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이 연구는 ‘기억공간(place of memory)’과 ‘문화적 기억(cultural memory)’, 두 개념을 활용하여 청년세대에게 그들이 직접 경험할 수 없었던 5·18 민주화운동과 같은 과거의 역사적 사건의 의미가 어떻게 계승되는지 분석한다. 기억공간은 문화적 기억이 후대에게체험 및 계승되는 통로라는 가정하에, 심층인터뷰, 경관 분석 등의 연구방법론을 사용해① 기억공간이 과거 역사적 사건에 대한 인식·사유를 형성하는 데에 미치는 영향, ② 기억공간의 구성요소 중 문화적 기억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고찰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기억공간은 과거에 발생한 역사적 사건을 직접 경험한 적 없는 세대가해당 사건에 대한 인식과 사유를 형성하는 데에 효과적인 매체이자 통로로 기능한다. 둘째, 기억공간에 구현된 가시적인 흔적·자료, 공간의 역사적 의미, 공간이 일상생활·현재와 교차하는 양상은 문화적 기억의 형성 및 계승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이다. 이 연구는 기존에논의되지 못했던 공간을 통한 문화적 기억의 계승에 관한 학술적 논의에 기여하고, 향후 기억공간 조성 방향에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how the meanings of past historical events, such as May 18 Democratic Uprising in Gwangju, which younger generation could not experience directly, are transmitted to them using the concepts of ‘place of memory’ and ‘cultural memory’. This study assumes that the places of memory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cultural memory is experienced and passed down to later generations. Employing research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 and landscape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1) the impact of places of memory on the formation of awareness and thought regarding past historical events, and 2) the elements within the places of memory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of cultural mem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laces of memory function as an effective medium and passage through which generations who could not directly experience historical events form perceptions about those events. Second, visible traces and records embedded in place of memor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spaces, and intersections of spaces with everyday life and the present ar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and succession of cultural memory. This study contributes to academic discussion on the transmission of cultural memory via places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explored, and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creating places of mem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