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가치에 대한 노동이론인가 노동에 대한 가치이론인가: 마르크스의 가치론에 대한 페미니스트 경제학자 다이앤 엘슨의 해석과 그 영향들

The Labour Theory of Value or the Value Theory of Labour?:Diane Elson’s Interpretation on Marx’s Theory of Value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22, v.32 no.2, pp.393-472
https://doi.org/10.19097/kaser.2022.32.2.393
박지훈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마르크스의 가치론에 대해 영국의 페미니스트 경제학자인 다이앤 엘슨이 제시한 해석과 그 함의들, 그리고 영향들에 대해 소개하고 해설하는 것이다. 엘슨은 우리가 흔히 노동가치론이라 번역하는 ‘노동에 대한 가치이론’과 자신이 주조한 표현인 ‘가치에 대한 노동이론’을 구분한 후 후자를 마르크스의 가치론으로 간주한다. 즉, 여타의 마르크스주의자들과 달리 엘슨은 마르크스의 가치론을 노동가치론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녀에 의하면 마르크스는 노동가치론을 수용하고 발전시킨 게 아니라 그것을 기각하고 그와 이론적 대상 자체가 다른 가치론을 제시한 인물이다. 이러한 해석은 이후 몇몇 중요한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데 그중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데이비드 하비와 밥 제솝이다. 이 때문에 엘슨의 해석을 간과할 경우, 우리는 하비와 제솝이 어떤 의미에서 마르크스를 해석하고 수용하는지 적절히 파악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이할 정도로 엘슨의 해석은 간과되어 왔다. 이에 이 논문은 그녀의 해석에 대해 해설하고 그것의 함의 그리고 그 해석이 하비와 제솝에게 미친 영향을 설명한다.

keywords
노동가치론, 노동에 대한 가치이론, 카를 마르크스, 데이비드 하비, 밥 제솝, Labour theory of value, value thoery of labour, Karl Marx, David Harvey, Bob Jessop

Abstract

The present article seeks to elucidate British feminist economist Diane Elson’s interpretation on Marx’s theory of value. According to Elson, the object of the theory is not a value in a capitalist society, but the historically specific determination of labour-form. In this reagrd, she cleverly distinguishes between the labour theory of value and the value theory of labour, and then presents the latter as Marx’s theory of value. And her interpretation has been adopted and utilised by David Harvy and Bob Jessop that is influencial in the field of critical human geography. For this reason, an understadning of her interpretation on Marx’s theory of value is indispensable for an understadning of Harvey and/or Jessop’s theoretical work. Nevertheless, Elson’s work has been ignored in this country. In this regard, this article unambiguates her interpretation on Marx’s theory of value and explicates its impacts on Harvey and Jessop’s work.

keywords
노동가치론, 노동에 대한 가치이론, 카를 마르크스, 데이비드 하비, 밥 제솝, Labour theory of value, value thoery of labour, Karl Marx, David Harvey, Bob Jessop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