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윤희윤(대구대학교) pp.5-24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005
초록보기
초록

현재 많은 장애 대학생은 교육적 불평등, 문화적 격리, 정보문맹, 광범위한 캠퍼스 활동에서의 차별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학생의 최대 장애요소는 학습에 필요한 지식정보에 대한 접근의 부재나 어려움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서관은 장애학생을 차별하지 않아야 하며, 정보자원 및 서비스에 대한 동등한 접근과 이용을 보증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및 면담조사한 결과에 근거하여 대학도서관의 시설과 공간서비스, 직접적 및 간접적 서비스, 총체적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요망사항을 분석하고 서비스 만족도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Man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the university face difficulties in educational inequity, cultural isolation, information illiteracy, and discrimination in the broad range of campus activities. The biggest barrier is the lack or difficulty of access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needed for learning. Libraries, therefore, must not discriminate again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hould ensure equal access to and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services. This paper analyzed the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on facility and space services, direct and indirect services, total library servi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This paper suggested ways to improve service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university library.

이미영(중앙대학교) ; 남영준(중앙대학교) pp.25-43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025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는 공공도서관의 수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으로부터 소외된 지역의 학교도서관이 학교구성원에 대한 서비스와 함께 마을공동체의 문화커뮤니티로서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현재 네이버 문화재단 등의 민간단체에서 정보소외지역을 대상으로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의 확대를 위한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들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지역주민들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필요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문화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대상으로 교장, 운영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정보소외지역에서 실질적인 정보격차 해소에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의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 등으로부터 외부지원의 확보, 운영자들의 직무 교육 실시,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다양한 도서관서비스의 마련 등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Abstract

South Korea has fewer public libraries than other developed nations of OECD. This calls for a more diverse role of school libraries in the geographically isolated areas. School libraries should provides services for not only its students and faculty, but also the surrounding neighborhood as a part of cultural community. Based on the needs for an expanded role of school libraries,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necessary factors for school libraries to provide services to their local residents. Two things should be identified for this research. First, we should confirm the necessity of policies that provide library services to local residents of school libraries. Second, we should propose a way to have the libraries as a part of cultural community where meet the information and cultural demand of their local residents. The study surveyed users, school principals and working-level staff members of cultural communities in order to study the two questions. These groups were from Uri-school Village Library, which is supported by the NHN Culture Foundation. Through the survey, the research confirmed the need for a consistent outside assistance, job training, open door policy for local residents and diverse library services in order for school libraries to serve their local community.

권나현(명지대학교) ; 송경진(사단법인 포럼 문화와도서관) ; 김선애(경성대학교) ; 김수정(국립중앙도서관) ; 이진우(성북정보도서관) ; 장지숙(교하도서관) pp.45-73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0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민간위탁 가이드라인』의 적절성과 유용성, 도서관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 적용에서의 장애 요인 및 문제점 등을 평가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가이드라인은 2011년 (사)포럼 문화와도서관이 민간위탁을 추진하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제작, 발표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경기지역 11개 지방자치단체 위탁업무 담당자 총 17명을 심층인터뷰 하는 한편, 현직에 있는 수탁도서관장 총 8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위탁업무 담당자들과 수탁도서관장들은 대체로 이 가이드라인을 유용하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가이드라인의 현장 활용성 제고를 위해 도출된 개선 및 보완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부 영역, 즉 수탁기관선정과 재위탁 심사 영역에서 그 평가항목, 평가내용, 평가방법 및 배점을 다소 수정하여야 한다. 둘째, 적절한 예시를 추가함으로써 가이드라인의 구체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항목별 배점을 일정범위 내에서 지자체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융통성을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가이드라인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purport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feasibility of “Guidelines for contracting-out of public library services (2011).” The Guidelines have been developed by the Culture and Library Forum to provid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local governments considering the contracting-out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their district.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17 local government officer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contracting-out of public library operations and two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ight directors of public libraries contracted out. It was found that the interview participants in both government and library sides generally perceived the Guidelines useful, yet their perceptions of feasibility in outsourcing were largely pessimistic due to local politics and many other hindrances in society. The study suggested specific directions to further improve the Guidelines’ usefulness and feasibility.

최문정(가천대학교) ; 정동열(이화여자대학교) pp.75-101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0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메타인지가 정보탐색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인지는 서울대학교 인지학습연구회에서 2005년에 개발한 검사 양식지를 사용하여 검사하였으며, 정보탐색행위는 정보탐색 수행평가와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메타인지는 한 항목을 제외하고는 전부 정보탐색행위 설문조사의 항목에 유의했다. 이로써 메타인지는 인지 과정 이후에 작용하는 인지적 특성이므로 자신의 정보탐색행위를 두뇌로 생각하면서 결론을 내리는 사고적인 행위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메타인지는 탐색과정, 탐색결과와 일반적인 정보탐색행위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탐색과정, 탐색결과, 일반적인 정보탐색행위를 포함한 정보탐색행위 전반적 측면에서는 메타인지 연구가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metacognition to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of 250 undergraduate students. For this, metacognition was examined by the inspection form that the Educational Psychology Program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veloped in 2005.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were examined by the observance of the established information-seeking performances and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etacognition affected the items of the survey for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excluding one item. As metacognition i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cting after the cognitive process, it affected thinking activities that were conducted by the brain. In addition, metacognition affected the seeking process, the results of seeking, and the general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Therefore, the study of metacognition is effective in the overall aspects of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including the seeking process, the results of seeking, and the general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김성준(이리여자고등학교) pp.103-121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10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미국의 사서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기본 배경을 이해하고, 현재 미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국가 수준과 주정부 수준의 사서교사 평가기준과 도구 그리고 자기평가 도구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은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기준에 맞추어 사서교사 양성, 자격기준, 평가기준의 일관성 있는 전문성 계발 구조를 갖추었으며, 국가 수준의 사서교사 전문성 기준은 미국 전문교사자격기준위원회의 자격기준과 미국학교도서관협회에서 발표한 「평생교육을 위한 학습」 기준의 사서교사 평가도구가 대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미국의 여러 주정부에서는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기준을 바탕으로 주정부의 실정에 맞는 사서교사 평가기준과 도구를 개발하여 실제 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더불어 미국학교도서관협회는 2012년에 사서교사의 자기평가 도구인 「사서교사 평가의 21세기 접근법」을 발표하여, 사서교사가 국가수준의 기준에서 제시한 전문성에 도달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을 안내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hool librarians and to analyze the national evaluation standards, and the states’ evaluation tools and self-assessment tool currently used in the United States.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structure of the school librarian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es, such as curriculum, certificate, and evaluation, have been affected by the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published by AASL. NBPTS’s Library Media Standards and AASL’s Learning4Life evaluation system are proposed as the representative national standards. Many states have developed their standards and tools to evaluate school librarians’ performance, these standards are related to the national standards. AASL published A 21st-Century Approach to School Librarian Evaluation for school librarians’ self-assessment in 2012, this workbook shows a specific way of developing their expertise.

기민진(순창여자중학교) ; 송기호(공주대학교) pp.123-142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1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정보활용교육용 교과서인 『도서관과 정보생활』과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를 협동수업을 통해서 운영하고, 협동수업이 학생들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자료를 기반으로 사서교사와 국어교사가 상호 협력하여 공동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전개하며, 평가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국어교과에 대한 학습흥미를 촉진시킴으로써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정보활용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협동수업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위 학교 수준에서는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개선과 충분한 기교재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활용력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와 자료 활용을 위한 충분한 수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탄력형 시간표 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act of collaborative instruction between the teacher librarian and the classroom teacher on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by running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which is the textbook of information literacy for teacher librarians an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hrough library-based instru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by facilitating learning interest on Korean language classes under coplanning, co-operating and coevaluating in the school librar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institutional system for collaborative instruction in order to increas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the school community. A local school should expand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equipment of its school library and form a flexible schedule to have enough time for teaching information literacy skills and for using of materials.

김미라(국방과학연구소) ; 이응봉(충남대학교) pp.143-159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1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방과학 분야 연구도서관에서 정보자원 수집의 효율성을 기하고, 모기관으로부터의 지속적인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국방과학 분야 국내 대표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지 논문의 참고문헌을 조사․분석하여, 국방과학 연구자들이 인용하는 자료 유형의 선호도를 밝힌 것이다. 조사 대상은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로 선정하였고, 조사 기간은 1998년-2012년(창간호-통권 59호)으로 하였다. 총 537편의 논문에 이용된 참고문헌 4,563건에 관해서 연도별 자료 유형을 조사하여, 국방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많이 인용하는 자료 유형을 식별하였다.

Abstract

A series of citation analyses are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itation behavior in the field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The analyses are done against the references at the ends of articles in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ed during the period 1998-2012. The sample includes 4,563 references from 537 articles. The analyses focused on types of materials, such as monographs, continuous materials, reports, etc., cited by the researchers by year. Lastly, the study aims to suggest the preferences of cited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might provide a guide for a research libr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acquisition policy and a basis for tangible proof to secure continuous financial support from administration.

이승민(충남대학교) pp.161-180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1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 및 SNS의 활용이 사회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기기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교량적 사회자본을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고 있다. SNS는 오프라인에서 형성된 사회적 관계를 온라인으로 확장시킴으로써 결속적 사회자본을 강화하고 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을 통한 사회적 관계의 확장을 이끌어내어 교량적 사회자본을 증대시키고 있다. 반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SNS의 활용은 사회자본의 증대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람들의 사회활동의 참여를 활발하게 함으로써 복합적인 사회자본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how smart devices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change the construction of social capital. The results show that smart devices provide the foundation of expending ‘bridging social capital’ by offering various communication tools. SNS reinforces ‘bonding social capital’ and extends ‘bridging social capital’ by expanding social relationships from off-line to online and supporting the construction of online communities. In contrast, the use of SNS through smart devices is not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social capital. However, it builds a multi-aspect social capital by making people participate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이병기(공주대학교) pp.181-200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181
초록보기
초록

정보활용교육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서는 피교육자의 능력을 진단, 측정하고 교육목표의 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중등 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측정을 위한 웹기반의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검사도구의 개발을 위해서 우선 정보활용능력의 구성요인을 추출하고,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과 메이커의 학습능력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의 프레임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검사도구는 웹 기반의 선다형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94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문항의 난이도, 신뢰도, 변별력 지수, 타당도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한 표준 점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test instrument utilized to diagnose and evaluate a trainee’s ability are necessary for an effectiv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a standardized test instrument to comprehensively measur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andardized test instrument to evaluate the information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 instru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factors that can show the information literacy and developed an information literacy test framework that was designed based on Guilford’s SOI model and Meeker’s SOI-LA test. The test instrument that wa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a 30-item Web-based multiple-choice test. This study administrated tests in middle school students (794 students joined), and analyzed difficulty, reliability, discrimination index, validity of tests, and reviewed tests items to qualify the standardized test. The cutoff score was also decided when using these tests as a diagnostic information literacy assessment.

조찬식(동덕여자대학교) pp.201-221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201
초록보기
초록

대중독서운동이란 지역사회의 공동체의식을 자극할 수 있는 중요한 사회․문화적 운동이다. 대표적인 대중독서운동인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은 지역사회에서 시민들로 하여금 한 권의 책을 읽고 함께 토론함으로써 문화적 경험을 공유하게 하고, 공동체 의식을 북돋울 수 있다는 점에서 독서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2012 독서의 해’ 프로그램으로 선정된 서울시 성북구에서 실시된 대중독서운동인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의 사례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독서운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성북구의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의 배경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사례분석을 통해 성북구의 대중독서운동인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의 내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요소들을 분석․제시함으로써 지역단위의 대중독서운동에 대한 이해 증진에 일조하고자 한다.

Abstract

A public reading campaign is a sociocultural movement that can stimulate a sense of community. The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 as a typical public reading campaign, was established as a new reading paradigm by sharing cultural experiences among community residents through discussions after reading ‘one book,’ thus evoking a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One Book, SeongBuk’ reading campaign in Seongbuk-Gu, Seoul, which was awarded the title of ‘2012 Year of Reading’ program. In line with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ublic reading campaign, looks into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the ‘One Book, SeongBuk’ reading campaign in Seongbuk-Gu, and analyzes and pinpoint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ampaign. By so doing, this study aims at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 public reading campaign.

최상기(전북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김주섭(전북대학교) pp.223-245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2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 대학 문헌정보학 주요 교과목의 강의계획서 내의 수업내용, 수업방법 및 평가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는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내용 및 방법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국외 문헌정보학과의 정보조직론, 정보서비스론, 정보검색론, 도서관경영론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 수업내용과 방법 및 평가방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과목별로 교과내용과 수업방법, 평가방법에 있어서 국외대학과 국내대학 간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업방식에서 국내대학에서는 강의, 발표, 시험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외국의 경우 워크숍, 프로젝트, 시스템모델개발, 시뮬레이션, 사례연구, 전문가인터뷰 등 다양하게 시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iculum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for the core courses i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t focuses on syllabi both of Korean and foreign universities, and compares them to figure out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s of domestic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regards to their curriculum contents and methods. To this end,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yllabi of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 Reference Services, Information Retrieval and Management of Libraries, which are used in the foreign LIS departments. As results, we found some differences between curriculum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used by Korean and foreign universities. In teaching methods, especially, the classes in Korean universities used the forms of lecture, presents, examination, while classes in foreign universities used more various methods, such as workshop, project, developing system, simulation, case study, interviews with expert.

심원식(성균관대학교) ; 변제연(성균관대학교) ; 김민정(성균관대학교) pp.247-264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247
초록보기
초록

익명의 인터넷 이용자가 백과사전의 내용을 쓰고, 수정하고, 편집을 한다는 점에서 위키피디아는 획기적인 발상이다. 위키피디아는 현재 인터넷에서 가장 빈번하게 이용되는 정보원이지만 학술연구자들은 정보의 신뢰성, 정확성의 문제 등으로 위키피디아를 학술연구에서 이용하거나 인용하는 것을 위험한 행동으로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인용색인데이터베이스인 Thomson Reuters의 Web of Science(WoS)에서 2002년부터 2012년의 기간 동안 위키피디아를 인용하고 있는 논문 총 282개를 대상으로 특성 및 인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위키피디아 인용논문은 비록 소수이기는 하지만 2011년을 기점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가장 많은 논문이 분포한 분야는 문헌정보학, 경영학, 심리학, 교육학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이다. 원문을 입수할 수 있는 267개 논문에 나타난 총 577개의 인용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위키피디아에 대한 연구에서의 인용과 지식정보원으로써의 위키피디아 활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총 577개의 분석 대상 인용 가운데 상당수의 인용은 위키피디아에 대한 소개, 설명(139건, 24.1%)이거나, 위키피디아의 글을 간단한 참고정보원으로 활용한 경우(331건, 57.4%)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기존에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위험한 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는 위키피디아를 논문의 주요 근거 혹은 데이터 소스로 활용한 사례도 87건(15.1%)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Wikipedia represents a revolutionary experiment in the sense that it allows anonymous Internet users to contribute, change, and edit Encyclopedia contents used by tens of millions of people. While a very popular information source on the Internet, because of its questionable information credibility and accuracy, citing Wikipedia articles is being regarded as a risky behavior for scholar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282 scholarly articles from Thomson Reuters’ Web of Science citation database that cite Wikipedia at least once. Out of the millions of articles indexed in Web of Science, the proportion of articles citing Wikipedia is extremely small. On the other hand, the numbers are showing a marked increase since 2011. Wikipedia citing articles are distributed in subject areas, such a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usiness, psychology, education, and communication more often than in other areas. The distribution of a total of 577 citations from 267 articles for which we were able to obtain full texts shows that Wikipedia is being cited mainly in studies of Wikipedia (139 citations, 24.1%) or as a ready reference source (331 citations, 57.4%). At the same time, about 15% of total citations turned out to be cases of potentially risky behaviors in which Wikipedia is being cited as a crucial basis or data source for study.

노영희(건국대학교) pp.265-291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265
초록보기
초록

건강 및 의료, 그리고 웰빙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이와 관련된 정보원의 이용률, 특히 인터넷상의 건강정보원의 이용률이 급증해 왔다. 또한 공공도서관에서의 건강 및 의료관련 참고질문 건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공공도서관사서는 이러한 유형의 참고서비스를 수행하는데 많은 한계를 느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의학도서관, 의료기관, 건강 및 의료관련 커뮤니티, 기타 의료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관련기관들이 협력하여 건강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CHI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협력네트워크시스템 구축모형을 제안하였다. 협력모형의 핵심 요소에 해당되는 것으로 협력의 주체, 협력대상 정보원, 협력의 내용, 건강정보원 사이트의 운영, 협력센터의 운영과 역할, 그리고 상업기관과의 협력방향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Because of the increased interest in health, medical care, and wellness, the utilization of health-related information resources, especially those found on the Internet,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addition, despite encountering an increasing number of health and medical-related reference questions in public libraries, public librarians feel limitations in their ability to perform these types of reference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cooperative network system model for vitalizing CHI Services, meaning that all the related agencies, including public libraries, medical libraries, medical institutions, and the health and medical community collaboratively provide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 This study presented in detail the key elements of the cooperation model, the subject of cooperation, target sources for cooperation, the content of cooperation, operations of CHI-providing sites, operations and roles of Cooperation Centers, and directions for cooperating with commercial institutions.

조미아(경기대학교) ; 변현주(작은도서관만드는사람들) ; 김보일(강서구립 곰달래도서관) pp.293-314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2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 부족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작은도서관의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도서관 운영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전국 작은도서관 중 등급별, 유형별, 이용대상별 22개관의 작은도서관을 선정하였으며 직접 작은도서관을 방문하여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도서관 운영담당자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작은도서관 활성화방안으로 사서자격증 소지자 인센티브 부여, 도서관리 프로그램 무상 보급 및 교육, 지자체의 정기적인 도서 지원 정책, 운영 평가를 위한 차등 지원, 이용자서비스 가이드라인 설정, 공공도서관과의 협력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support the effective operation of libraries by suggesting measures to resolve the problems of small libraries that experience operational difficulties caused by lack of expertise. To achieve this, the study selected 22 small libraries among the nationwide small libraries by grades, types, and users, and then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ir operating staff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certain library facilitation measures were suggested, including the provision of incentives for librarian certificate holders, the free distribution of book management programs and their training, regular book supply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differential supports for operation evaluation, the establishment of user service guidelines, and cooperations with public libraries.

여진원(전남대학교) ; 장우권(전남대학교) pp.315-335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315
초록보기
초록

도시고유의 역사가 기록되고 그 안에서 오늘의 역사 또한 살아 숨 쉬는 것이 보일 때 도시는 그 고유의 상징적 이미지를 갖게 된다. 이 연구는 도시아카이브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시의 특성과 아카이브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도시아카이브 현황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도시아카이브의 구축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의 도시 중 서울, 부산, 원주를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관련 문헌과 웹페이지 내용분석을 토대로 도시아카이브의 효율적인 구축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s the indigenous history of the city gets recorded and today’s history is lively reflected as it draws breath, the city will have its own symbolic images. This study is to show the new city archives of building direction by the status survey and analysis of the city archives based on theoretical study in respect of the comprehen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and the need to archive. To this end, the city of Seoul, Busan, and Wonju, was surveyed and were given the suggestion it should efficiently build its city archive based on the results of its analysis.

곽승진(충남대학교) ; 최재황(경북대학교) ; 김정택(배재대학교) ; 박옥남(상명대학교) ; 김환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337-357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33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쇄학술지 공동 보존 및 활용 기능을 수행하는 인쇄학술지 공동보존센터 구축에 대하여 수요조사 및 운영 방식에 관한 의견 조사를 통해 공동보존센터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ESLI 참가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포커스그룹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로 인쇄학술지 공동 보존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응답자가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실정에 맞는 인쇄학술지 공동보존센터 구축을 위해 협의체 구성 방안, 기탁 학술지의 소유권, 보존 대상 인쇄학술지 범위 및 보존센터 유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인쇄학술지 공동보존센터 구축의 타당성 확보와 국내 실정에 맞는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suggestions to develop a cooperativ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rogram suitable for domestic circumstance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 in-depth study was conducted parallel to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e study found that a high number of KESLI members recognizes the necessity of the cooperativ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print journals. The study also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ooperative preservation center for print journals—the development of councils, the ownership of journals, the scope of journals to be collected, and the form of the national preservation center.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tilized as the model for the cooperativ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print journals suitable for Korean circumstances.

여지숙(계명대학교) ; 공성훈(계명대학교) ; 오동근(계명대학교) pp.359-376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35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KDC, DDC, NDC와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와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표와의 비교를 바탕으로 KDC 제5판에서 540과 610에 양분되어 있는 건축공학과 건축술을 통합하는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분류 연구자와 건축학 연구자의 공동연구를 통해, 610에 있던 건축술을 540에 통합하고, 540의 표목을 ‘건축공학’에서 ‘건축학’으로 변경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추가로 540.1 건축계획 및 관련세목, 543.1 구조역학, 546.1 건축환경 및 관련세목의 신설을 제안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an improvement and modification plan for KDC’s architecture field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KDC, DDC, NDC, the Research Field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National S&T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is study suggests, through the cooperative study of researchers from classification and those from construction, that it would be better to integrate 610 architecture into 540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to change the heading of 540 from “Architecture engineering” to “Architecture”. The study also newly creates several subdivisions, 540.1 Architecture Plan including its subdivisions, 543.1 Structural Mechanics, and 546.1 Architectural Environment including its subdivisions.

이상용(이화여자대학교) pp.377-388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377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서호수(徐浩修)가 정조의 왕명으로 편찬한 분류순 해제목록인 「규장총목(奎章總目)」의 목록기술방식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목록기술은 표제, 책수, 저작시대 및 생존연대, 저자명, 저작역할어, 기타 특기할만한 목록기술 사례 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 「규장총목」은 상당히 통일성을 갖춘 목록기술방식을 설정하여 저록을 작성하였다는 점에서 한국목록기술사상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겠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thod of the bibliographical description of Gyujang-chongmok, or the Annotated Classified Bibliography of Books in Gyujanggak, which was published by Seo Ho-su’s in 1781 by the King’s command in the Joseon Dynasty. The bibliographical description was examined regarding its title, volume number, written age, name of author, functional word of authorship, and noteworthy examples. However, its grea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bibliographical description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Gyujang-chongmok has established entries for annotated works based on the relatively unified method of its bibliographical description.

한미경(경기대학교) pp.389-411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3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국 문헌정보학 교육과 교과과정의 변화 분석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정보학 교육의 경우 2001년부터 2013년까지의 학부, 석사과정, 박사과정 및 박사 후 연수기관의 문헌정보학 학과 및 전공 개설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25개 문헌정보학 개설 대학을 대상으로 소속대학, 개설지역, 특징을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경우 2003년 중국 교육부의 도서관학 전공 본과 핵심 교과과정을 기준으로 1997년과 2006년의 교과과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2003년의 중국 교육부의 7개 핵심 교과과정과 2006년의 18개 필수 교과과정 대비 무한대학교와 북경대학교의 2012년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Abstract

With the objective of analyzing changes in the education and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China, this study conducts the following analyses. First, with respect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erm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s and majors being offered for undergraduate, graduate, doctoral, and post-doctoral training institutions from 2001 to 2012. Also,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colleges, areas, years of establishments and characteristics of 25 colleges that offer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 Second, with respect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curricula of 1997 and 2006, while using China Education Ministry’s 2003 main curricula of library science major as criteria and analyzed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2012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a of Wuhan University and Beijing University.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