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스마트폰기반 심리설문검사 및 신경심리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martphone based questionnaire & neuropsychological tes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2, v.31 no.3, pp.941-960
이정훈 (경북대학교)
장문선 (경북대학교)
박길흠 (경북대학교)
정순기 (경북대학교)
곽호완 (경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개발된 심리설문검사와 신경심리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설문검사로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한국판, Beck 불안척도, 성인 인터넷 중독척도를 사용하였다. 신경심리검사로 연속수행검사와 변화맹시­동시제시과제를 사용한 안드로이드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연구 1에서 스마트폰기반 설문검사와 지필식 설문검사 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 두 가지 검사유형의 세부척도 점수 간에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척도에서 평균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주의력 신경심리검사인 연속수행검사와 변화맹시­동시제시과제를 웹기반 및 스마트폰기반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2에 대한 분석결과, 연속수행검사는 반응시간표준편차, 정반응율, 오경보 오류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고 변화맹시­동시제시과제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종속치에서 웹기반과 스마트폰 기반 결과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얻어졌다. 한편 두 과제는 반응시간과 반응시간표준편차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두 과제 간 손가락 입력방식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 같다. 종합하면 스마트폰기반 심리검사는 몇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검사로서의 유용성과 타당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스마트폰기반 검사, 설문검사, 신경심리검사, 타당도, 신뢰도, smartphone based test, questionnaire, neuropsychological test, validity, reliability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martphone based questionnaire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we developed. Self-report questionaire tests include a Conners’ADHD Rating Scale­Korea, a Beck Anxiety Inventory, and an Internet Addiction Scale for adults. In addition, Android Application based neuropsychological tests include a Continuous Performance Test(CPT) and a Change Blindness Task(CBT). In Study 1, the results of analyses for the smartphone based tests and the paper-pencil tes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ub-scale scores, and in most of the sub-scale scores there was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study 2, we conducted two neuropsychological attention tests(CPT and CBT) with web-based tests and the smartphone­based tes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CP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est scores, especially in standard deviations of RT, accuracy, and false alarm.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CB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all three indic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T and standard deviation of RT in both tasks, which might have been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the manner of hand response between the two tests. Taken together, despite of several limitations, it is concluded that smartphone based psychological tests can be useful and valid.

keywords
스마트폰기반 검사, 설문검사, 신경심리검사, 타당도, 신뢰도, smartphone based test, questionnaire, neuropsychological test, validity, reliability

참고문헌

1.

곽지은, 곽호완 (2008). 웹 기반 주의력 검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설계: 회귀억제과제와 그래픽 UI를 중심으로. 인지과학, 19(4), 331­367.

2.

곽지은, 정혜원, 곽호완 (2008). 웹 기반 심리평가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20(4), 321­337.

3.

곽호완, 장문선 (2007). 성인 ADHD 경향성에 대한 웹기반 실험신경심리연구: 회귀억제, 스트룹 및 내생­외생 주의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1039­1055.

4.

구본훈, 배대석 (2006). ADHD 진단을 위한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의유용성.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2(1). 39­49.

5.

구철모 (2010). 스마트폰 활용과 태블릿 PC전망. 한국경영정보학회. 350­379.

6.

권기덕, 임태윤, 최우석, 박성배, 오동현 (2010).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삼성경제연구소, 74, 1호.

7.

권수경, 장은영 (2010). 정신과 방문 아동들의 인터넷 사용문제: 동시이환 장애 및 영향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4), 1067­1086

8.

김광주 (1998). 컴퓨터화된 검사와 지필식 검사 결과 비교.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도순, 김종필, 양길석 (2010). 컴퓨터검사와 지필검사의 점수 동등성에 관한 메타분석-능력 시험을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15(1), 247­272

10.

박성욱, 김정언, 유선실, 김민식, 정부연, 오정숙, 정현준 (2010). 2011 방송통신 시장 전망. 정책연구, 10­34

11.

박영숙, 박광배, 최상진, 김주한, Atony Marsella (2002). 미국 일시거주 한인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 문화적 적응 촉진을 위한 인터넷 상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2), 97­139.

12.

서현주, 김선주, 주용석, 이수정, 이재호 (2001). 웹을 이용한 초등학생 심리검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6(1), 228­235.

13.

시기자, (2003). 검사매체와 검사시행 모형에 따른 피험자 능력모수와 피험자 응답 적합도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유영수, 이현수, 정인과, 이정희 (1998). 전산화 신경심리검사(STIM)의유용성 연구 ­외상성 뇌손상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7(2). 133­147.

15.

이형초, 최윤경, 이순묵, 반재천, 이순영 (2007). 성인 인터넷 병리적 사용의 행동증상에 대한 자기 보고형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3), 765­791.

16.

임은미, 김지은, 박승민 (1998). 청소년 사이버 상담의 실제와 발전방안. 청소년상담연구, 6(1).

17.

임현정, 성태제 (2001). 컴퓨터화 적응검사와 지필검사에 의한 능력 추정의 동등성과 효율성 비교. 교육평가연구, 14(2), 193­217

18.

장윤정, 김철우 (2010). 스마트폰시장의 진화와 안드로이드의 영향. 한국정보과학회지: 28(5), 48­55.

19.

조민경, 곽호완 (2010). 변화맹시과제 제시방법에 따른 성인 ADHD 성향군의 주의력 결함.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2(3), 355­368.

20.

조용재, 임병우, 조동희 (2008).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촉각을 활용한 사용자의 피드백 향상. 한국디자인지식학회, 6, 135­142.

21.

황준, 송명남, 조수영 (2000).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운동실조 측정도구 개발. 한국운동학회지: 10(1), 149­163.

22.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86). Guidelines for computer­based test and interpretations, Washington, D. C.:APA.

23.

Anderson, G., Kaldo­Sandstrom, & Stromgren, T. (2003). Internet administr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 Depression Scale in a sample of tinnitus pati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5, 259­262.

24.

Barak, A, & Buchanan, T. (2003). Internet based Psychological Testing and Assessment. In Kraus, R, Zack, Jason., Stricker, G.(ED), Online Counseling: A Handbook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an Diego: Academic Press.

25.

Birnbaum, M. H. (2000). Validity of web­based psychological research. In M. H. Birnbaum(Ed), Psychological experiments on the Internet (pp.35­60). San Diego: Academic Press.

26.

Brand, A (2004). A web experiment based enquiry into the verbal overshadowing effect. Retrieved April 4, 2008, from http://www.ipsychexpts. com/Brand_(2004).pdf

27.

Buchanan, T. (2003). Internet­based questionnaire assessment: appropriate use in clinical contexts. Cognitive Behavior Therapy, 32(3), 100­109.

28.

Carlbring, P., Nilsson­Ihrfelt, E., Waara, J., Kollenstam, C., Buhrman, M., Ekselius, L., & Andersson, G., (2005). Treatment of panic disoder: live therapy vs. self­help via the internet.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3(10), 1321­1333.

29.

Giuseppe R., Tiziana T., Luigianolli (2003). The Use of the Internet in Psychological Research: Comparison of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Cyber Psychology & Behavior, 6(1) 73­80.

30.

Haney, W. (1991). We must take care: Fitting assessments to function. In V. Perrone. (Ed), Expanding student assessment (pp.47­71).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1.

Huff, K. K. & Sireci, S. G . (2011). Validity Issues in Computer­Based Testing.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20(3), 16­25.

32.

Johnson, D. E., & Conners, C. K. (2002). The assessment process: conditions and comorbidities. Clinician’s guide to adult ADHD: Assessment and intervention, 71­83.

33.

Krantz, J. H., & Dalal, R. S. (2000). Validity of web­based psychological research. In M., H. Birnbaum (Ed), Psychological experiments on the internet (pp.35­60). San Diego, C.A: Academic Press.

34.

Krantz, J. H., & Musch, J., & Naumer, B. (2000). On belief bias in syllogistic reasoning. Psychological Review, 107, 852­884.

35.

Mannuzza, S., & Klein, R. G. (2000). Long­term prognosis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9, 711­726.

36.

Musch, J., & Reips, U. D. (2000). A brief history of Web Experimenting. In M. H. Birnbaum(Ed.), Psychological experiments on the internet (pp.61­87). Orlando, FL: Academic Press.

37.

Pennington, B. F., & Ozonoff, S. (1996). Executive fuctions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Journal of Psychology and psychiatry, 37, 51­87.

38.

Reips, U. D., (1997). Das psychologische experimentieren in Internet (Psychological experimenting on the Internet).In B. Batinic (Ed.), Internet für Psychologen (pp.245­265). Gӧtingen, Germany: Hogrefe.

39.

Reips, U. D., (2000). The web experiment method: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solutions. In M. H. Birnbaum(Ed), Psychology Experiments on the Internet (pp.89­117). San Diego, CA: Academic Press.

40.

Richard, J., Klein, B., & Carlbring, P. (2003). Internet­based treatment for panic disorder. Cognitive Behavior Therapy, 32, 125­135.

41.

Tseng, H., Macleod, H. A., Wright, P., (1997). Computer anxiety and measurement of mood chan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3, 305­ 31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