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다문화가정 연구개관과 향후 방향성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n Korea: A Critical Review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9, v.28 no.3, pp.571-597
김근영 (서강대학교)
곽금주 (서울대학교)
배소영 (한림대학교)

초록

다문화가정 구성원이 우리 사회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살아가고 있는가에 관한 문제는 최근 심리학을 비롯한 국내 사회과학자들의 많은 관심을 끈 주제이다. 본 연구는 2000년대 발표된 다문화관련 심리학적 국내 연구들을 개관하고 이를 해외 연구들의 추세와 비교해 보며, 국내 다문화가정 연구들의 경향성을 통해 향후 대두될 연구주제를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쓰여졌다. 국내 연구의 개관을 통해 현재 다문화 연구들에서는 특히 비교대상의 부재, 그리고 청소년 및 아버지를 포함한 연구대상의 부재가 두드러졌으며, 또한 다문화경험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하는 연구 및 다문화 구성원의 정신병리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으로 드러났다. 또 보다 심층적인 문화적응론에 대한 제시도 외국에 비해 많이 부족한 상황으로, 이들 주제가 미래의 다문화가정 연구의 핵심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keywords
Immigrant family in Korea,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nternational marriage, literature review, Immigrant family in Korea,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nternational marriage, literature review, 다문화가정, 국제결혼, 다문화아동, 문헌개관

Abstract

Many social scientists have shown keen interest in the way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djust themselves to live in Korea.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summarize recent research trend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o critically review contemporary studies' limitations, and to propose future topics for the next decade. Based on complete enumeration, it is suggested that more studies about father's contributions and about adolescent members are needed. Topics such as benefits of multi-cultural experiences, psychopathologies of immigrant members, and development of acculturation styles in Korea are also suggested for possible topics that have not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yet. Regardless of research topic, future studies should include Korean control groups in their research design, to warrant appropriate comparisons between immigrant families and native Korean families.

keywords
Immigrant family in Korea,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nternational marriage, literature review, Immigrant family in Korea,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nternational marriage, literature review, 다문화가정, 국제결혼, 다문화아동, 문헌개관

참고문헌

1.

강석광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과 자녀와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2007). 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수원: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3.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06). 국제결혼 가족 및 아동 실태조사. 대구: 경북여성정책개발원.

4.

곽금주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다문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의 상호 작용 패턴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2008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 26.

5.

구효진ㆍ최진선 (2007).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 43-67.

6.

권구영ㆍ박근우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라남도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사회연구, 14, 187-219.

7.

권미지ㆍ박상희ㆍ석동일 (2007).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음운변동특성.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8, 299-318.

8.

권복순ㆍ차보현 (2006). 농촌지역 코시안 가정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8, 109-134.

9.

권성우ㆍ장재윤 (2008). 다문화주의와 창의성: 다양성의 긍정적 효과. 2008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3-82.

10.

김도희ㆍ김성이ㆍ신효진 (2007).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9, 53-78.

11.

김선정ㆍ강진숙 (2009). 다문화가정 자녀의 어휘력 고찰. 이중언어학, 40, 31-55.

12.

김영옥ㆍ임진숙ㆍ정상녀 (2008).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양육태도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13, 143-164.

13.

김오남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족과 문화, 18, 63-106.

14.

김오남 (2007).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2, 47-73.

15.

김진희ㆍ박옥임 (2008). 농촌과 도시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 비교: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18, 127-160.

16.

박경자ㆍ김송이 (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가정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 아동학회지, 28, 91-108.

17.

박순희ㆍ조원탁ㆍ이주희 (2008). 다문화가족 자녀의 사회적응과 관련변인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7, 53-76.

18.

박원경ㆍ안성우ㆍ서유경ㆍ신영주 (2007). 국제결혼가정아동의 언어 능력과 지식기반, 처리기반에 대한 차이 비교. 특수아동교육연구, 9, 211-230.

19.

박재규 (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민자여성의 이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농촌사회, 17, 75-105.

20.

박정숙ㆍ김진희ㆍ박옥임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 59-71.

21.

박주희ㆍ정진경 (2008). 타문화에 대한 태도발달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 1-12.

22.

박행모ㆍ문승태 (2008).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의 사회생활 적응 교육을 위한 실태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 69-91.

23.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과천: 보건복지부

24.

서홍란ㆍ김기언ㆍ김양호 (2008).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 121-143.

25.

송미영ㆍ박경희 (2008).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6, 53-70.

26.

안양희 (2008). 일 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2, 18-26.

27.

안효자 (2008). 일개 시 농어촌 다문화가족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7, 383-391.

28.

안혜령ㆍ이순형 (2009). 여성결혼이민자 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의 학업성취 비교. 아동학회지, 30, 1-10.

29.

양순미 (2007a).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 중심. 농촌사회, 16, 151-179.

30.

양순미 (2007b). 농촌지역 다문화가족의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과 가족생활행복에 작용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 559-576.

31.

우현경ㆍ정현심ㆍ최나야ㆍ이순형ㆍ이강이 (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0, 23-36.

32.

이귀옥ㆍ전혜정ㆍ박혜원 (2003). 3-5세 아동의 이중언어 경험과 인지능력 및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 인지적 복잡성에 따른 분석과 통제이론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4, 1-14.

33.

이영주 (2007). 국제 결혼한 여성의 자녀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 83-105.

34.

이영주 (2008).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에 따른 적응요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분석. 한국가족복지학, 13, 79-101.

35.

이정희 (2007).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과 이혼위기에 대한 사례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진숙 (2007). 국제결혼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연구, 12, 21-42.

37.

이현경ㆍ서현ㆍ김동례 (2009).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 1-24.

38.

임성택 (2008). 한국 청소년의 자민족중심주의와 국내전입 외국인집단별 수용의 관계. 미래청소년학회지, 5, 189-206.

39.

전은애 (2008).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아동 상호작용과 어머니 문화적응차원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정윤정 (2007). 결혼이민자 가정의 특성과 아동들의 학교적응: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정은희 (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 환경. 언어치료연구, 13, 33-52.

42.

정천석ㆍ강기정 (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3, 5-23.

43.

정현영 (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정혜실 (2007). 파키스탄 이주노동자와 결혼한 한국여성의 주체성에 관한 연구: 파키스탄 커플모임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조성원 (2000). 외국인 노동자와 노동계층 한국여성의 결혼사례를 통해 알아본 새로운 마이너리티의 형성 및 재생산.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최혜지 (2009).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 163-194.

47.

통계청 (2008). 연도별 외국인과의 혼인.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48.

행정자치부 (2007).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서울: 행정자치부.

49.

홍달아기ㆍ채옥희 (2007). 국제결혼부부의 가치관 및 의사소통유형과 갈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 733-744.

50.

황상심ㆍ정옥란 (2008). 경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언어청각장애연구, 13, 174-192.

51.

Abril, C. R. (2006). Learning outcomes of two approaches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usic Education, 24, 30-42.

52.

Bengi-Arslan, L., Verhulst, F. C., & Crijnen, A. A. M. (2002).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minor psychiatric disorder in Turkish immigrants living in the Netherland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7, 118-124.

53.

Berry, J. W. (1980). Acculturation as varieties of adaptation. In A. M. Padilla (Ed.), Acculturation: Theory, models, and some new findings (pp. 9-25). Boulder, CO: Westview.

54.

Berry, J. W. (1994). Accultur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An overview. In A. Bouvy (Ed.), Journeys into cross-cultural psychology (pp. 129–141). Amsterdam: Swets & Zeitlinger.

55.

Berry, J. W. (1998). Acculturation and health. In S. S. Kazarian & D. R. Evans (Eds.), Cultural clinic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 39-6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6.

Berry, J. W., & Kim, U. (1988). Acculturation and mental health. In P. Dasen, J. W. Berry, & N. Sartorius (Eds.), Health and cross-cultural psychology: Towards applications (pp. 207 - 238). Newbury Park, CA: Sage.

57.

Bourhis, R. Y., Moise, L. C., Perrault, S., & Senecal, S. (1997). Towards an interactive acculturation model: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2, 369-386.

58.

Bruel, R., Love, J. A., De Ment, T. L. (2006). The relation of language brokering to depression and parent-child bonding among Latino adolescents. In M. H. Bornstein & L. R. Cote (Eds.), Acculturation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Measurement and development (pp. 249-270).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9.

Buriel, R., Perez, W., De Ment, T. L., Chavez, D. V., & Moran, V. R. (1998). The relationship of language brokering to academic performance, biculturalism, and self-efficacy among Latino adolescent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20, 283-297.

60.

de Wit, M. A. S., Tuinebreijer, W. C., Dekker, J., Beekman, A. T. F., Gorissen, W. H. M., Schrier, A. C., Penninx, B. W. J. H., Komproe, I. H., & Verhoeff, A. P. (2008).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in different ethnic groups: A population based study among native Dutch, and Turkish, Moroccan and Surinamese migrants in Amsterdam.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3, 905-912.

61.

Dillon, F. R., Felix-Ortiz, M., Rice, C., De La Rosa, M., Rojas, P., & Duan, R. (2009). Validating the Multidimensional Measure of Cultural Identity Scales for Latinos among Latina mothers and daughter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5, 191-201.

62.

Dorner, L. M., Orellana, M. F., & Jimenez, R. (2008). "It's one of those things that you do to help the family": Language brokering and the development of immigrant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23, 515-543.

63.

Dorner, L. M., Orellana, M. F., Li-Grining, C. P. (2007). “I helped my Mom,” and it helped me: Translating the skills of language brokers into improved standardized test scores.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113, 451-478.

64.

Duru, E., & Poyrazli, S. (2007). Personality dimensions, psychosocial-demographic variables, and English language competency in predicting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Turkish internationa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4, 99-110.

65.

Endicott, L., Bock, T., & Narvaez, D. (2003). Moral reasoning, intercultural development,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Relations and cognitive underpinning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7, 403-419.

66.

Georgiades, K., Boyle, M. H., Duku, E., & Racine, Y. (2006). Tobacco use among immigrant and nonimmigrant adolescents: Individual and family level influence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8, e1-e7.

67.

Glenn, E. N. (1986). Issei, Nisei, war bride: Three generations of Japanese American women in domestic service. Philadelphia, PA: Temple University Press.

68.

Helman, C. G. (1990). Culture, health and illness. London, UK: Wright.

69.

Kamperman, A. M., Komproe, I. H., de Jong, J. T. V. M. (2007). Migrant mental health: A model for indicators of mental health and health care consumption. Health Psychology, 26, 96-104.

70.

Kwak, K. (2009). Adaptation and child development of Korean multicultural family: Focusing on mother-child interaction.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SRCD, Denver, CO.

71.

Leung, A. K., & Chiu, C. (2008). Interactive effects of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openness to experience on creative potential. Creativty Research Journal, 20, 376–382.

72.

Leung, A. K., Maddux, W. W., Galinsky, A. D., & Chiu, C. (2008). Multicultural experience enhances creativity: The when and how. American Psychologist, 63, 169–181.

73.

Lindert, J., Schouler-Ocak, M., Heinz, A., & Priebe, S. (2008). Mental health, health care utilisation of migrants in Europe. European Psychiatry, 23, S14-S20.

74.

Lynch, E. W. (1992). From culture shock to cultural learning. In E. W. Lynch & M. J. Hanson (Eds.), Developing cross-cultural competence: A guide for working with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pp. 19–34). Baltimore: Paul H. Brooke.

75.

Maddux, W. W., Leung, A. K., Chiu, C., & Galinsky, A. D. (2009). Toward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link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64, 156-158.

76.

McLaughlin, K. A., Hilt, L. M., & Nolen-Hoeksema, S. (2007). Racial/ethnic differences i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in adolescent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5, 801-816.

77.

Mesch, G. S., Turjeman, H., Fishman, G. (2008).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the well-being of immigrant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7, 592-604.

78.

Peeters, M. C. W., & Oerlemans, W. G. M.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orientations and work-related well-being: Differences between ethnic minority and majority employee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6, 1-24.

79.

Rich, G. J. (2009). Big C, little c, Big M, little m. American Psychologist, 64, 155–156.

80.

Rogler, L. H., Cortes, D. E., & Malgady, R. G. (1991). Acculturation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Hispanics: Convergence and new directions for research. American Psychologist, 46, 585-597.

81.

Schmitz, P. (1994). Acculturation styles and health. In S. Iwawaki, Y. Kashima, & K. Leung (Eds.), Innovations in cross-cultural psychology (pp. 360-370). Lisse, Netherlands: Swets & Zeitlinger.

82.

Schwartz, S. J., & Zamboanga, B. L. (2008). Testing Berry's model of acculturation: A confirmatory latent class approach.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4, 275-285.

83.

Sodowsky, G. R., & Lai, E. W. M. (1997). Asian immigrant variables and structural models of cross-cultural distress. In A. Booth (Ed.), International migration and family change: The experience of U. S. immigrants (pp. 211–237). Mahwah, NJ: Erlbaum.

84.

Statistics Netherlands (2009). Population; Sex, age, marital status, origin and generation. Retrived from WWW. http://statline.cbs.nl.

85.

Stevens, G., & Vollegergh, W. A. M. (2008). Mental health in migrant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9, 276-294.

86.

Taylor, A. Z., & Graham, S. (2007).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values and perceptions of barriers among low-SES African American and Latino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 52-64.

87.

van Oudenhoven, J. P. (2006). Immigrants. In D. L. Sam, & J. W. Berry (Eds.), The Cambridge handbook on acculturation psychology (pp. 163- 180).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88.

van Oudenhoven, J. P., Ward, C., & Masgoret, A. (2006). Patterns of relations between immigrants and host socie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0, 637-651.

89.

Vedder, P. (2005). Language, ethnic identity, and the adaptation of immigrant youth in the Netherland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20, 396-416.

90.

Walsh, S., Shulman, S., & Maurer, O. (2008). Immigration distress, mental health status and coping among young immigrants: A 1-year follow-up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2, 371-384.

91.

Weisskirch, R. S. (2007). Feelings about language brokering and family relations among Mexican American early adolescents.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7, 545-561.

92.

Ying, Y., & Han, M. (2007). The longitudinal effect of intergenerational gap in acculturation on conflict and mental health in Southeast Asian American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7, 61-6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