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신명의 개념화 및 구조화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conceptualizing "Shinmyeong"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7, v.26 no.2, pp.279-306
한민 (고려대학교)
한성열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한국사람들의 신명을 이론적으로 개념화하고 체계적으로 구조화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신명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바탕으로 실제로 신명을 경험하는 일반인들의 자료를 개방형 설문 및 반구조화 면접의 방식으로 수집하고 근거이론의 절차에 의해 분석함으로써, 신명이 경험되는 과정과 신명경험의 구조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신명은 전환적 사건의 발생에 의해 자신의 자기가치감이 회복되거나 타인들에게 인정받았을 때, ‘우리’라고 생각할 수 있는 사람들과 어떠한 일을 함께 경험하면서 우리의식을 확인할 때, 그리고 자신의 가치와 관련된 것들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경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명을 경험하면 사람들은, 즐거움, 유쾌함 같은 1차적 쾌감과 함께, 자신의 자기가치감과 연계된 2차적 쾌감을 느끼며, 그러한 감정을 주위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경험하고, 그 사실에서 다시 쾌감을 느끼게 된다. 사람들은 그러한 감정들을 표출하기 위해 분출 및 몰입행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신명의 행동들은 신명의 감정들을 강화하며, 강화된 감정은 다시 신명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감정과 행동의 피드백을 통해 신명이 경험되고, 이후의 긍정적인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keywords
Cultural Psychology, Shinmyeong, Grounded theory, Qualitative, 신명, 구조, 근거이론, 신명경험의 구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nerate a substantial theory about Shinmyeong experience. This study was execut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based on Strauss and Corbin(1998).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220 participant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participants.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ree types of Shinmyeong experiences assumed by theoretical study were demonstrated and their categories were extracted by open coding. The structures of their categories were concretized by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causal condition was 'Recognition of self(or group) worth',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Negative perception of past self(or group)', the phenomena were 'Primary pleasure' and ’secondary pleasure',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sharing pleasure(co-experience)', the action/interaction was 'Radiating the self(or gourp) worth', and the consequence was ’sense of freedom', 'Acquirement of positive feelings' and so on. According to the results, Shinmyeong experience consists of three phases; pleasure from recognition(or expression) of one’s self-worth, sharing the feeling with other people, and radiating negative feeling through expressive behaviors.

keywords
Cultural Psychology, Shinmyeong, Grounded theory, Qualitative, 신명, 구조, 근거이론, 신명경험의 구조

참고문헌

1.

김열규 (1982). 한국인의 신명. 서울: 주류.

2.

김준희 (2005). 댄스스포츠 경력에 따른 신명감과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8, 49-55.

3.

마광수 (1984). 음양사상과 카타르시스. 인문과학 52, 1-15.

4.

마광수 (1988). 카타르시스의 실제적 효용에 관한 연구. 延世論叢 24, 1-27.

5.

오율자 (1995). 춤에서의 신명체험에 관한 연구. 무용학회논문집, 18. 161-172.

6.

유진, 김장우 (2004). 프로 한국무용수의 신명경험.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5(1), 97-112.

7.

이규태 (1991). 한국인의 의식구조. 서울: 신원문화사.

8.

이상일 (1981). 굿과 놀이. 서울: 문음사.

9.

이어령 (1982, 9, 23). 푸는 문화, 신바람의 문화, 중앙일보.

10.

조동일 (1997). 카타르시스, 라사, 신명풀이-연극․영화미학의 기본원리에 대한 생극론의 해명. 서울: 지식산업사.

11.

채희완 (1983). 집단연희에 있어서 예술체험으로서의 신명. 호서문화논집, 2, 107-121.

12.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13.

최상진, 김기범 (1999). 한국인의 심정심리: 심정의 성격, 발생과정, 교류양식 및 형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8(1), 1-16.

14.

한민, 한성열 (2007). 신명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1), 83-103.

15.

한민, 한성열 (2007). 신명에 대한 사회적 표상 분석. 미간행.

16.

Bowers, B. (1990). Grounded theory, In B, Sarter (Ed.), Paths to knowledge (pp. 29-33). New York: National League for Nursing Press.

17.

Charmaz, K. (2000). Grounded theory: Objectivist and constructivist methods.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 509-534). Thousand Oaks, CA: Sage.

18.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sisco: Jossey-Bass, 42.

19.

Csikszentmihalyi, M. (1988). Introduction in Optimal Experience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UK,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20.

Csikszentmihalyi, M. (1999). 몰입의 즐거움 [Finding flow]. (이희재 역). 서울: 해냄. (원전은 1997년에 출판)

21.

Csikszentmihalyi, M. (2003). 몰입의 기술 [Beyond Boredom and Anxiety: Experiencing Flow in Work and play]. (이삼출 역). 서울: 더불어책. (원전은 2000년에 출판)

22.

Deci, E. L. (1975). Intrinsic Motivation. NY: Plenum Press, 23.

23.

Eisner, E. (1991). The Enlightened eye: Qualitative Inquiry and the enhanc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NY: Macmillan.

24.

Fouts, G. (1994). Moments of “connection” on television and in the movies. Paper presented to the Canadian Communications Association, Calgary, Alberta.

25.

Fouts, G., & Schwartz, K. (1996). Music and affective attunement by adolescents. Paper presented to th Canadian Communications Association, St. Catherines, Ontario.

26.

Glaser, B. & Strauss, A. (1966). The Purpose and Credibility of Qualitative Research. Nursing Research, 15, 56-61.

27.

Glaser, B. G., & Strauss, A. L.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Aldine.

28.

Goetz, J. & Lecompte, M. (1984).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NY: Academic press.

29.

Hones, D. F. (1998). Known in part: The transformational power of narrative inquiry. Qualitative inquiry, 4(2), 225-248.

30.

Hrynchak, D & Fouts, G. (1992). Affective attunement profiles of university student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Canad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Quebec City, Quebec.

31.

Hrynchak, D & Fouts, G. (1998). Perception of affect attunement by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21, 43-48.

32.

Mason, J. (1999). 질적연구방법론 [Qualitative Researching]. 김두섭 역. 서울: 나남출판. (원전은 1996년에 출판)

33.

Rogers, C. R. (1961). On Becoming a Person.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281.

34.

Smith, B. (1999). The abyss: Exploring depression through narrative of the self. Qualitative inquiry, 5(2), 264-279.

35.

Spradley, J.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36.

Stainback, S., & Stainback, W.(1992). 질적연구의 이해와 실천 [Understanding &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김병하 역).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원전은 1988년에 출판)

37.

Stern, D. N. (1985). The Interpersonal World of the Infant: a view from psychoanalysis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s inc.

38.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New Deli: Sage publications.

39.

Sullivan, H. 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40.

Wertsch, J. V. (1998). Mind as a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1.

Wolcott, H. (1994). Transforming Qualitative Data: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ousand Oaks, CA: Sag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