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입대 전에 자살관련행동을 경험한 병사의 회복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covery Process of Soldiers who Experienced Suicide-related Behavior before Joining The Arm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6, v.35 no.4, pp.589-615
https://doi.org/10.22257/kjp.2016.09.35.4.589
한규석 (전남대학교)
나기회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15년 자살률은 2014년에 비교하여 소폭 감소하였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대 남성의 자살률은 다른 연령대 남성 및 여성의 자살률 변화와 달리 여전히 상승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20대 남성의 경우 높은 자살률을 보이나 의무 복무중인 20대 병사의 자살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입대 전에 자살관련행동을 보였으나 군 복무에 성공적으로 적응한 병사의 자살관련행동 변화 과정에 도움이 되는 요인들과 그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접근을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자살 관련 연구를 발전시키고, 20대 남성의 자살 감소와 관련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대 성인 남성 가운데 6개월 이상 의무복무 중인 육군 병사로서, 입대 전에는 자살관련행동이 있었으나 현재는 안정된 군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7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면담록을 필사하여 Strauss와 Corbin (1998/2001)의 근거이론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총 100개의 의미 개념과 30개의 하위 범주, 6개의 상위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핵심범주인 ‘갇혀있던 상처는 만남과 사회적 치유의 과정을 통해 회복함’이 발견되었다. 또한 패러다임 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은 대인관계로 인한 문제 발생이었으며, 현상은 자살관련행동이었다. 맥락적 조건은 4가지, 중재적 조건은 3가지였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통해 자살관련행동의 변화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과정 분석에서 고립적 생활, 직면하기, 태도 변화, 도움 느껴지기, 사회적 치유의 5단계 자살관련행동 변화 과정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대한민국 20대 남성이자 의무 복무 중인 병사의 자살관련행동으로부터 회복 과정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자살관련행동, 20대 남성, 병사, 사회적 치유, 대인관계, 근거이론, suicide-related behavior, males in their twenties, soldier, social c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nded theory, army life

Abstract

Suicide rate of South Korea in 2015 has decreased slightly compared to 2014. However, it is still the highest among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nations. Further, suicide rate of males in their twenties is still increasing unlike other age group and female. Meanwhile, the soldiers in their twenties are showing relatively lower suicide rate compared to other groups of males. The current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reveal the factors and processes of recovery among the soldiers who committed suicide-related behaviors before joining the army.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employing the grounded theoretical (GT) approach (Strauss & Corbin, 1998/2001) was carried out with the indepth interview protocol obtained from 7 soldiers who are in stable condition after several months of army life after the conscription. The GT analysis of open coding showed 100 units of meaningful concepts and 30 sub-categories and 6 higher categories. A model of recovery was construc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xial coding. Based on this model, we were able to extract the core category which is ‘locked up injury is recovered through meeting people and social treatment’. We found that causal factor of suicide related phenomena is interpersonal malaise. Army experience provides sustained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When the soldiers find authenticity of caring mind from other people in such sustained relationships, they can get recovered. The process analysis discloses the soldiers go through solitary life, facing the problem, attitude change, helping felt, and social cure. This study shows that even restricted army life may serve to provide social cure to the people at risk of commiting suicide.

keywords
자살관련행동, 20대 남성, 병사, 사회적 치유, 대인관계, 근거이론, suicide-related behavior, males in their twenties, soldier, social c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nded theory, army life

참고문헌

1.

구승신 (2006). 신세대 병사의 정신건강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4(-), 64-93.

2.

김정진 (2009).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2(-), 413-436.

3.

김지우, 서완석, 이종훈, 김희철, 이광헌, 원승희 (2015). 대학병원 응급실을 내원한 자살 시도자들의 특성. 생물치료정신의학, 21(2), 95-104.

4.

김현순, 김병석 (2007).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801-818.

5.

김효원, 송소원 (2012). 중학생의 학교적응과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2012(단일호), 328-328.

6.

김효창 (2006). 성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12(1), 15-33.

7.

박승민, 김광수, 방기연, 오영희, 임은미 (2012).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서울: 학지사.

8.

박은경, 최광현 (2014). 군 병사의 자살관련행동에 따른 적응 특성. 상담학연구, 15(2),925-942.

9.

서종한, 이창환, 김경일, 김성혜 (2012). 한국자살사망자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31(2), 323-344.

10.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04). 질적연구방법론.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1.

심윤기, 김완일, 정기수 (2014). 군 병사용 자살위험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26(4), 929-952.

12.

이지연 (2006). 사회적 지원이 개인 안녕과 이타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20(1), 55-75.

13.

이혜선, 육성필, 배진화, 안창일 (2008). 자살관련행동의 명명과 분류. 한국심리학회지 일반,27(2), 331-349.

14.

인수현, 장서진. (2015). 응급실에 내원한 성인남녀 자살시도자의 임상적 특성.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015 춘계학술대회,233-237.

15.

정신영, 이동귀 (2011). 자살 위험 병사들의 심리특성 연구. 상담학연구, 12(3), 897-914.

16.

정신영, 이동귀, 박현주 (2012). 자살시도 병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개념도연구. 상담학연구, 13(1), 113-133.

17.

정원철, 박영주 (2012). 관심병사의 군 생활경험과 과정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19(11), 91-115.

18.

최광현 (2013), 2013년 인성검사 및 병영생활 적응 연구 사망원인 .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19.

최봉영, 한규석, 김택신 (2014). 한국인의 세계관에 바탕한 도덕성 발달 이론.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2014(단일호),114-114.

20.

최상진 (2011). 한국인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21.

최상진, 김지영, 김기범. (2000). 정의 심리적구조, 행위 및 기능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1),203-222.

22.

최상진, 박수현 (1990). 우리성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한 분석.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1990(단일호), 69-78.

23.

최상진, 최인재 (2002). 한국인의 문화 심리적특성이 문제대응방식, 스트레스,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14(1), 55-71.

24.

통계청 (2014). 사망원인 통계. http://www.index.go.kr에서 2015. 12. 21 자료 얻음.

25.

통계청 (2015). 사망사고 및 사망원인 통계. http://www.index.go.kr에서 2015. 12. 21 자료 얻음.

26.

하정희, 안성희 (2008).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20(4), 1149-1171.

27.

한규석, 최봉영 (2015). 우리성 심리학의 모색과 과제: 온전한 심리학을 지향하며. 한국정치사상학회 심포지움, “서구중심주의에대한 우리 학문의 이론적 대응,”pp.103-121, 서강대학교 다산관, 12월 5일.

28.

한규석, 최상진 (2008). 마음의 연구와 심리학:마음의 문화심리적 분석에 바탕한 심리의작용 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2),281-307.

29.

한삼성, 강성욱, 유왕근, 피영규. (2009). 노인의 자살생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29(1), 192-212.

30.

홍현미라, 권지성, 장혜경, 이민영, 우아영 (2008).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의 실제. 서울: 학지사.

31.

Caplan, G. (1974). Support system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Lectures on concept development. Behavioral Publications.

32.

Charmaz, K. (2006).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Introducing Qualitative Methods series): Sage Publications Ltd.

33.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

34.

Glaser, B., & Strauss, A. (1967). The discovery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inquiry. Aldin, Chicago.

35.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Jossey-Bass.

36.

Joiner, T. E. (2005). Why people die by suicide.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37.

Nock, M. K., Borges, G., Bromet, E. J., Cha, C. B., Kessler, R. C., & Lee, S. (2008).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Epidemiologic Reviews, 30(1), 133-154.

38.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39.

Strauss, A., & Corbin, J. (2001). 근거이론의 단계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Theory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1998에출판).

40.

Trout, D. L. (1980). The role of social isolation in suicide.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10(1), 10-23.

41.

Wills, T. A. (1990). Social support and the family. Emotions and the family: For better or for worse, 75-9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