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1920년대 목격과 미행의 담론화

The Discourse of Witness in 1920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4, v.0 no.11, pp.251-271
박숙자 (서강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1920년대 들면서 풍미하기 시작한 미행 목격담이 근대적 포즈인 동시에 여성을 타자화하는 기제임을 밝히는 데 있다. 20년대 잡지와 소설에서 미행과 목격에 대한 글을 자주 접할 수 있는데, 그 근간에 근대적인 시각적 인식의 우월성과 사실적인 취재를 통한 공론화의 명분이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미행과 목격담이 신여성과 여성의 몸을 소재로 할 때, 여성의 몸은 부정적인 몸으로 가치평가 되면서, 작가의 남성적인 환상은 객관적인 장치를 통해 가려진다. 남성인물이 목격한 것은 여성인물의 문란한 성관계나 의외의 성관념인데, 문제는 남성인물이 본 것이 사실이 아닌 남성인물의 성적환상을 통해 재구성된 것이라는 점이다. 남성인물은 여성의 몸을 성적욕망이 가득한 몸으로 파악하고, ‘내것’이 되지 못하면서 다른 데로 흘러가면 ‘과잉’되었다고 하고, 거부로 일관하면 ‘결핍’으로 가치폄하한다. 전자의 예로 나도향의 뽕을 들 수 있고, 후자의 예로 현진건의 B사감과 러브레터를 들 수 있다. 이 소설들을 통해 볼 때 목격은 사실에 기초하는 근대적 인식의 기제라기보다 시선의 주체가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구성해낸 장치로써 사실적 인식이라는 포즈로 주체와 타자를 구획짓는 알리바이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keywords
목격, 미행, 시선, 성적 환상, seeing, witness, following, sexual fantasy

Abstract

This paper is intended to clarify that witness narratives on women in 1920s contribute to "otherize" women. One of the subject matters, which is frequently found in literary works written in 1920s, is that a male character shadows and steals a glance at and witness a female character. As the result of this witness, a female character becomes rated as a negative body. What a male character witnesses is a female character's loose sexual relationship or her exceptional concept of sex. But the problem is that the contents of his witness is not true but reorganized through his sexual fantasy. A male character regards the body of a female character as the body filled with sexual desire. He thinks that her sexual desire is superfluous, if that desire does not belong to him and flows to another man. If a female character continues to refuse him, he concludes that she lacks her sexual desire. By these ratings, a female character rising to be a sexual subject becomes otherized. While the former is exemplified in Mulberry Leaves by Na, Do-Hyang, the latter is exemplified in Dormitory Inspector, B, and Love Letter by Hyun, Jin-Gun. As illustrated in these two novels, the contents of witness is not a modern means of recognition based on some facts. Rather, it is a mechanism invented by a witnessing male character in order to occupy the place of subject. That is, witness is very likely to be an alibi posing as a factual recognition, which can be used in distinguishing the subject.

keywords
목격, 미행, 시선, 성적 환상, seeing, witness, following, sexual fantasy

참고문헌

1.

(1988) 나도향 전집 上, 집문당

2.

(1988) 조선의 얼굴, 문학과비평사

3.

(1998) 현진건 단편소설 연구,

4.

(2000) 식민주의 담론과 여성주체의 구성, 태학사

5.

(2000) 나도향과 욕망의 문제, 깊은샘

6.

(2002) 시선과 영화,

7.

(1976) 현대소설과 상징의 기능, 민음사

8.

(1979)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9.

(2001) 감상주의 연애소설의 상품화전략, 태학사

10.

(1968) 한국 현대문학사, 인간사

11.

(1993) 나도향과 그의 작품 세계 어문연구,

12.

(2000) 문학과 사랑과 이데올로기-현진건 연구, 태학사

13.

(2001) 소문의 역사, 세종서적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