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교육이주 모빌리티로 형성된 제주영어교육도시의 장소성

The Placeness of Jeju Global Education City through Educational Migration Mobility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1, v.31 no.4, pp.52-91
https://doi.org/10.19097/kaser.2021.31.4.52
강다희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고민경 (경북대학교)

초록

제주영어교육도시는 해외유학 및 어학연수의 대안적 공간으로서 제주로의 교육이주를 끌어들이고 있다. 이 연구는 교육이주 모빌리티로 형성된 제주영어교육도시의 장소성을 분석하고 사회공간적 함의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 교육이주 모빌리티에 의해 형성된 제주영어교육도시는 기존의 제주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별적인 모습이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이주 모빌리티는 어떻게 제주에 뿌리내려 정착의 토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제주영어교육도시는 이주자들에게 어떤 장소로 인식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교육이주자들은 이질적 무대를 만들어 일시적 뿌리내림과 관계맺기를 실천하며 통로적 장소감을 갖고 살아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주영어교육도시는 교육이주 모빌리티에 의해 이질성, 일시성 및 통로성의 장소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keywords
제주영어교육도시, 교육이주 모빌리티, 모빌리티 렌즈, 장소성, 이질성, 일시성, 통로성, Jeju Global Education City(JGEC), educational migration mobility, mobility lens, placeness, heterogeneity, temporality, passageness

Abstract

Jeju Global Education City(JGEC) attracts educational migration to Jeju as an alternative space for overseas study and English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laceness of JGEC formed by educational migration mobility and discusses the social and spatial implications. To this end, we investigate differential features and landscapes of JGEC compared to the existing Jeju. In addition, we examine how educational migration mobility is embedded to JGEC by doing so, how JGEC is perceived as a place by migrants. We found that educational migrants produced a heterogeneous site, practiced temporary embeddednes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actors in JGEC, and lived with a sense of place as a passage to other spaces. As a result, JGEC constructs heterogeneity, temporality, and passageness of placeness through educational migration mobility.

keywords
제주영어교육도시, 교육이주 모빌리티, 모빌리티 렌즈, 장소성, 이질성, 일시성, 통로성, Jeju Global Education City(JGEC), educational migration mobility, mobility lens, placeness, heterogeneity, temporality, passageness

참고문헌

1.

고민경. 2019. 「모빌리티를 통해 본 이주자 밀집지역의 역동성 탐구: 대림동 중국국적 이주자 밀집지역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31권 3호, 155~171쪽.

2.

고선지. 2019. 「제주 국제학교 졸업생의 해외 대학 유학 생활 경험」.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공윤경. 2010. 「부산 산동네의 도시경관과 장소성에 관한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권 2호, 129~145쪽.

4.

김원보. 2008. 『제주영어교육도시의 효율적 운영방안 및 제주의 영어경쟁력 강화 방안』. 제주발전연구원.

5.

김원보·이용민. 2007. 「필리핀의 사례검토를 통한 제주영어교육도시의 운영방안」. 《영어영문학》, 12권 2호, 1~13쪽.

6.

김정임·윤명희. 2017. 「제주영어교육도시 지역주민의 생활실태―국제학교 학부모의 사례를 중심으로」. 《탐라문화》, 통권 55호, 145~181쪽.

7.

김종훈. 2004. 「국제자유도시의 언어정책: 싱가포르와 홍콩 그리고 제주도의 경우」. 《영어영문학연구》, 46권 4호, 217~242쪽.

8.

김태경. 2016. 『제주영어교육도시의 파급효과 실증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한국경제연구원.

9.

박순철. 2010. 「동북아의 교육허브를 꿈꾼다-제주영어교육도시 조성 및 국제학교 설립ㆍ유치 추진 상황」. 《본질과 현상》, 통권 22호, 240~244쪽.

10.

박은관. 2007. 『제주 영어전용타운 조성을 위한 사전조사 연구』. 국무조정실 발간자료.

11.

신혜진. 2018. 「제주국제학교를 선택한 학부모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양영철. 2009. 『제주영어교육도시 내 국제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시도교육청.

13.

이상봉. 2017. 「모빌리티의 공간정치학: 장소의 재인식과 사회관계의 재구성」. 《대한정치학회보》, 25권 1호, 113~138쪽.

14.

이영민·이용균·이현욱. 2012. 「중국 조선족의 트랜스이주와 로컬리티의 변화 연구: 서울 자양동 중국음식문화거리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5권 2호, 103~116쪽.

15.

이영민·이은하·이화용. 2013. 「중국 조선족의 글로벌 이주 네트워크와 연변지역의 사회-공간적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권 3호, 55~70쪽.

16.

이용균. 2015. 「모빌리티의 구성과 실천에 대한 지리학적 탐색」.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권 3호, 147~159쪽.

17.

이용균. 2019. 「모빌리티의 생성과 모빌리티 렌즈로 보는 세상 읽기: 광주에서 오키나와로의 이동을 중심으로」. 김수철 엮음. 『모빌리티와 생활세계의 생산』. 앨피.

18.

장세룡. 2012. 「이동성과 이주공간의 변화 그리고 로컬리티의 생성」. 《로컬리티 인문학》, 7권, 133~170쪽.

19.

정승모. 2021. 「제주 영어교육도시 국제학교의 지역 착근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크레스웰·르마르샹. 2021. 『선을 넘지 마시오: 경유 공간에서의 이동 통제와 정체성 형성』. 박재연 옮김. 앨피.

21.

Adey, P. 2009. Mobility. London: Routledge.

22.

Beck, U. 2017. “Mobility and the Cosmopolitan Perspective.” in S. Kesselring, M. Freudendal-Pedersen(eds). Exploring Networked Urban Mobilities, New York: Routledge.

23.

Cresswell, T. 2006. On the Move: Mobility in the Modern Western World. London: Roultledge.

24.

Cresswell, T. 2010. “Towards a Politics of Mobility.” Environment and Planning D: Space and Society, Vol.28, No.1, pp.17~31.

25.

Haas, T. 2021. “The Political Economy of Mobility Justice: Experiences from Germany, Mobilities, https://doi.org/10.1080/17450101.2021.1987153.

26.

Jensen, A. 2011. “Mobility, Space and Power: On the Multiplicities of Seeing Mobility.” Mobilities, Vol.6, No.2, pp.255~271.

27.

Koh, S.Y. and B. Wissink. 2018. “Enabling, Structuring and Creating Elite Transnational Lifestyles: Intermediaries of the Super-Rich and the Elite Mobilities Industry.”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Vol.44, No.4, pp.592~609.

28.

Luthra, R. and L. Platt. 2016. “Elite or Middli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Migrant Diversification,” Ethnicities, Vol.16, No.2, pp.316~344.

29.

Malkki, L. 1992. “National Geographic: The Rooting of Peoples and the Territorialization of National Identity Among Scholars and Refugees.” Cultural Anthropology, Vol.7, No.1, pp.24~44.

30.

Massey, D. 1997. “A Global Sense of Place,” in T.Barnes and D.Gregory(eds). Reading Human Geography: The Poetics and Politics of Inquiry, London: Arnold, pp.315~323.

31.

Massey, D. 2005. For Space, London: Sage.

32.

Meier, L. 2015. Migrant Professionals in the City: Local Encounters, Identities and Inequalities. London: Routledge.

33.

Mitchell, T. 2004. “The Middle East in the Past and The Future of Social Science.” in D. L. Szanton(eds.). The Politics of Knowledge: Area Studies and the Discipline. Berkel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74~118.

34.

Norris, P. 2003. “Global Governance and Cosmopolitan Citizens,” in D. Held and A. McGrew(eds). The Global Transformations Reader, 2nd ed. pp.287~298. Cambridge: Polity Press.

35.

Pred, A. 1984. “Place as Historically Contingent Process: Structuration and the Time-Geography of Becoming Place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Vol.74, No.2, pp.279~297.

36.

Rivers, W. P. 1998. “Is Being There Enough? The Effects of Homestay Placements on Language Gain During Study Abroad.” Foreign Language Annals, 31(4), pp.492~500.

37.

Sauer, C. 1952. Agricultural Origins and Dispersals. New York: The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38.

Sheller, M. 2016. “Uneven Mobility Futures: A Foucauldian Approach,” Mobilities, Vol.11, No.1, pp.15~31.

39.

Sheller, M. 2018, Mobility Justice. Brooklyn, NY: Verso Books.

40.

Sibley, D. 1981. Outsiders in Urban Societies. Oxford: Blackwell.

41.

Thrift, N. 1994. “Inhuman Geographies: Landscapes of Speed, Light and Power.” in P. Cloke(eds.). Writing the Rural: Five Cultural Geographies. London: Paul Chapman, pp.191~250.

42.

Torkington, K. 2012. “Place and Lifestyle Migration: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Glocal’ Place-Identity.” Mobilities, Vol.7, No.1, pp.71~92.

43.

Urry, J. 2007. Mobilities: New Perspectives of Transport and Society. New York: Routledge.

44.

Urry, J. 2012. Sociology Beyond Societies, London: Routledge.

45.

교육부 외국교육기관 및 외국인종합안내서비스, https://www.isi.go.kr/EgovPageLink.do?link=isi/kr/serviceIntro/service04&menuId=A004

46.

서귀포시 홈페이지(주민등록통계), https://www.seogwipo.go.kr/info/stats/resident.htm

47.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홈페이지, https://www.jdcenter.com

48.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홈페이지, http://www.jje.go.kr

49.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http://www.jeju.go.kr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