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본 연구는 사물 모빌리티에 도시의 기능이 의존하게 되는 도시 현상을 ‘택배도시 현상’으로 정의하고, 행위자의 행동 및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도시경관을 보다 입체적으로 목격하는 행위경관(taskscape) 개념을 통해 그 거시적·공간적 특징을 질적 연구하였다. 연구의 핵심은 거시·공간적 행위경관의 틀을 사용해 택배도시 현상에 따른 도시의 외연을 관찰,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를 통해, COVID-19에 따라 소비의 공간적 배경이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전면 전환되는 것에 맞추어 도시의 구조 역시 사물 모빌리티를 지원하기 위해 물리적·공간적 인프라 스트럭처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세부적으로는 물류를 지속해서 움직이기 위해 지표에 고정된 물류창고, 배달 노동자의 노동공간으로 기능하는 도로, 개인의 내밀한 거주공간이자 수령의 공간으로서 수령자와 배달자가 만나는 게이트와 현관문이 그와 같다. 본 연구는 택배도시 현상을 이동 동선을 따라 관찰하고 다각적으로 그 외연을 분석함으로써 택배도시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자 한다.
This study defined the urban phenomenon in which city functions are dependent on the mobility of things such as the ‘delivery city phenomenon’. Its macroscopic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qualitatively studied through the concept of a taskscape that allowed more three-dimensional observation of the urban landscape. This centered on the behavior and interaction of actors. The core of the study was to observe and analyze the city’s appearance according to the phenomenon using the framework of macro-spatial taskscape. Through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urban structure changed in a way that formed a physical and spatial infrastructure. This supported the mobility of things in accordance with the complete transition of the spatial background of consumption from face-to-face to non-face to face according to COVID-19. In further detail, logistics warehouses fixed to the surface continue to move logistics. Roads functioned as labor spaces for delivery workers, and doors functioned as both entrances of private living spaces and receiving spaces recipients and deliverers can meet are examples of the changes. This study aims to bring up ‘delivery city’ as a conversation topic by observing this phenomenon. It follows the path of the mobility of things and analyses the city’s scape through a multilateral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