국토연구원. 2014. 웰빙사회를 선도하는 건강도시 조성방안 연구(I).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수립. 국토연구원 협동연구 총괄보고서. (김태환, 김은정, 전혜선, 강미나, 김성수, 양진홍)

6.

김창엽. 2006. 건강 불평등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한겨레-한국건강형평성학회 대토론회> 발표문.

7.

김창엽. 2015. 건강 불평등의 현상과 의미 - 이정우ㆍ이창곤 외. 2015. <불평등 한국, 복지국가를 꿈꾸다>. pp. 223-236. 서울: 후마니타스.

8.

김창엽, 김명희, 이태진, 손정인. 2015. 한국의 건강 불평등.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9.

노병일, 곽현근. 2005. 동네의 맥락적 특성이 주민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동네빈곤, 무질서, 네트워크 형성을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17권, 5-31.

10.

박근덕, 이수기. 2018. 근린환경특성과 일상보행활동 그리고 주관적 건강수준의 구조적 관계 분석: 경로모형의 적용. 국토계획 53권 1호, 255-272.

11.

박근덕, 이수기. 2017. 개인 및 가구특성과 물리적 환경이 거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경기도 지역사회건강조사 2013-14 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2권 3호, 93-108.

12.

보건복지부. 2015.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13.

서울시. 2015. 서울시 건강도시사업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서울연구원 연구보고서.

14.

수성구. 2014. <건강도시 수성 프로젝트> 학술연구용역 최종 보고서. (연구책임: 김건엽)

15.

이경환, 안건혁. 2007. 커뮤니티의 물리적 환경이 지역주민의 보행시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40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42권 6호, 105-118.

16.

이경환ㆍ안건혁. 2008. 근린 환경이 지역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40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43권 3호, 249-261.

17.

이시철. 2012. 도시정책과 토지 다이어트의 건강영향 모색. 도시행정학보 25권 1호, 3-29.

18.

이정우. 2010. 불평등의 경제학. 서울: 후마니타스.

19.

이창곤. 2012. 추적, 한국 건강불평등 (사회의제화를 위한 국민보고서). 도서출판 밈.

20.

정정길. 2016.. 정책학 원론. (개정증보 10판) 서울: 대명출판사.

21.

조홍준. 2013. 보건의료에서의 형평성: 우리나라의 현황.대한의사협회지 56권 3호, 184-194.

22.

한국건강형평성학회. www.healthequity.or.kr (2018.6.1. 검색)

2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한국의 건강불평등 보고서 통계집 1> (김동진, 기명, 김명희, 김유미, 윤태호, 장숙랑, 정최경희)

24.

한국일보. “기대수명 불평등… 서초구 부자가 화천군 저소득층보다 15년 더 길다” 2015.11.10.

25.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PHA) 홈페이지. www.apha.org [2018.6.7 검색]

26.

Brownson, R C, R A. Housemann, D R. Brown, J Jackson-Thompson, A C. King, BR. 2005. A Cost-Benefit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Using Bike/Pedestrian Trails. Health Promotion Practice 6, no.2: 174-179.

27.

Coburn, J. 2007. Community knowledge in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Co-producing policy expertise.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icy 10, no.2: 150-161.

28.

Coburn, J. 2010. Rebuilding the foundations of health: Planning for healthier and more equitable places. Planning Theory and Practice 11, no.3: 435-441.

29.

CDC. 2005. Healthy Communities: What Local Governments Can Do To Reduce and Prevent Obesity.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30.

Dannenberg, A L, H Frumkin & R Jackson 2011. Making Healthy Places. Washington DC: Island Press.

31.

DHSS. 1980. Inequalities in Health. London: DHSS. August 1980. [The Black Report]

32.

Doyle, S. A. Kelly-Schwarz, M. Schlossberg, and J. Stockard. 2006. Active Community Environments and Health.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2, no.1: 19-31.

33.

Egolf, B., J. Lasker, S. Wolf & L. Protvin. 1992. The Roseto Effect: A 50-Year Comparison of Mortality Rat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2, no.8: 1089-1092.

34.

Eicher, C. & I. Kawachi. 2014.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Design. - Frumpkin, H., L. Frank & R. Jackson eds. (2004). Urban sprawl and public health: Designing, planning, and building for healthy communities. Washington DC: Island Press.

35.

Ewing, R., G. Meakins, S. Hamidi, A. C. Nelson. 2014.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rawl and physical activity, obesity, and morbidity. Health and Place 26: 118-126.

36.

Fiscella, K. 2010. Achieving the healthy people 2010 goal of elimination of health disparities: What will it take?" In Beyond Health Insurance: Public Policy to Improve Health. (Published online) Mar. 2015: 25-41.

37.

Frank, L. D., P. Engelke, & T. L. Schmid. 2003. Health and Community Design. Washington DC: Island Press.

38.

Frumpkin, H., L. Frank & R. Jackson eds. 2004. Urban sprawl and public health: Designing, planning, and building for healthy communities. Washington DC: Island Press.

39.

Gehl, Jan. 2010. Cities for People. Washington DC: Island Press.

40.

International Society for Equity in Health. www.iseqh.org (2016.1.30. 검색)

41.

Kim, E. J. 2008. Effects of Built Environmental Factors 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Disparity. 국토연구 59: 203-222.

42.

Lee C and Moudon AV. 2004. Physical activity and environment research in the health field: Implications for urban and transportation planning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19, no.2, 147-181.

43.

Linenger JM, Chesson CV, Nice DS. 1991. Physical fitness gains following simple environmental chang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7, 298–310.

44.

McCartney, G., C. Collins, & M. Mackenzie. 2014. What (or Who) causes health inequalities: Theories, evidence and implications? Health Policy 113: 221-227.

45.

NHS Health Scotland. 2016. Economics of Prevention. www.healthscotland.com (2018. 6. 22. 검색)

46.

Sallis, J F, R A Millstein, & J A Carlson. 2011. Community Design for Physical Activity – In Frumpkin, H., L. Frank & R. Jackson eds. (2004). Urban sprawl and public health: Designing, planning, and building for healthy communities. Washington DC: Island Press.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