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본고는 강경애 후기 소설의 특징이 식민지 시기 민족의 상실에서 비롯된 이산의 문제를 여성의 시각에서 재구성한 점에 있다고 보고, 이를 이산 체험과 모성 체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먼저 소금은 이주 및 이산을 야기한 원인을 여성의 체험 및 생존의 서사와 연관해 다루고 있어 주목을 요한다. 소금의 주인공 봉염모는 가장의 죽음, 중국인 지주의 성적 유린, 출산, 아이들의 죽음이라는 일련의 수난을 겪으면서 계급적, 민족적으로 각성한다. 이 작품은 하층계급 여성이 현실에서 경험하는 모성의 분열적 측면을 잘 포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모성이 보호받지 못하는 원인을 간도 이주민이라는 주변적 위치에서 찾고 있다.강경애의 후기소설인 소금, 모자, 마약, 지하촌 등은 빈곤의 모성화 양상을 띤다. 작품 속 구여성들은 모성적 사고를 일관되게 견지함에도 불구하고 가족해체를 당면한 현실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모성은 이산과 이주라는 현실적 난관이 왜 여성에게 문제적일 수밖에 없는지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거듭되는 이산의 상황을 돌파하거나 상상적으로 초월할 수 있는 방안이 된다. 또한 모성은 사회적 의미를 지니면서도 구체적인 몸의 체험을 동반하고 있어 현실성을 확보한다.간도에서의 낙관적 전망이 사라진 후 작품인 번뇌, 동정에서도 지식인 여성의 자기 반성이라는 맥락에서 구여성에 대한 연민과 애정을 드러내고 있다. 이같은 점들로 미루어 볼 때 강경애 작품 세계를 형성하는 두 축인 ‘이산의 체험’과 ‘구여성의 모성 체험’은 식민지 조선의 특수성과 민중 여성의 주체 형성이 상호 연동하는 과정을 포착하는 기반이 된다.
The characteristic of Kang Keong-E's later novels is in the re-construction of diaspora as the female's viewpoint. So this thesis intends to look at her later novels, centering on the experience of diaspora and motherhood. First, <The Salt> deals with the cause of emigration and diaspora in association with the woman's experience and her narrative of survival. Bong Yeom's mother in <The Salt> under goes all sorts of hardships like the husband's death, Chinese landowner's sexual violence, bearing, and children's death. And she wakes up to the subject in the class and nation through these hardships. This novel grasps the complex aspects of motherhood in position of lower class woman, and find out the reality which her motherhood can not be protected at the Korean's marginal position, that is Kando emigrant. Kang Keong-E's later novels, <The Salt>, <The Mother and Son>, <The Drug>, <The Underground Village>, shows the 'maternalization of poverty'. Though the Old(pre-modern) women in her novels have the maternal thought, the dissolution of family is the clear reality to them. The motherhood not only shows why the diaspora and emigration are problematic to the women but also presents how they break through or transcend imaginatively the situation of emigration. Also this motherhood has the social meaning, and ensures the reality because of the concrete experience about female body. In <The Anxiety>, <The Sympathy>, the pity and love for Old(pre-modern) woman are presented in the context of the self-reflection of intellectual woman. In conclusion, the two axes, 'experience of diaspora' and 'motherhood of Old woman', which constituting the world of Kang Keong-E's later novels, shows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culiarity of colonial Chosun and the process of subjectivity in lower class woman.
(1996년) 강경애-간도체험과 지식인 여성의 자기반성, 역사비평사
(2003) 젠더의 프리즘으로 형상화한 식민지 현실-강경애론, 소명출판
(2002) 식민지 시대의 사회주의 서사와 여성담론, 예림기획
(2003) 강경애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인식의 문제, 소명출판
(1989) 만주 항일혁명운동의 문학적 수용-강경애론, 민음사
(1997) 강경애-문학에서의 성과 계급,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9) 강경애 전집, 소명출판
(2003) 제3세계 여성들의 글쓰기-전지구화, 이산, 민족에 관하여, 여이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