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주 지역 여성청년의 독립 실천을 다루면서 중심부와 주변부의 공간위계가 상상되고 경합되는 과정의 역동을 살펴본다. 농촌보다는 도시를, 지방보다는 서울을 열망하는 공간위계 속에서 지역 청년들의 변화하는 생애주기에 대한 인식과 삶의 맥락은 어떻게 구성되고 있을까? 중심부와 주변부 공간의 물질적이고 상징적인 격차가 심화되는 가운데 지역, 젠더와 계급이라는 범주는 어떻게 각축하고 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독립과 의존을 대립적인 것으로 상정하는 대신 여성청년들의 독립 실천을 ‘과정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잔류”로 표상되는 삶의 맥락 속에서 자신만의 공간을 확보하려는 다양한 실천을 살펴본다. 이들의 독립 실천은 중앙과 지방, 이주와 정주라는 이중의 위계 속에서 현재적 사건으로 긍정되지 못하며 다양한 구조적 곤란에 맞닥뜨리게 된다. 그럼에도 이들은 다양한 공간전략을 구사하며 새로운 장소를 만들어낸다. 관계적 장소로서 새롭게 집을 장소화하는 이들의 실천에는 중앙-지방의 공간위계를 새롭게 사유할 가능성이 잠재한다.
This paper, considering the young unmarried women’s experiences of making their own space in Jeju Island, explores the ways of interpreting the hierarchical dualism of geographical center and periphery in South Korea. Our research question is how the young women who live in Jeju perceive and interpret their own life context, and then how they cope with spatial hierarchy between the urban and the rural, and between Seoul and the local. In some sense, their encounter with the spatial hierarchy cannot but help break through the effects of intermingling social forces such as locality, gender and class. The deepening gap of material (economic) opportunities and of symbolic power between the central and peripheral region is a big challenge to the young generation in Jeju. We define their practices of making their own living spaces as ‘processive’ and regard these as ‘remaining’ in their living context. Their practices are neglected in the cultural circumstance that forces the young generation to sacrifice the present for the future. That sacrifice is justified as an investment. It looks like an structurally imposed obstacle. Nevertheless, the young women, particularly unmarried women try to reclaim new places through negotiating between their position within the structure and their own strategic choice. It can be their detour through which they rethink the spatial hierarchy.
강봉수·정진현. 2010. 제주 지역주민의 교육요구 조사연구 (Ⅱ): 제주의 고등학교 교육쟁점과 그 대안. 교육과학연구.
강준만. 2008. 『지방은 식민지다』 개마고원.
강준만. 2015. 지방의 내부식민지화를 고착시키는 일상적 기제. 『사회과학연구』 54(2). 113-147.
고병진.김리나. 2018. 규범으로서의 독립의 실천과 갈등: 서울 거주 20대 고학력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69-100.
권민지. 2018. ‘내 집’ 만들기: 주거불안계급 여성청년의 공간전략. 『공간과 사회』 28집 3호. 271-301.
권수빈. 2020. 청년세대 연구에 지역이라는 교차로 놓기: ‘지방대학생/지방청년’에 관한 학술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문화와 정치.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53-90.
권수빈. 2021. 지방청년은 말할 수 있는가? 『한편 6호 : 권위』 민음사 편집부.
김민선. 2014. 제주지역 청년들의 불안, 자기관리 및 유동하는 삶.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김선기. 2014. 세대연구를 다시 생각한다 : 세대주의적 경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문화와 사회. 17. 207-248.
김영미. 2016. 계층화된 젊음: 일, 가족형성에서 나타나는 청년기 기회불평등. 『사회과학논집』 47집 2호. 27-52.
김영순. 2010.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사회권을 통해 본 한국의 젠더체제. 사회보장연구. 261-287.
김홍중. 2015. 서바이벌, 생존주의, 그리고 청년 세대. 한국사회학. 197-212.
달라 코스타. 마리아로사. 2017. 집안의 노동자. 김현지·이영주 옮김. 갈무리.
데이비스, 마이크. 2007. 『슬럼, 지구를 뒤덮다: 신자유주의 이후 세계 도시의 빈곤화』 김정아 역. 돌베개.
라루, 아네트. 2012. 『불평등한 어린 시절』 박상은 옮김 .에코 리브르.
로즈, 질리언. 2011. 『페미니즘과 지리학: 지리학적 지식의 한계』 정현주 역. 한길사.
류도향. 2020. 열린 가족과 진보적 장소감. 인문학연구120권0호. 215-240.
매시, 도린. 2015. 『공간, 장소, 젠더』 정현주 역.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맥도웰, 린다. 2010. 『젠더 정체성 장소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이해)』 여성과 공간 연구회 역. 한울아카데미
미첼, 돈. 2011. 『문화정치 문화전쟁 (비판적 문화지리학)』 류제헌 외 2명 역. 살림.
바렛, 미셸. 2019. 『반사회적 가족』 배은경·김혜경 역 나름북스.
박경. 2020. 지방 대학에 대한 낙인과 지방대생의 손상된 사회적 정체성. 사회과학연구. 171-205.
박경환. 2011. 글로벌, 로컬, 스케일 -공간과 장소를 둘러싼 정치. 로컬리티 인문학. 47-85.
박기남. 2011. “20-30대 비혼 여성의 고용 불안 현실과 선택” 『한국여성학』. 1-39.
박미선. 2017. 한국주거불안계급의 특징과 양상: 1인 청년가구를 중심으로. 『공간와 사회』. 통권 제62호. 110-140.
박소진. 2007. “공간적 위계수사와 구별짓기: 강북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내러티브” 『한국문화인류학』. 43-81.
박혜경. 2009.“ 한국 중산층의 자녀교육 경쟁과 전업 어머니 정체성” 『한국여성학』. 5-33.
배은경. 2009. ‘경제 위기’와 한국 여성 = 여성의 생애전망과 젠더/계급의 교차. 『페미니즘 연구』. 39-82.
배은경. 2015. 청년 세대 담론의 젠더화를 위한 시론 –남성성 개념을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8집 1호. 7-41.
백미록. 2015. 주거 불안을 통해 본 2,30대 비혼 여성의 주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 M구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백진아. 2009. 한국의 가족 변화: 가부장성의 지속과 변동. 현상과 인식. 204-224.
밸런타인, 질. 2014. 『공간에 비친 사회, 사회를 읽는 공간』 한울아카데미.
부르디외, 피에르. 2014. 언어와 상징권력. 김현경 역. 나남출판.
사센, 사스키아. 2016. 사스키아 사센의 세계경제와 도시. 남기범 외 2명 역. 푸른길.
서동진. 2009.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돌베개.
송제숙. 2016. 『혼자 살아가기: 비혼여성, 임대주택, 민주화 이후의 정동』 황성원 역. 동녘.
신광영. 2009. 세대, 계급과 불평등. 『경제와 사회』 81호. 35-60.
실바. 제니퍼. 2020. 『커밍업쇼트』 문현아. 박준규 역. 리시올.
양승훈. 2019.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 (산업도시 거제, 빛과 그림자). 오월의봄
양승훈. 2021. “제가 그래도 대학을 나왔는데” : 동남권 지방대생의 일경험과 구직. 경제와사회. 10-54.
우석훈·박권일. 2007. 『88만원 세대』. 레디앙.
윤택림. 2019. 『역사와 기록 연구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앳킨스, 리사 &멀린다 쿠퍼 & 마르티즌 코닝스. 2021. 『이 모든 것은 자산에서 시작되었다』 김현정 역. 사이.
엄기호. 2010. 『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 20대와 함께 쓴 성장의 인문학』 푸른숲.
오찬호. 2013.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개마고원.
이나영. 2014 한국사회의 중층적 젠더 불평등 평등 신화와 불/변하는 여성들의 위치성. 『한국여성학』. 1-45.
이안나. 2014. 지방 P대 여학생들의 ‘불안’경험과 자기통치의 대응전략. 계명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이상봉. 2018. “한국사회 중앙-지방 불평등에 대한 문화적 접근”. 『로컬리티 인문학』. 2018.10. 103-142.
이상철. 1995. “제주사회변동론 서설: 개방정책과 산업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신행철 외.『제주사회론』. 한울. 273-311.
이재경·김보화. 2015. 2, 30 대 비혼 여성의 결혼 전망과 의미: 학력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임윤서·안윤정. 2017. 서울에서 '지방출신 여대생'으로 살아가기: 서울살이에 대한 포토보이스 적용. 아시아여성연구. 205-256.
장경섭·최선영. 2018. “남성 노동생애와 가족생활주기의 착종”. 내일의 종언.
장경욱. 2020. 지방대생의 목소리를 가장한 차별의 시선: 최종렬의 “복학왕의 사회학” 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인문사회21. 1051-1066.
장민지. 2015. 젠더/무의식과 장소. 미디어, 젠더 & 문화. 41-81.
장민지. 2016. 유동하는 세계에서 거주하는 삶: 여성청년 이주민의 장소 만들기. 『문화연구』. 한국문화연구학회. 68-105.
정민우. 2011. 『자기만의 방』 이매진.
정민우·이나영. 2011. ‘가족’의 경계에 선 청년세대 -성별화된 독립과 규범적 시공간성. 『경제와 사회』 89호. 105-145.
정성조. 2019. ‘청년 세대’ 담론의 비판적 재구성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12-39.
정성훈. 2016. 한국 지역불균등 발전의 해부: 영국과 이탈리아 부, 불균등, 지역발전 경험으로부터 교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330-342.
정현주. 2008. 이주, 젠더, 스케일 :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대한지리학회지. 894-913.
정현주. 2016. 젠더화된 도시담론 구축을 위한 시론적 검토: 서구 페미니스트 도시연구의 기여와 한계 및 한국 도시지리학의 과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83-300.
제주특별자치도. 2017. 『제주 청년 종합실태조사 및 청년정책 기본계획 보고서』
제주여성가족연구원. 2018. 『제주지역 여성 1인 가구 생활실태 및 정책 지원방안 연구』
조성윤. 1995. “제주도 도시개발의 기본구조”. 신행철 외. 『제주사회론』. 한울. 71-104.
조은. 2001. 문화 자본과 계급 재생산 -계급별 일상 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166-207.
조은. 2004. 세계화의 최첨단에 선 한국의 가족 –신글로벌 모자녀 가족 사례연구. 『경제와 사회』 64호. 148-173.
조은. 2008.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가족 정치의 지형 계급과 젠더의 경합. 『한국여성학』. 5-37.
조은주. 2018. ‘가족’ 이후에 관한 질문들. 황해문화. 109-125.
조주은. 2004. 『현대가족이야기』. 이가서.
주형일. 2010. 지방대에 대한 타자화 담론의 주관적 수용의 문제 -자기민속지학 방법의 적용. 미디어, 젠더 & 문화(13호) 75-113.
칸티요티, 데니즈. 2012. 가부장제와 교섭하기. 『페미니즘 왼쪽 날개를 펴다』. 낸시 홈스트롬 편. 유강은 역. 메이데이.
콜린스. 패트리샤 힐. 2009. 『흑인 페미니즘 사상』 주해연·박미선 역.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9.
크레스웰. 팀. 2012. 『장소: 짧은 지리학 개론 시리즈』. 심승희 역. 시그마프레스.
틸리, 루이스 & 조안 W. 스콧. 2008. 『여성 노동 가족』
파레냐스. 라셀. 2009. 세계화의 하인들. 문현아 옮김. 여이연.
폴브레, 낸시. 2007. 보이지 않는 가슴. 윤자영 역. 또하나의 문화.
페데리치, 실비아. 2013. 혁명의 영점. 황성원 역. 갈무리.
프레이저, 낸시. 2017. 의존의 계보학. 『전진하는 페미니즘』. 임옥희 역. 돌베개.
하딩, 샌드라. 누구의 과학이며 누구의 지식인가. 조주현 역. 나남출판.
한우리. 2017. 이생망 헬조선 여성청년들의 페미니스트 되기. 여/성이론. 58-78.
혹실드. 앨리 러셀. 2013. 나를 빌려 드립니다. 류현 옮김. 이매진.
Dalla Costa, Mariarosa. 1972. The Power of Women and the Subversion of the Community. (여성들과 공동체의 전복. 이승준 번역. 웹진 인-무브(http://en-movement.net/category).
bell hooks. 1990. homeplace a place of resistance. Yearning
Blatterer, Harry. 2010. Coming of Age in Times of Uncertainty. Berghahn Books.
Elwood. Sarah A. 2000. “Lesbian Living Spaces: Multiple Meanings of Home.” Journal of Lesbian Studies. vol. 4, no. 1, 2000. 11-27
England, K. 1991. Gender relations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ity. Geoforum 22 pp.135-147.
Freeman. Carla. Is Local:Global as Feminine:Masculine? Rethinking the Gender of Globalization. Signs. 2001.
Haraway, Donna. 1988. Situated Knowledges: The Science Question in Feminism and the Privilege of Partial Perspective. Feminist Studies. Vol. 14, No. 3
Young, I.M. 1990 Throwing Like a Girl and Other Essays in Feminist Philosophy and Social Theory.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Indiana University Press.
Helen Austerberry and Sophie Watson. 1981. A Woman's Place: A Feminist Approach to Housing in Britain/
Mærsk, Eva & Annette Aagaard Thuesen & Tialda Haartsen. 2021. Symbolic mobility capital to fight the social stigma of staying: how young adults re-imagine narratives of ‘leaving’ during higher education. Journal of Youth Studies.
Silva. Jennifer. 2012. Constructing Adulthood in an Age of Uncertain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7(4). 505-522
Thomassen. Jonne A. K. The roles of family and friends in the immobility decisions of university graduates staying in a peripheral urban area in the Netherlands. Popul Space Place. 2021
Urry, John. 1990. The Tourist Gaze. SAGE Publications.
Shields, Rob. 1991. Places on the margins. Routledge.
시사인(2017.7.13.)“우리는 지방에 ‘남’지 않고 ‘살’고 있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547
시사인(2017.7.4) 지방청년으로 산다는 것 그리고 꿈꾼다는 것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497
제민일보(2021.5.26.) 제주 인구유출 '청년·산남' 집중...지역격차 확대 우려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658500
제민일보(2021.3.20.) 제주로 유입인구 느는데 청년 유출은 심화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13907
제주투데이(2021.8.24.) [으쌰!!제주노동] 제주 노동자 3명중 1명이 가난할 수밖에 없는 까닭 http://www.ijeju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26271
통계청, 2020. 6. 29.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과 향후 인구전망. 보도자료.
한국감정원. 종합주택 매매가격지수 2010~2020.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 2020. 최근 4년간(2015~2018년) 제주 청년가구의 주택소유현황.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