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1930년대 소설에 나타난 여성 육체의 재현양상

A Study of the Representation Woman Body in the 1930s' novel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4, v.0 no.11, pp.273-297
김연숙 (경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일제 강점기 문학 연구에서 질병은 단순히 소재의 차원이 아니다. 그것은 지극히 개인적이고 사적인 경험의 신변잡기적 서술로 파악되기보다는, 하나의 의미있는 문학적 담론으로 여겨져 왔다. 즉 고민, 우울, 피로, 신경쇠약, 신경과민, 질병 등등은 사회적역사적 성격을 가진 하나의 ‘은유로서의 질병’이라는 것이 기존 논의의 공통된 입장이다. 그러나 여성인물의 경우 이런 해석은 찾아볼 수 없다. 이처럼 작품 속에서 남성과 다르게 재현되는 여성 육체의 의미는 무엇인지, 왜 다른지를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1930년대 여성 작가의 소설을 대상으로 여성의 육체가 재현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같은 신경증도 남성과 여성에 따라 신경과민과 히스테리로 분리된다. 이때의 히스테리는 일종의 짜증, 결핍, 질투, 고부간의 갈등과 같은 주관적이고 사적인 감정의 표출이다. 남성의 신경증은 이에 비해 예술 창작 동기이기도 하고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차원의 고민의 메타포이다. 이들 신경증을 바라보는 시선의 주체는 남성이고 그들의 응시는 여성의 것을 개인적인 신경증으로 치부하고 만다. 남성의 언어와 남성의 국가에서 여성작가들은 오히려 여성의 육체를 도착시킨다. 그들이 그려낸 도착적인 여성 육체는 특히 어머니의 몸이다. 강경애, 백신애의 작품에서 여성의 임신과 출산이라는 고유한 경험은 육체가 세계로 의미를 발화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 의미 발화가 코라(chora)의 풍부한 근원이 아니라 비체화된 어머니의 몸으로 전락하고, 여성의 목소리는 히스테리와 광기로 위장된다.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성은 보다 강력한 아버지의 질서를 희구했고 부재하는 여성의 목소리는 더욱더 가려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재가 근원적인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비체화된 몸은 끊임없이 어머니의 몸을 통째로 드러내 보이고, 히스테리와 광기로 위장된 여성의 목소리는 그 낯선 이질성을 틈새로 끼워넣는 데 성공한다.

keywords
여성육체, 히스테리, 어머니의 몸, 광기, 비체화, woman body, hysteria, mother's body, madness, abject

Abstract

In the literary studies of Japanese fierce colonizing period, disease does not mean simply a matter of material. It is considered not as a narrative of personal and private experience, but as a meaningful literary discourse. The disease including agony, gloom, weariness, nervous breakdown, and so on, has been discussed as a kind of "disease of metaphor" with a social and historical character. But this discussion has not been founded in the studies of woman character. This article aims to reconsider how and why woman or her body represented compared to man. The woman body, particularly in the 1930s' novel appeared striking features. Above all, neurosis was divided into nervousness and hysteria according to man and woman. The hysteria at that time meant a personal and subjective sentiment such as fret, lack, jealousy, trouble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The nervousness of man implied to a metaphor of creative motives or social and historical sufferings. The different expressions of neurosis result from man seeing it, who produces discourse and makes woman's trouble only a personal disease. Women writers often pervert their bodies in the situation which man controls language. They represent particularly mother's body perverted. The characteristic experiences of women, for example pregnancy and delivery in the works of Kang Kyung Ae and Baek Syn Ae show that women speak to world by body. The body with speaking the meaning indicates not chora symbolizing the origin of abundance but the abject. The woman's voice is also disguised as hysteria and madness. In the special circumstance of Japanese fierce colonizing, people require the powerful order of father and make woman to be silence. However, absence can't be nothing, original lack. The abject continues to disclose the mother's body, and the woman's voice disguised with hysteria and madness speaks in the crevice, or the strange space of heterogeneity.

keywords
여성육체, 히스테리, 어머니의 몸, 광기, 비체화, woman body, hysteria, mother's body, madness, abject

참고문헌

1.

(1988) 김동인전집 16, 조선일보사

2.

(2002)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과 몸의 서사 , 예림기획

3.

(2003) 태평천하에 나타난 여성 타자의 근대체험과 대응방식 , 태학사

4.

(2002) 30년대 후반 소설에서 질병의 상징성 연구 , 월인

5.

(2001) 페미니즘과 몸으로 길 찾기 , 예림기획

6.

(2003.8.) 히스테리적 육체:몸으로 말하기,

7.

(2001) 이상소설의 몸과 근대성에 관한 연구,

8.

(2002) 그 기원을 찾아서, 책세상

9.

(2002) 여성문학을 넘어서, 민음사

10.

(2002)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문학동네

11.

(2003) 푸줏간에 걸린 고기, 문학동네

12.

(1999) 어떤 백년, 즐거운 신생, 하늘연못

13.

(2002)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소명출판

14.

(2002) 한국 소설과 페미니즘, 예림기획

15.

(2003)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여이연

16.

(1997)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7.

(2002) 은유로서의 질병, 이후

18.

(1997) 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사전, 한신문화사

19.

(2000) 육체와 예술, 문학과 지성사

20.

(1998) 히스테리 연구, 열린책들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