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상품화·금융화된 주택시장에서의 의존적 독립과 주거선택전략: 서울 거주 30대 청년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Dependent Independence and Housing Choices in the Commercialized and Financialized Housing Market: Based on the Experiences of 30-somethings in Seoul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2, v.32 no.2, pp.248-288
https://doi.org/10.19097/kaser.2022.32.2.248
이봉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심화되는 주택시장의 상품화·금융화 과정에서 성인이행기 청년들의 주거선택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주택의 상품화·금융화는 청년들의 주거불안을 야기하고 동시에 사회적·경제적으로 완전한 성인으로의 독립을 유예시킨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30대 청년들의 생애과업단계에 따른 주거경험을 인터뷰데이터로 수집·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분가 여부와 상관없이 성인으로서 부모로부터 사회적·경제적 자율성을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노동시장과 주택시장의 불안은 부모에게 경제적 의존을 심화시키기도 한다. 실제로 부모의 물리적 지원은 청년의 성인이행기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부모의 인식, 경제적 역량에 따라 상품화된 주택시장에서 청년들이 열악한 주거를 경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 전통적인 주거사다리가 작동할 수 있도록 금융자본의 접근성을 보편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도들이 있었다. 그러나 청년들은 빚을 지면서도 부모의 경제력에 더 의존하게 되고, 대출기준에 미치지 못한 청년들은 더 열악한 주거를 경험하는 원인이 되었다.

keywords
housing commercialization, housing financialization, life transition towards adulthood, housing choices, dependent independence, 주택 상품화, 주택 금융화, 성인이행기, 주거선택, 의존적 독립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using choices of young adults in the commercialization and financialization of housing. Such growing housing phenomena lead to not only young adults in housing anxiety but also delayed independence towards full adulthood in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n the contexts, this study collected interview data from 30-somethings, which were a series of housing experiences according to life-cours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d tried to attain social and economic autonomy regardless of departure from their parental home or not; simultaneously, the uncertainty of the labour and housing markets resulted in a longer and heavier reliance on parental financial support. Indeed, the material support from parents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ife transitions toward adulthood. Parental perceptions and financial abilities often were reasons young adults experienced inadequate housing. Meanwhile, the Korean government has attempted to generalize access to the financial market in order to keep the conventional housing ladder. Nevertheless, the participants had relied deeper on debt and parental finance; otherwise, poor housing was experienced by those who could not meet credit criteria.

keywords
housing commercialization, housing financialization, life transition towards adulthood, housing choices, dependent independence, 주택 상품화, 주택 금융화, 성인이행기, 주거선택, 의존적 독립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