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이 실험은 A/ J 혈통의 생쥐 숫컷에서 어린시절 고립성장이 성숙 후의 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 본 것 이다. 실험에 앞서 생후 23 일 째 젖을 뗀 24 마리의 생쥐를 60 일간 고립하여 사육 한 10 마리의 고립사육군과 3 마리를 한 무리로 집단사육한 집단사육군 10 마리가 피험동물로 사용되었다. 탐색운동은 탐색지역에 제시된 신기한 대상에 대한 접촉빈도와 시간으로 측정하였고, 이 동행동은 탐색상자 바닥에 그어진 경계선을 넘나든 횟수로 측정하였다. 각 피험동물은 실험상황에 2 일간 연속하여 노출되었다. 고립성장동물들은 집단성장동물들에 비해 과활동적이고, 신기한 대상쪽을 향한 이동행동과 이대상에 대한 접촉 빈도를 많이 보여 주었으나, 접촉시간에서는 사육조건 간 차이가 없었다. 양 집단 동물들은 반복 노출된 경우 탐색대상에 대한 습관화에 있어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어린시절 고립성장은 성숙 후 이동적 탐색행동을 증가시킨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The effect of rearing in isolation in later exploratory behavior was studied in A/J strain of albino mice. Twenty mice were seperated from their own litters on the 23rd day of life and reared in isolation (n = 10), or in groups of 3 (n = 10) for 60 days, before testing the exploratory behavior, Exploration was measured as contact to a discrete novel stimulus, in terms of a bout frequency and duration. Locomotor activity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landmark-lines traversed. Each animal was exposed to the test situation on 2 successive days, Isolation-reared mice were hyperactive, showed an increased incidence of exploratory bouts but no difference in duration of exploratory behavior, and showed a different distribution of activity while the novel object was introduced, compared with group-reared controls. Both animal groups showed no different habituation toward the test object during day 2 sess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isolation rearing in early life exerts facilitatory influence upon later locomotor exploration.
多試行 知覺學習課題를 사용한 두 實驗들을 통해서 한글 글자의 정확한 知覺表象의 形成에 기여하는 資料主導的 處理와 槪念主導的 處理의 相對的 效果를 검토하였다. 피험자들은 50~60 % 正確擁購에서 세 세트의 三重글자들을 제시받았다. 각 三重글자의 글자들은 단지 한 細部特徽에서만 區別되는, 즉 그 總體的 水準에서 매우 유사하였다. 세 세트의 三重글자들을 제시하는 방법은 Chastain(1977)이 고안한 두 방법을 사용하였다. 位置세트條件에서는 세 카아드에 걸쳐서 같은 위 치에 세 유사한 글자들이 제시되므로 개념주도적 처리를 조장할 것으로 간주되었다. 水平세트條件에서는 유사한 세 글자들이 한 카아드에 동사에 제시되므로 資料主導的 處理를 조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Chastain 이 보고한 결과와는 정반대로 水平세트條件이 위치세트에 비해 우세한 수행을 보였다. 이 結果들은 閾水準에서 제시되는 매우 類似한 剌戟들에 대한 再認反應에 피이드백을 주지않는 知覺狀況에서 資料主導的 處理가 우세함을 시사한다.
Using a multi-trial perceptual learning task, two experiments explored relative contributions of data-vs, concept-driven processing to the development of correct percepts for the Korean Geulja which is similar to the syllable in English and consists of consonants and a vowel. Subjects were presented with three sets of triple Geulja at exposure durations for 50-60% accuracy levels. Three Geuljas in each triple were discriminable by one or two features, i.e., they were very similar at the global feature level. Two methods for presenting stimuli, developed by Chastain (1977), were employed: The positional and the horizontal sets. The former set in which three similar Geuljas of a triple were presented at the same position over three successive cards was presumed to encourage subjects to rely on concept-driven processing. The horizontal set in which three similar Geuljas were simultaneously presented in a card .,vas expected to encourage subjects to adopt data-driven processing. Contrary to the results reported by Chastain, the present experiments consistently found the superior performance on the horizontal over the positional set, especially at the third position of a triple as well as at the rate of reduction in recognition errors. These results indicate the dominance of the data-driven processing in the perceptual conditions where no feedback was given to the subject's recognition response to one of very similar stimuli presented at the threshold.
Schroder, Driver 와 Streufert (1967)와 Rokeach (1960)는 전통적인 성격검사들을 사용하여 성격특성으로서의 인지복합도와 독단주의를 연구한 반면, Suedfeld와 Rank(1978), Ertel (1972)은 서로 독립적으로 정치적, 역사적 텍스트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현실의 갈등 혹은 위기가 행동의 복합도와 독단주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과제상황에 따른 성취행동의 복합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Schroder등(1967)은 환경 복합도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독단주의에 있어서는 불안상황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본고에서는 "복합적 과제환경"과 불안상황의 두 가지 공통적인 본질적 측면으로서 과제의 어려움과 개인의 높은 동기상태를 구별하고, 인지복합도와 독단주의 성향의 개인차를 효과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 측면이 충분한 강도로 존재하는 "복합적 과제장면"이 가정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되었다. 각 이론을 제시한 후 원저자들이 발달시킨 검사들이 먼저 소개되고, 복합도에 대해서는 Suedfeld 등의, 독단주의에 대해서는 Ertel 의 내용분석 방법과 연구 결과들이 제시되었다.
Während Schroder, Driver und Streufert (1967) und Rokeach (1960) mit Hilfe von herkommlichen Persönlichkeitstests kognitive Komplexität and Dogmatismus als Persönlick;eitsmerkmale untersuchten, haben Suedfeld und Rank (1978) und Ertel (1972) unabängig voneinander durch die Inhaltsanalyse von politischen, historischen u. a. Texten gezeigt, daβ Konflikte und Krisen in der Wirklickeit Komplexität und Dogmatisrnus des Verhaltens beeinfluβen. Schroder u. a führten den Begriff Urnweltkornplexitäte ein, urn die Variabilität der Komplexität des Leistungsverhaltens in Abhängigkeit von Aufgabensituationen zu erklären, für den Dogmatisrnus wurder die Wichtigkeit der Angstsituationen betont.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cheidet zwei gemeinsame wesentliche Aspekte bei "komplexer Aufgabenumwelt" und Angstsituation: die Schwierigkeit der Aufgabe und die hohe Motiviertheit det Person. Sie erörtert, daβ für die Untersuchung individueller Unterschiede in der Disposition der kognitiven Komplexität und des Dogmatismus die heiden Situationsaspekte in ausreichendern Maβe vorhanden sein sollen, d. h., daβ eine "kornplexe Aufgabensituation" gegeben ist. Nach deT Darlegung jeder Theorie wurde der von den jeweiligen Autoren selbst entwickelte Test vorgestellt; anschlieβend wurden die inhaltsanalytischen Verfahren von Suedfeld hinsich lich der Komplexität und von Ertel hinsichtlich des Dogmatismus sowie deren Forschungsergebnisse dargestellt.
Gestalt 개념의 형성 역사를 밝히기 위한 시도의 제1부로서, 17세기와 18세기를 중심으로한 요소주의적 경험주의와 전체지향적 합리주의가 상호 영향주는 과정에서 emergent whole 로서의 Gestalt개념이 어떻게 胚胎되고 가다듬어졌는가를 영국의 요소주의적 경험주의 발전史에 비중을 더 두어 고찰하였다.
The history of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of Gestalt as the emergent whole was discussed by reviewing the ideas of the 17th and 18th century thoughts and the 19th century British associatio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