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조선조 궁중여성의 소설문화

A Study of literary works by women within the Royal Court of the Choson dynasty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4, v.0 no.11, pp.299-317
정창권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조선조 궁중여성의 소설문화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한 것이다.조선조 궁중에는 왕비와 후궁, 궁녀, 비자(婢子) 등 다양한 부류의 여성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은 모두 어떤 형태로든 궁중의 소설문화를 형성하는 데 참여하였다. 예컨대 왕비와 후궁은 각별한 대우에서 얻어진 시간적 여유와 정신적 부조화를 보충하기 위해 소설을 보았고, 상궁 이하 궁녀는 그들의 상전에게 소설을 읽어주거나 필사해주는 과정에서 더불어 소설을 보았다.궁중여성은 17세기 중반 이래 20세기 초반까지 지속적으로 소설 독서의 전통을 유지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다양한 문화를 창출하였다. 또한 이들은 궁궐 밖의 독서계와 부단히 교류하며 조선의 소설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그래서 본고는 통시적인 체계를 갖추어 그녀들의 소설문화를 차근차근 살펴보았다.조선조 소설의 발달은 궁중여성과 밀접한 관련 속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이들에 대한 업적도 정당한 평가를 해주어야 한다고 본다.

keywords
궁중여성, 궁중문학, 소설문화, 장편소설, 실기문학, 규범서, women of the Royal Court, the court literature, novel tradition, a full-length novel, a historical literature, a moral standard book

Abstract

This is a systematic study of literary works by women within the Royal Court of the Choson dynasty. There are women of various classes within the Royal Court of the Choson dynasty, such as a queen, a royal concubine, a woman servant, etc. They were concerned with the formation of the women's novel literature within the Royal Court of the Choson dynasty. For example, a queen and a royal concubine were well off so they sought for their time. They spent time reading novels. A court lady and a woman servant read novels while they read for their lord or wrote from novels. From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to the early stages of the 20th century, women in the Royal Court of the Choson dynasty kept going to read traditional novels while they started to develop various cultures based on their readings. Also, they interacted with the reading public of the outside world and did much to help literature of Choson dynasty. I looked into their literature and tradition in the historical system.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in the Choson dynasty is related to women of various classes within the Royal Court. So we must evaluate their contribution properly.

keywords
궁중여성, 궁중문학, 소설문화, 장편소설, 실기문학, 규범서, women of the Royal Court, the court literature, novel tradition, a full-length novel, a historical literature, a moral standard book

참고문헌

1.

(1977) 낙선재 주변, 중앙일보동양방송

2.

(1990) 조선조 여류문학 연구, 혜진서관

3.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4.

(1974) 친필언간총람, 경인문화사

5.

(1986) 낙선재본 소설의 국적문제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6.

(1990) 계축일기연구, 한남대출판부

7.

(1995) 장편가문소설의 향유집단 연구 , 지식산업사

8.

(1993) 조선시대 중국 통속소설 번역본의 연구,

9.

(1986) 조선조 대하소설의 작자층에 대한 연구,

10.

(1991) 장편 가문소설의 성립과 존재양태 정신문화연구 44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1.

(1969) 낙선재 문고 국문서적 해제 한국 고전의 재해석 1979에 재수록,

12.

(2002) 한국 고전여성소설의 재발견, 지식산업사

13.

(1997)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 연구,

14.

(1994) 임오화변과 영조말정조초의 정치세력 조선후기 당쟁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5.

(1972) 한국여성사Ⅰ, 이대출판부

여성문학연구